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나중
다음
배후
뒤쪽
후방
꽁무니
뉴스
"
뒤
"(으)로 총 13,847건 검색되었습니다.
거미줄 쏘고 전기장 걸면 68배 무거운 물체가 붙잡힌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17
걸어주면 정전기가 생겨 주변에 있던 물체가 달라붙는다. 책받침을 반복적으로 문지른
뒤
머리카락에 대면 머리카락들이 들러붙는 것과 같은 원리다. 거미줄은 신축성 소재인 오가노젤과 실리콘 탄성체로 이뤄져 있어 원래 길이보다 최대 3배까지 늘어난다. 연구팀은 이 거미줄 한가닥으로 ... ...
세계 최초 곤충 액션캠이 촬영한 세상 모습
동아사이언스
l
2020.07.17
연구팀은 실험에 사용된 딱정벌레가 스트레스를 얼마나 받았는지 확인한 결과 1년
뒤
에도 건강하게 살고 있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골라고타 교수는 “딱정벌레의 1인칭 시점으로 촬영하기 때문에 사람이 관찰하기 어려운 공간에서의 벌레의 움직임을 연구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미국 ... ...
세계 최초 '수학대중화 석좌교수'가 말하는 AI시대의 수학
수학동아
l
2020.07.17
분석하면 다르다. ‘2만 차원의 공간에 100만 개의 점을 찍어놓은 것’으로 표현한
뒤
위상적 정보이론을 활용해 점이 모인 집합의 모양을 분석하면 생물학적인 지식을 얻을 수 있다. 군나르 칼슨 미국 스탠퍼드대 수학과 명예교수는 이런 방법론을 AI 분석에 적용하는 기술을 개발해 아야스디라는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동물행동학자에서 과학행정가로 변신한 후베르트 마르클
2020.07.16
바로 1990년 갑작스레 찾아온 독일의 통일과 관련이 있다. 서독에 비해 과학기술 인프라가
뒤
쳐져 있던 동독으로 연구회를 확장할 필요가 있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과학계를 잘 이해하는 것을 넘어, 균형잡힌 정치적 행위와 과감한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는 능력이 요구되었다. 바로 이 시기에 ... ...
망막색소변성증 환자의 희망 '인공망막 장치' 성능 끌어올릴 실마리 찾아
동아사이언스
l
2020.07.16
환자들은 인공 망막 장치로 시력을 회복한다. 망막 변성 질환에 걸려도 광수용체 세포
뒤
에서 뇌로 신경 신호를 전달하는 신경절 세포가 살아남기 때문에 안구내 마이크로 전극을 이식해 전기 자극을 가하는 원리다. 그러나 인공 망막 장치를 이식받은 환자마다 성능에 큰 차이를 보이는데 그동안 ... ...
"백신 동등한 접근권 보장해야" 문 대통령 등 8개국 정상 기고문(전문)
동아사이언스
l
2020.07.16
없다"며 “어디에 사느냐가 살아남을지를 결정해선 안 된다”고 말했다. 이어 “누구도
뒤
에 남겨두지 않고 백신을 제조하고 유통하는 일은 진정으로 국제적 협력을 시험대에 올릴 것"이라며 "우리는 백신이 투명하고 공정하며 과학적으로 타당한 원칙에 따라 유통될 것임을 시급하게 보장해야 ... ...
금속 '망간' 먹는 박테리아 첫 발견…에너지원으로 활용
연합뉴스
l
2020.07.16
망간이 든 유리그릇을 실험실 싱크대 수돗물 속에 넣어놓고 수개월 간 출장을 다녀온
뒤
검게 변한 유리그릇 표면을 분석하다가 박테리아를 발견했다는 것이다. 분석 결과 유리그릇 표면의 검은 색 물질은 망간산화물로 밝혀졌다. 연구팀은 이 망간산화물이 수돗물을 통해 유입된 것으로 보이는 ... ...
역사상 가장 정밀한 X염색체 '지도'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15
이 부분을 해독할 방법이 없어 지금까지 ‘공백’으로 남아 있었다. 연구팀은 NGS의
뒤
를 잇는 새로운 게놈 해독기술 장비인 ‘나노포어 미니온’을 사용해 이 문제를 해결했다. 나노포어는 염기서열의 종류에 따라 각기 다른 신호를 내는 단백질을 이용해 염기서열 정보를 실시간으로 읽어내는 ... ...
NYT도 피하지 못한 코로나19 과장보도 "섣부른 결론 대신 맥락·한계 전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0.07.15
미국 생명공학사 모더나가 백신 후보물질의 임상1상 결과를 보도자료를 통해 공개한
뒤
주가가 급등과 급락을 반복했을 때, 국내에서는 모더나의 성공과 한계를 다루는 정반대의 기사가 하루 사이에 각각 실리기도 했다. 사스코로나바이러스-2의 스파이크 단백질 614번 아미노산이 글리신(G)으로 ... ...
임신중 첫 태아 전파 사례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15
증상으로 병원에 입원했고 코로나19 진단 결과 양성 판정을 받았다. 산모가 입원한 지 3일
뒤
태아를 모니터링한 결과 좋지 않은 징후가 발견돼 의료진은 통상적인 마취 상태에서 응급 제왕 절개 수술을 진행했다. 태어난 아이는 신생아 집중 치료실에 즉시 격리됐다. 의료진은 신생아의 폐에서 ... ...
이전
560
561
562
563
564
565
566
567
5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