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변종
뉴스
"
돌연변이
"(으)로 총 1,033건 검색되었습니다.
화성탐사 무한경쟁·사람세포 배양하는 쥐 탄생…네이처가 뽑은 2020년 과학이슈
동아사이언스
l
2019.12.24
전세계 4개 대륙 15개 연구팀으로 이뤄진 국제 연구팀은 진핵생물이 어떻게 진화하고
돌연변이
에 대처하는지 이해하기 위해 DNA를 합성해 효모의 유전체를 만드는 '합성 효소 2.0'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2017년에는 효모 유전체의 3분의 1이상을 합성하는 데 성공했다. 국제 연구팀은 내년에는 효모 ... ...
난소암·자궁암 맞춤형 치료 가능해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24
한 번에 수백 개의 유전자를 분석해 표적항암제가 선택적으로 공격하는 표적인
돌연변이
가 있는지 찾을 수 있다. 또 연구팀은 이들 조직에 37개 분자표적 약물을 각각 적용했을 때의 효능을 분석했다. 그 결과 종양을 억제하는 유전자인 P53의 변이 여부에 따라 난소암 치료에 쓰이는 표적항암제 ... ...
고양이를 닮은 정체불명 동물
팝뉴스
l
2019.12.20
많은 네티즌들은 고양이 탈을 뒤집어쓴 사람인 것 같다고 말한다. 반면 고양이 중에서
돌연변이
가 있어 저렇게 앉을 수 있지 않겠냐며, 호기심을 나타내는 댓글도 있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만들고, 감탄을 ... ...
[인류와 질병] 유독 인간에게 찾아오는 질병 '암'
2019.12.07
지나지 않는다. 하지만 75세에는 1000명이다. 무려 100배 증가한다. 연령이 증가하면 누적된
돌연변이
도 많아지고, 환경적 발암 요인에 노출된 기간도 늘어난다. 게다가 외부의 자극에 대한 방어능력도 떨어진다. 암은 분명 진화적 트레이드 오프의 결과지만, 동시에 새로운 환경과 유전자의 불일치에 ... ...
6년 걸리는 원시우주 연구 3개월에 끝낸다…슈퍼컴 ‘누리온’ 가동 1년
동아사이언스
l
2019.12.02
분석해 알츠하이머에 존재하는 유전변이를 찾아내 노화과정에서 발생하는 후천적 뇌
돌연변이
가 알츠하이머의 새로운 원인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내고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 발표했다. KISTI는 ‘초고성능컴퓨팅 기반 R&D 혁신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엄선된 연구에 ... ...
미토콘드리아DNA 유전질환 적은 이유는 '병목현상'
동아사이언스
l
2019.11.19
DNA
돌연변이
가 자녀에게는 없다는 사실을 발견했다"고 말했다. 그는 "미토콘드리아 DNA
돌연변이
는 한 세대만에 사라지기도 하지만, 가계에 따라 5~10세대까지도 이어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어머니가 갖고 있는 미토콘드리아 DNA 사본은 수천 개에 달한다. 하지만 이 중 자녀에게 유전되는 것은 7~1 ... ...
예방만 하던 백신, 암·감염병 치료 최전선에 선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1.07
방사선 치료에 이어 네 번째 암 치료법으로 꼽히는 '면역 치료'다. 건강한 사람은 유전자
돌연변이
로 암세포가 발생해도 면역계가 정상 세포와 다른 암세포를 인식하고 없앨 수 있다. 최근에는 이런 면역반응을 활용해 면역세포가 암세포를 잘 찾아 죽이게 하는 방식의 면역치료 기술을 도입하고 ... ...
유전자치료제 시대 오려면 '고비용-면역반응' 숙제 풀어야
동아사이언스
l
2019.11.06
유전자 치료제 전망에 관해 이렇게 말했다. 유전질환은 특정 유전자가 누락되거나
돌연변이
가 생겨 제기능을 하지 못해 호르몬이나 조직 등 단백질을 만들어내지 못하는 탓에 발생하는 병이다. 혈액응고인자 유전자가 결핍돼 출혈이 잘 멎지 않는 혈우병, 신경세포에 대한 독성을 없애는 효소 ... ...
위험률 99.9% 치매 유전자 갖고도 치매 피하는 방법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1.05
않은 70대 여성 A를 발견했다. A의 가족들 중에는 젊은 알츠하이머 치매를 일으키는
돌연변이
유전자(PSEN1)를 가진 사람이 많았다. 이 유전자를 가진 사람들이 젊은 알츠하이머 치매에 걸릴 위험은 99.9%에 이른다. 그래서 A의 가족 중 이 유전자를 가졌던 사람들은 모두 40세 전후로 치매 증상이 나타나 ... ...
"미토콘드리아DNA로 인류 기원 알기 어려워" 남아프리카 기원설 무너지나
동아사이언스
l
2019.11.01
올라가는 분자시계 접근법이 맞는지에는 논란이 있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또
돌연변이
발생시점이 집단이나 종의 발생 시점은 아니다”라며 “L0가 발생한 시점이 새로운 집단이나 새로운 종의 발생 시점은 아닐 수 있다”고 말했다. 집단유전학자인 정충원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는 ... ...
이전
55
56
57
58
59
60
61
62
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