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진화론의 ‘첨단’을 읽는다!과학동아 l2014년 01호
- 분업이 이뤄지는 ‘진사회성’)을 획득한 과정을 추적한다. 초반에는 역사를 훑지만 뒤로 가면 본격적으로 진화생물학적인 ‘논쟁’을 펼친다. 그는 혈연선택 기반의 진사회성 이론을 부정하고 집단선택에 기반해 진사회성을 획득할 새로운 이론을 제시하며, 이를 바탕으로 인간의 본성을 ... ...
- 미래는 컴퓨터에게서 노인의 지혜를 얻는 세상과학동아 l2014년 01호
- 현대사회에서는 컴퓨터에 쌓인 빅데이터가 그 역할을 맡게 될 겁니다. 불과 10~15년 뒤면 우리 실생활의 어려운 문제를 컴퓨터에게 묻는 일이 보편적인 행위가 될 것입니다.Q. 실생활의 어려운 문제를 컴퓨터에게 묻다니요?A. 대표적인 분야가 빅데이터에 기반한 맞춤의학입니다. 환자의 유전자와 ... ...
- 또 하나의 여행, 공항탐험!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4호
- 출발~!이제 마지막 순서예요. 바로 탑승! 비행기는 안전한 운항을 위해 승객이 다 탄 뒤에도 점검해야 할 것이 많아요. 나 하나 늦장 부리다가는 전체 승객의 출발 시간이 미뤄질 수도 있답니다. 그러니 탑승 시간을 잘 지켜 주세요~.탑승할 때는 티켓에 있는 바코드나 QR코드 정보를 읽어요. 이렇게 ... ...
- 블랙홀의 매력에 푸욱~, 빠져 봐요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4호
- 있는 블랙홀들이에요. 우 교수는 지금은 2600광년 떨어져 있는 두 블랙홀이 수억 년 뒤 매우 가까워지면서 하나의 블랙홀로 합쳐질 거라 예상하고 있답니다.아무리 먹성이 좋다지만 동료까지 먹어 치우다니….무조건 먹기만 하는 건 아니에요. 블랙홀은 굉장히 강한 에너지를 가진 제트 기류를 뿜기도 ... ...
- 소멸인가 생존인가, 아이손의 행방은?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4호
- 했지요. 그런데 그 다음날 NASA는 다시 “아이손이 살아남은 것 같다”고 먼저 한 발표를 뒤엎었어요. 29일 촬영한 아이손 관측 사진을 분석한 결과, 아이손이 태양의 영향으로 손상되긴 했지만 핵은 살아있을 가능성이 크다고 판단한 거랍니다. 하지만 현지 시간으로 12월 2일, NASA는 아이손이 근일점을 ... ...
- 자유탐구 완전 정복, 섭섭박사가 간다!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4호
- 연결된 부품을 여러 번 감는다. 고무줄이 팽팽해지면 풀리지 않도록 손으로 잘 잡은 뒤, 30° 각도로 하늘을 향해 던지듯 날린다. 손을 떠난 다 빈치 날개는 고무동력을 이용해 새처럼 날개를 파닥이며 날아간다. 한 쪽 날개 앞쪽에 평형추를 끼우면 회전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4 비행기에 작용하는 ... ...
- 날아라, 신통방통 미래 비행기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3호
- 마하4는 음속의 4배인 약 4896㎞정도다.* 소닉붐 : 비행기가 음속을 돌파할 때 앞머리부터 뒤쪽으로 생기는 원뿔 모양의 충격파. 비행기가 낮게 날 때 소닉붐이 생기면 유리창이 깨지거나 건물이 흔들릴 수 있다.미래의 비행기 엔진, 스크램제트엔진음속을 넘나들 정도로 빠르게 나는 비행기는 어떤 ... ...
- 새로운 공룡이 쿵쿵쿵! 다이노소어 어드벤처 3D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3호
- 영화보고 대화하고!영화 ‘다이노소어 어드벤처 3D’를 개봉 전에 미리 생생하게 본 뒤, 허민 공룡 박사님께 최근 10년 동안 이뤄진 공룡에 대한 최신 연구와 새롭게 밝혀진 공룡 이야기를 들어보자! 어린이과학동아 독자들에게만 특별하게 마련된 자리라고! 허민 공룡 박사님께 물어보고 싶은 질문과 ... ...
- 과학동아천문대 서울의 중심에서 별을 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3호
- 그래, 이 천체망원경으로 보렴. 색깔까지 다르다는 사실을 알 수 있어!공을 반으로 쪼개 뒤집어 놓은 듯한 반구형 천문 돔에 설치한 큰 천체망원경을 이용하면 서울 도심 한복판에서도 밤하늘에 펼쳐진 별과 별자리, 은하, 성단, 성운을 관측할 수 있어요. 반구형의 천문 돔은 문을 열고 닫을 수 있을 ... ...
- 열무김치 VS 총각김치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3호
- 않아요. 다 자란 무청은 억세고 단단하기 때문에 생으로 먹기 힘들거든요. 대신 잘 말린 뒤 삶아서 무치거나 된장과 함께 국을 끓여 먹지요. 말린 무청을 ‘시래기’라고 불러요. 쓰레기와 헷갈리지 않도록 주의 ... ...
이전57257357457557657757857958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