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나중
다음
배후
뒤쪽
후방
꽁무니
d라이브러리
"
뒤
"(으)로 총 9,103건 검색되었습니다.
아기 블랙홀의 트림
과학동아
l
200509
지난 5월 에리다누스강 별자리를 관찰한 결과 감마선 폭발이 일어난 지 12분
뒤
에 처음 폭발과 맞먹는 수준의 또 다른 X선 폭발이 일어난 것을 확인했다. 버로우 교수는 “갓 태어난 블랙홀이 밖으로 분출하는 물질을 다시 잡아먹다가 일어난 현상으로 보인다”며 “블랙홀이 트림하는 것에 비유할 수 ... ...
벌떡 일어나는 로봇 등장
과학동아
l
200509
반듯하게 누워 있다가 두 팔을
뒤
로 뻗어 올린다. 발을 쭉 뻗으며 가슴께로 끌어 올린
뒤
어깨로 몸을 지탱해 무게 중심을 잡는다. 이어 몸을 앞으로 굴리며 두 발로 땅을 디뎌 균형을 잡고 선다.이 로봇은 시시각각 변하는 무게 중심에 맞춰 자율적으로 균형을 잡고 필요한 동작을 한다. 로봇 안에는 ... ...
떴다! 차세대 우주탐사선
과학동아
l
200509
올려주는 임무모듈과 추진기관이 붙는다. 이들은 각각 발사체에 실려 따로 발사된
뒤
우주에서 만나 조립된다.최근 NASA는 60일간의 ‘탐사시스템구조연구’(ESAS) 결과를 토대로 우주탐사 로드맵을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CEV는 캡슐 모양이 될 가능성이 크다. 우주왕복선처럼 양 날개를 이용해 ... ...
입체음향시스템
과학동아
l
200509
맞춰 틀어주는 대신 필름에 직접 소리 정보를 담는다. 6개의 독립된 음원을 저장한
뒤
각각의 스피커로 소리를 나눠보낸다.세계 음향 표준 돌비 디지털소리가 저장된 부분을 통과한 발광다이오드 빛이 광학센서(CDD)에 닿으면서 수백 가지 0과 1의 조합으로 바뀌면서 정교한 소리로 바뀐다.입체음향의 ... ...
강원도 산골에서 만난 바닷가 나비
과학동아
l
200509
서로 평행을 이뤄야 합니다. 파리목(目)은 앞다리 두 쌍이 앞을 향하고 뒷다리 한 쌍이
뒤
를 향하게 맞춰 주세요.”조교들이 돌아다니며 날개를 어떻게 펴고, 핀을 어디다 꽂아야 하는지 능숙하게 지도했다. 나비목의 날개를 펴서 고정시키는 것을 전시(展翅), 딱정벌레목의 다리를 고정시키는 것을 ... ...
허블의 우주팽창 발견 실험
과학동아
l
200509
후반에는 허블상수가 50~90km/s/Mpc이라고 알려졌다. 1990년 허블우주망원경이 우주에 설치된
뒤
허블상수는 더욱 정확해졌다. 2001년 5월 허블상수는 72±8km/s/Mpc로 추정됐다. 2003년 2월에는 미국 항공우주국(NASA)에서 발사한 윌킨슨 탐사위성(WMAP)이 허블상수를 71±4km/s/Mpc로 계산하기도 했다. 두 값은 ...
반갑지 않은 봄의 손님, 황사
어린이과학동아
l
200508
흙이 비처럼 내렸다. 전라도 전주와 남원에는 비가 내린
뒤
에 연기 같은 안개가 사방에 꽉 끼었으며, 쓸면 먼지가 되고 흔들면 날아 흩어졌다.’조선 명종 5년(1549) 3월 22일을 기록한 역사책 속에는 한양에 흙비가 나흘 동안 내렸다는 기록이 남아 있습니다. 이뿐만 아니라 삼국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도 ... ...
타임머신 가능하다
과학동아
l
200508
공간이
뒤
틀려 도넛처럼 생긴 중력장이 생길 수 있다”며“이 부근에서 시간과 공간이
뒤
로 굽을 수 있어 이론적으로 과거로 가는 시간여행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그는“이 원리를 이용해 타임머신을 만들 수 있는 가능성은 50%일 것”이라고 주장했다 ... ...
Ⅰ. 노장 디스커버리의 우주 행진곡
과학동아
l
200508
우주인으로 기록된 미국의 우주영웅 존 글렌이 탑승했던 왕복선이 디스커버리다. 7년
뒤
이제 디스커버리 차례가 됐다. 디스커버리가 노장의 저력을 보여 줄 날이 다가오고 있다.디스커버리, 누가 타나?- 선장 : 아일린 콜린스(49). 미 공군 대령. 1999년 미국 여성 최초로 우주선장에 임명돼 컬럼비아호 ... ...
Ⅱ. 한여름밤 혜성의 누드쇼
과학동아
l
200508
딱딱하고 표면은 부드러운 물질로 돼 있는데 충돌체가 부드러운 표면에 먼저 충돌한
뒤
다시 내부에 부딪쳤기 때문에 두 개의 기둥이 생겼다는 것이다. 이번 충돌로 혜성에서 분출된 물질은 수만t이 넘었다.한국천문연구원도 충돌 당시 혜성의 사진을 찍었다. 혜성 중심부는 충돌 직후 2배, 충돌 30분 ... ...
이전
594
595
596
597
598
599
600
601
60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