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
외면
외부
바깥
얼굴
낯
밖
d라이브러리
"
표면
"(으)로 총 3,369건 검색되었습니다.
식물도 쓰다듬으면 잘 자란다
과학동아
l
201310
애기장대를 문지르자 스트레스와 관련된 유전자가 활성화됐다. 활성산소가 증가하고, 잎
표면
의 보호층이 좀 더 통과하기 쉽게 변해 내부에서 각종 분자가 배출됐다. 연구팀은 이런 분자가 면역 반응에 기여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와 비슷한 반응은 식물이 상처를 입었을 때도 나타났다. 이 ... ...
연잎에서 나온 반도체
과학동아
l
201310
개발했다.연구진은 연잎
표면
을 덮고 있는 돌기를 본떠 ‘나노선’ 돌기가 메모리
표면
을 덮는 소자를 만들었다. 이 메모리 소자를 물속에 넣으면 물이 메모리소자에 직접 닿지 않기 때문에 돌기 주변을 공기가 둘러싼다. 메모리 소자주변에 공기층과 물, 두 가지 매질이 위치하게 된 셈이다.이 같은 ... ...
PART 1 중장비, 도시를 지탱하다
과학동아
l
201310
우연히 발견했다. 그 벌레는 나무를 깎아내 뒤쪽으로 보내면서 새로 판 굴의
표면
에는 액체를 발라 굴을 지지하는 놀라운 연체동물이었다. 더구나 자신의 몸은 단단한 껍질로 보호했다. 브루넬은 여기서 아이디어를 얻어 지반을 깎아내면서 잔해는 뒤로 보내고 동시에 벽면을 지지하는 기계를 ... ...
별 세계도 ‘저출산 고령화’
과학동아
l
201310
이때를 ‘재이온화’ 시기라고 부른다.최초의 별은 오늘날 태어나는 별보다
표면
온도가 뜨거웠다. 수소와 헬륨밖에 없으면 핵융합 에너지 생성 효율이 떨어지기 때문에 밀도가 더 높고 뜨거워야 했다. 따라서 최초의 별에서 나온 빛은 주로 에너지가 강한 자외선이었다. 이 빛은 별 주위의 물질을 ... ...
새댁기자의 쿡쿡 맛있는 과학 - 6화
과학동아
l
201310
생선을 뒤집지요. 그리고 불을 약하게 줄이고 천천히 안쪽까지 익혀야 한답니다. 생선
표면
에 1~2cm 간격으로 칼집을 넣어 열이 안쪽으로 빨리 들어가게 하는 것도 좋아요. 약한 불에서 천천히 익어가는 과정을 기다려 주면 고등어는 바삭한 껍질과 부드러운 속살로 보답한답니다 ... ...
[해외취재] 피터팬 VS 후크 선장, 수학 예술로 네버랜드를 바꿔라!
수학동아
l
201310
16세기 지도제작가 메르카토르다. 메르카토르가 만든 지도 제작법은 구 모양인 지구
표면
을 원통에 투영한 뒤, 원통을 잘라서 직사각형의 평면 위에 지구가 나타나도록 한 것이다. 하지만 이 방법은 구 모양을 원통 형태로 변형시킨 것이기 때문에 극지방의 모양을 어마어마하게 왜곡시킨다. 그래서 ... ...
10화 주사위의 방을 탈출하라
수학동아
l
201310
얻을 것이다.”주사위맨들의 말이 떨어지기가 무섭게 하루가 물었다.“주사위 타워의
표면
에 있는 숫자란 벽 안쪽으로 들어간 부분이나 바닥 면까지, 즉 우리 눈에는 보이지 않는 주사위의 숫자까지 예상하라는 말이야?”하루의 질문을 듣고 주사위맨들은 눈빛을 교환하더니 말했다.“네 말이 맞아. ... ...
Part 3. 신세계 : 뇌 너머의 뇌
과학동아
l
201309
자유롭게 휘어지고 늘어나는 미세 전극 배열을 개발했다. 이 전극은 주름진 대뇌 피질
표면
에도 쉽게 부착이 가능해, 뇌 주름 깊은 곳에서 직접 뇌를 자극할 수 있다. 이것은 마치 치아가 빠진 자리에 인공치아(임플란트)를 이식하는 것과 비슷하다. 뇌지도를 손에 쥔 미래의 인류는 뇌의 시각 또는 ... ...
Part 2. 항해 : 뇌지도를 만들기 위한 4가지 전략
과학동아
l
201309
7T MRI Brain Atlas)’와 ‘뇌 백질지도(7T MRI Brain White Matter Atlas)’다.회백질지도는 뇌의
표면
에 해당하는 회백질(신경세포의 세포체가 모여 있는 부위)을 정교하게 영상화한 지도로 2010년 완성했다. 백질지도는 신경섬유 부분이 모여 있는 부위로, 작년 11월 완성했다. 조 소장은 “회백질지도는 뇌의 . ...
20시간 만에 완성하는 극지 얼음
과학동아
l
201309
얼음 조각을 올려놓고 사방으로 움직여 마찰력을 측정한다. 마찰력이 너무 크면 얼음
표면
을 갈아 매끈하게 만들고 마찰력이 너무 작으면 미세 가루 입자(마그네슘 실리케이트)를 뿌려서 거칠게 만든다.아쉽게도 기자는 실험 현장을 직접 볼 수는 없었다. 정성엽 연구원은 “여름에는 바깥 온도가 ... ...
이전
46
47
48
49
50
51
52
53
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