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변종
뉴스
"
돌연변이
"(으)로 총 1,033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 연구자 발표한 '세 부모 자녀' 가이드라인 반박 연구 나와
동아사이언스
l
2019.10.17
4세대를 스크리닝 했지만 병이 나타나지 않는 가족이었다”고 말했다. LHON를 일으키는
돌연변이
를 갖고 있더라도 실제로 실명에 이를 확률은 남성은 약 50%, 여성은 10%로 알려져 있다. 강 교수는 “다만 이러한 가능성이 있으면 공여자로 되어서는 안된다는 것은 회귀 현상과 관계없이 동의해 이번 ... ...
‘디자이너 베이비’ 조기사망 가능성 제기 연구논문 철회
동아사이언스
l
2019.10.15
교수는 지난 8일 네이처에 낸 논문을 철회했다. 일부 과학자들은 백인에서 나타나는
돌연변이
와 달리, 디자이너 베이비들은 자연적으로 유전자를 잃은 것이 아니기 때문에 기존에 CCR5-Δ32를 가진 사람들과 비교해서는 안 된다며 아직 밝혀지지 않은 유전자 편집의 위험성이 분명 있을 것이라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하루 주기 변덕은 생체시계 때문?
2019.10.08
방을 피하는 게 로돕신7 때문일지 모른다. 연구자들은 로돕신7 유전자의 발현을 낮춘
돌연변이
초파리를 만들었고 예상대로 파란빛 방을 피하는 행동이 사라졌다. 사람도 조명 색 선호도 바뀌나 연구자들은 논문 말미에서 “사람에서도 초파리처럼 하루 시간대에 따라 조명 색 선호도가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 산소 감지하는 세포 '분자스위치' 암 치료 새 장 열다
2019.10.08
희귀 유전 질환을 연구하고 있었다. 그는 이 질병의 원인 유전자로 VHL을 밝혀냈다. VHL의
돌연변이
가 신장암 등의 질병을 일으킨다는 것이다. ●전혀 다른 연구 주제에서 '산소 분자 스위치' 단서를 찾다 2019 노벨 생리학수상자 중 한 명인 윌리엄 케일린. 하버드대 데이나파버 연구소 제공 케일린 ... ...
노벨생리의학상 수상자 공적 발표 보도자료 전문
2019.10.07
von Hippel-Lindau 's disease=VHL disease)을 연구하고 있었다. 이 유전질환은 유전된 VHL 유전자
돌연변이
가 있는 가족에서 특정암이 발생할 위험을 급증시킨다. 케일린 교수 VHL 유전자가 암 발생을 예방하는 단백질을 만든다는 것을 밝혔다. 또 VHL 유전자가 결여된 암 세포가 비정상적으로 산소결핍 조절 ... ...
올해 662명 목숨 앗아간 호주 독감, 북반구도 위협
동아사이언스
l
2019.10.07
옮기는 감염질환이다. 이 바이러스는 유전정보를 RNA에 담고 있는데, RNA는 DNA에 비해
돌연변이
가 잦다. 그만큼 신종이 탄생할 가능성이 높다. 전문가들은 인플루엔자바이러스 표면에 나 있는 헤마글루티닌(HA 단백질)과 뉴라미니데이스(NA 단백질) 수용체의 종류를 보고 바이러스 균주의 이름을 ... ...
뇌 속에서 ‘부작용 없이 살빼는 약’ 실마리 찾았다
2019.10.07
고혈압 등 대사증후군이 발생하고 지나치게 적게 발현하면 거식증이 발생했다. 연구팀은
돌연변이
유전자에 대한 추가 연구를 통해 대사증후군과 거식증 치료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권혁무 울산과학기술원(UNIST) 교수팀은 ‘톤이비피’라는 단백질이 백색 지방 세포의 ... ...
파킨슨병 유발 새 원인 밝혀
동아사이언스
l
2019.10.01
ARSA와 파킨슨병이 관련이 있다는 뜻이다. 연구팀은 예쁜꼬마선충을 관찰한 결과 ARSA에
돌연변이
가 있을 경우 ARSA가 비정상적인 단백질의 주요성분인 알파시뉴클린과 결합하면서 비정상적인 단백질 덩어리가 만들어지고 다른 세포로 전이하는 현상을 확인했다. 하지만 정상적인 ARSA는 ... ...
[인류와 질병] 크레이지 캣 레이디
2019.09.28
음성인 사람만 있기 때문이다. 반대로 과거에는 Rh 양성만 있었다고 가정해보자. 그런데
돌연변이
로 Rh 음성 여성이 태어났다고 하자. 이 여성은 Rh 양성 남성과 결혼했을 것이다. 세상에는 Rh 양성인 사람만 있기 때문이다. 두 경우 모두 결과는 비극적이다. 이러한 미스터리를 이형접합체 유리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아프리카돼지열병 어떻게 한국까지 들어왔을까
2019.09.24
결과 이들의 공동조상이 1712년 살았던 바이러스임을 밝혔다. 물론 1712년이라는 연도는
돌연변이
속도를 추정해 통계적으로 분석해 산출한 결과(평균값)일 뿐이지만 아무튼 300여 년 전이라는 말이다. 이는 바이러스가 이 무렵 돼지(또는 이들이 야생화한 멧돼지)와 첫 만남을 가졌고(따라서 ... ...
이전
56
57
58
59
60
61
62
63
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