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똥손 수학체험실] 어서와! 클레이 분식집은 처음이지?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4호
- 결괏값이 나오기도 하지요. 예를 들어, 95-10+70의 답은 155예요. 그런데 10+70을 먼저 계산한 뒤 95에서 빼면 그 결과는 15여서 틀린 값이 되지요. 자, 그럼 우리도 계산 잘하는 사장님이 되어 클레이 분식집을 열어 볼까요 ... ...
- 지구 궤도에서 바로 재활용?! 우주쓰레기 청소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4호
- 종료 후 5년 이내에 적절한 방법으로 폐기되어야 한다는 제도를 통과시켰어요. 이는 2년 뒤 시행될 예정이죠. 하지만 이미 발사된 인공위성이나, 충돌 등으로 생긴 잔해는 우리가 직접 제거해야 해요. 청소위성이 그물이나 작살, 레이저 등으로 직접 제거하는 방법이 논의되고 있지요.한국과학기술원 ... ...
- [질문하면 답해ZOOM] 생선을 먹고 김치를 먹으면 왜 쓴맛이 나나요?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4호
- 구에 가까운 형태입니다. 이중 머리카락이 나는 부분은 반 정도이죠. 이마에는 없지만 뒤통수에는 목까지 머리카락이 나니, 어림하여 반으로 가정할게요. 예를 들어 기자의 머리 반지름은 약 10cm입니다. 기자의 머리에서 머리카락이 나는 곳의 넓이는 구의 겉넓이를 구하는 공식 4πr2(π=약 3.14, r ... ...
- 사람 같은 생성형 AI는 언제? MIT-IBM 왓슨 AI 연구소에 묻다과학동아 l2023년 04호
- 연구팀은 거대한 데이터 세트 하나를 활용해서 여러 분야의 데이터를 한꺼번에 학습한 뒤, 목적에 맞게 필요한 분야의 데이터를 이용해 답을 내는 파운데이션 모델 기술을 개발 중이다. 1 AI의 진화를 설명하는 콕스 소장. 2 IBM은 1997년 AI 체스 프로그램 ‘딥블루’로 인간 챔피언을 이기고, 2011년 ... ...
- [기획] UFO? 아닙니다. 과학 임무 중인 풍선입니다과학동아 l2023년 04호
- 재질・구조 개선 100일 체공도 가능해 2월 2일 미국 영공에서 발견돼 이틀 뒤인 2월 4일 미국 전투기에 의해 격추된 중국산 풍선을 두고 미국은 ‘정찰용’, 중국은 ‘기상관측용’이라 주장하고 있다. 논란의 중심에 선 풍선은 일반적인 기상 관측용 풍선과는 달랐다. 폴리에틸렌 재질로 ... ...
- 공동연구 잘~하는 비결은?수학동아 l2023년 04호
- ’, ‘이렇게 말하면 어떻게 받아들일까?’ 등을 고려해 설명합니다. Q. 5년 뒤, 10년 뒤의 목표가 있나요?목표가 전혀 없습니다. 하루, 일주일, 한 달 단위의 계획만 세워요. 계획이 뜻대로 되지도 않고, 목표를 세우면 딱 거기까지만 해야 할 것만 같잖아요. 오히려 한계를 주는 것 같아서 장기 계획은 ... ...
- [수학상위1% 비밀무기] 의대 합격 비결은 친구와 함께 수학 공부수학동아 l2023년 04호
- 문제 유형을 파악하고 태영이랑 유형별 전략을 세웠어요. 권태영 고3 9월 모의고사를 친 뒤 동우와 함께 진지하게 수능 준비에 임하는 친구들 몇 명만 선별해서 스터디그룹을 만들었어요. 그 친구들과 주말마다 영어실에서 수능 안내 멘트를 틀어놓고, 수능 시간표와 똑같이 8시간 동안 앉아서 ... ...
- 던전 앤 드래곤 : 도적들의 명예수학동아 l2023년 04호
- 어느 정도 크기로 나타낼지, 어떤 순간에 나타나게 할 건지, 그 마법을 맞은 사람은 몇 초 뒤에 반응해야 할지 하나하나 계산했어요. 먼저 키나 팔 길이 같은 배우의 신체 정보와 세트장의 크기를 측정하고 장면을 어떻게 시각화할지 구상했습니다. 보통 스토리보드나 애니메이션으로 하지요. 이를 ... ...
- [ 2022 SF스토리 공모전 수상작] 안스리움수학동아 l2023년 04호
- 새싹들은 나름의 구역을 가지고 있는 듯했다. 설진은 터덜터덜 앞으로 나아가는 사내의 뒤를 따라갔다. 지나쳐 온 둔덕에 조그마한 숫자 팻말이 하나씩 놓여 있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숫자를 마주한 설진은 순간 침을 꿀꺽 삼켰다. 오묘한 긴장감을 느꼈다. 어디에서 촉발된 긴장인지는 정확히 ... ...
- 달과 화성에도? 우주 쓰레기가 늘어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4호
- 있습니다. 우주위험연구실 최은정 실장은 “이전에 발사된 인공위성은 임무를 다한 뒤에도 별다른 조치 없이 방치됐었다”라며, “앞으로는 인공위성 수명이 끝날 때 남겨둔 연료를 사용해 잔해를 남기지 않고 소멸하는 기능을 필수로 탑재해야 하는 등 우주 쓰레기를 줄이기 위한 국제적인 약속을 ... ...
이전49505152535455565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