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뒤"(으)로 총 6,404건 검색되었습니다.
- 정동제일교회 한국인 건축가 심의석과 미국인 선교사 아펜젤러가 세운 최초의 교회. 이 교회의포스팅 l20141101
- 한국인 건축가 심의석과 미국인 선교사 아펜젤러가 세운 최초의 교회. 이 교회의 파이프오르간 뒤에서 독립선언서를 인쇄했다고 합니다. 배재학당 아펜젤러가 세운 최초의 근대교육기관 벽돌을 사용하고 반지하도 보입니다 우리나라는 주로 나무로 지상건축만 했었다고 해요 우리나라 최초의 삼문출판사를 운영해서 가난한 학생도 삼문출판사에서 일하여 번돈으로 수업받 ...
- 베짱이 일까요? 이건 무엇일까요? 머리뒤쪽 숨구멍이 달가닥달가닥 거리며 노래를 부르네요.탐사기록 l20141030
- 베짱이 일까요? 이건 무엇일까요? 머리뒤쪽 숨구멍이 달가닥달가닥 거리며 노래를 부르네요.싱기합니다. ...
- UN 생물다양성 청소년총회를 다녀와서 - 평창의 2박3일기사 l20141022
- 타고 강원도 평창으로 떠났어요. 버스 안에서 그동안 생물다양성과 한국의 거미/곤충의 희귀종, 현황, 개선점등을 메모해둔 공책을 뒤척이면서 뭐하나 놓칠세라 다시 보고 생각하면서 시간을 보냈어요. 우리팀의 첫 도착 회의 평창의 휘닉스파크에 도착하자마자 팀 별로 모여서 환영사를 듣고, 청소년 총회의 일정에 대한 설명을 다시 들을 수 있었어요. ...
- UN 생물다양성 청소년총회를 다녀와서 - 준비단계기사 l20141019
- 식물류, 파충류, 포유류, 어류, 조류, 양서류 등의 생물이 왜 지금 위기에 처한 배경과 현황을 연구해서 밝히고 문제점을 이야기한뒤 그 해결방안을 제시하는 것이예요. 각각의 주제는 초등학생은 ‘한반도 및 DMZ의 멸종위기종’, 중학생은 ‘과도한 생물자원 이용’, 고등학생은 ‘생태계와 인류의 공존’에 대해서 주제가 정해졌어요. 마지막으로 헤어지 ...
- 경복궁을 다녀와서기사 l20141019
- 합니다 .그냥 보았을 땐 잘 모르겠지만, 보물로 지정되어있다는 말을 들으니, 더욱 멋있어보였습니다.경복궁 답사를 다녀온뒤, 경복궁이 옛날 이성계가 가장 먼저 세울 때처럼 완벽하게 복원되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하였습니다 ... ...
- 오천군자리에서 고택청소했어요!! 우리는 문화재지킴이기자단이라규요~~~^^ 고택청소할땐탐사기록 l20141019
- 오천군자리에서 고택청소했어요!! 우리는 문화재지킴이기자단이라규요~~~^^ 고택청소할땐 1.스프레이로 물을 살짝 뿌려주고요 2. 짚솔로 나무틈새에 들어있는 먼지까지 싹싹 쓸어내고 3. 밀납을 나무결을 따라 쓱쓱 칠한뒤 4. 빵떡으로 힘껏 문질러요 으샤으샤으샤~~~ ...
- "문화로 나라를 지키다" 을 다녀와서.....>기사 l20141012
- 문화전을 보러 가는데 쫓아나서지를 못했는데, 마지막 전시날인 9월28일 까지 못가면 언제 볼 수 있을지 기약이 없다는 말에 모든 것을 뒤로 미루고 어머니, 동생, 나는 DDP로 향했습니다. 제가 요즘 에 대해서 중요하게 생각하게 된 이유는 라는 책을 읽은 다음에 언어와 ...
- 유엔 생물다양성 청소년총회를 다녀와서 생물다양성 총회기사 l20141009
- 발표자일 경우에는 발표자로, 아닐 경우에는 그냥 참석만 하는 형식이였다. 총회에도 재밌는 요소가 하나 있었는데, 돌아다니거나 뒤에 서 있는 스텝들에게 쪽지를 주면 보내고 싶은 사람에게 보내준다는 것이다. 하지만 무조건 재밌는 요소라고만 볼 수도 없는 것이, 수정안 제의를 할 때 그 쪽지로 보내졌기 때문에 나름 진지한 절차라고 볼 수도 있었다. ...
- 우리의 글, 한글과 한글이 만들어진 한글날 우리나라의 언어기사 l20141009
- 읽는 일반 백성을 보고, 집현전에서 아들 딸과 몇 안되는 학자들과 한글을 만들기 시작했습니다. 결국 한글을 반포하고, 한글을 만든뒤, 세종은 시력도 나빠지고, 당뇨병 등 각종 질병을 앓게 되고, 결국 1450년 3월 30일 세상을 떠났습니다. 우리나라는 한글을 기념하기 위해 2014년 10월 9일(한글날)에 한글박물관을 개장하였습니다.한글 ...
- 손죽도 앞바다에 서린 넋 충렬공 이대원 장군을 아시나요?기사 l20141008
- 장군의 ‘대’자를 붙여 손대도라 명명했다고도 전해진다 합니다. 이대원 장군이 그렇게 이른 나이에 절명하지만 않았었다면, 5년 뒤 있은 임진왜란에서 이순신장군과 힘을 합해 더 나은 전술로 왜적들을 더 많이 무찌를 수 있었을텐데... 쓸쓸한 생각을 하며 돌아 나오는 길에 장군이 죽을 때 남기셨다는 절명시를 다시 한번 읽어 보았습니다.해 저문 진 ...
이전59359459559659759859960060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