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동성애
동성연애
호모섹슈얼
동성애자
동성연애자
남색
레즈비언
d라이브러리
"
호모
"(으)로 총 191건 검색되었습니다.
아시아인 뿌리 밝힐 제3의 인류
과학동아
l
201309
하지만 본격적인 빙하기가 시작되면서
호모
에렉투스는 이 지역에서 사라졌습니다.
호모
에렉투스가 다시 이 지역을 찾은 것은 약 30만 년 전입니다. 그 이후 인류는 이 지역을 떠나지 않고 계속 살았습니다. 이들은 여러 가지 석기를 남겼는데, 특이하게도 석기의 모양새가 약 8만~7만 년 전부터 눈에 ... ...
머리가 굳는다? 새빨간 거짓말!
과학동아
l
201306
컸습니다. 씹는 근육도 발달해 턱뼈와 광대뼈도 엄청나게 컸습니다. 반면 육식을 주로 한
호모
에렉투스는 상대적으로 큰 두뇌(1000cc)를 가진 대신 이빨이 작고 씹는 근육 역시 작았습니다. 식습관과 두뇌 크기 사이에 놀라울 정도로 관련이 있어 보입니다.인류의 두뇌는 거꾸로 진화하나유지비가 ... ...
가장 ‘사람다운’ 얼굴 찾아 반세기
과학동아
l
201305
아니었습니다. 새로운 종의 대표 화석이 됐죠. 이를 통해 200만 년 전의 초기
호모
속은
호모
하빌리스 혼자가 아니었다는 사실이 밝혀졌습니다.이제, 40년에 걸친 논쟁은 새로운 국면으로 접어들었습니다. 연구 결과와 별개로, 이 발굴과 연구를 이끈 연구자의 이름에 다시 눈이 가는 것은 어쩔 수 ... ...
사자와 사람 기생충이 닮았다?
과학동아
l
201304
200만~250만년 전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이때는
호모
하빌리스 등 인류의 직계 조상인
호모
속의 다양한 인류가 태어나던 시기다. 이 시기까지 사람과 사자는 먹이와 기생충을 공유했다는 것이다.인류는 사자와 경쟁했다이 가설을 바탕으로 과거 아프리카 대륙에서 벌어진 일을 좀더 구체적으로 ... ...
‘킹콩’이 살아 있다면
과학동아
l
201303
돌 대신 당시 동남아시아에 풍부하게 자라나던 대나무로 도구를 만들었다고 주장합니다.
호모
에렉투스는 대나무를 마구 베었고, 기간토피테쿠스가 살 곳은 점점 줄어들었다는 거죠.그뿐 아닙니다. 굶주림까지 겪었습니다. 기간토피테쿠스의 이빨을 보면 성장기에 영양실조에 걸렸던 흔적이 많이 ... ...
‘너’와 ‘나’를 잇는 끈 협력
과학동아
l
201302
비슷하게 작고 약했으며 머리가 좋지도 못했습니다. 하지만 하나가 달랐습니다.
호모
속은 처음 지구에 나타나던 시기부터 서로 도왔습니다.인류 최고의 무기, 협력과 이타심그렇다면 인류는 어떻게 해서 서로 돕게 됐을까요. 생판 모르는 남에게 이타성을 발휘하게 한 원동력은 무엇이었을까요 ... ...
아프리카의 아성에 도전하는 아시아의 인류
과학동아
l
201301
호모
에렉투스입니다. 이들 역시 아시아를 떠나 전세계로 퍼져 나갑니다. 아프리카의
호모
에렉투스 역시 그 후손입니다.아직은 시나리오입니다. 하지만 아프리카 바깥에서 에렉투스가 기원했다는 가설은 더이상 황당무계한 주장이 아닙니다. 그 중 아시아에서 기원했다는 가설이 맞을지, 우리를 ... ...
2012 올해의 과학책
과학동아
l
201212
많은 자손을 오랜 세대에 걸쳐 여러 곳에 퍼뜨렸느냐다. 이 기준에 따른다면 현생인류인
호모
사피엔스는 꽤 성공적인 종이다. 오늘날 지구에 존재하는 대형 포유류 중 인류보다 개체수가 많은 종은 없기 때문이다. 어떻게 이런 성공이 가능했을까. 고고학자가 현생인류의 적응 방법을 꼼꼼히 복원한 ... ...
베이징인과 야쿠자의 추억
과학동아
l
201212
2009년 가을이었습니다. 저는
호모
에렉투스의 일종인 ‘베이징인’ 발견 80주년 기념 학회에 초대받아 중국 베이징에 갔습니다. 논문 발표가 끝나고 베이징인 화석이 ... 있을지 모른다는 생각이 문득 듭니다. 어쩌면 살면서 가장 먼 거리를 여행했을지 모르는
호모
에렉투스로서 말이지요 ... ...
세상을 확실히 끝내는 9가지 방법
과학동아
l
201210
없애지 말고, 염증을 느끼게 하는 단 하나의 종만 사라지게 하면 되지 않는가. 예를 들어
호모
사피엔스. 이 종이 잘 걸리는 치명적이고 전염성이 강한 병원체를 만들어 슬쩍 사람 많은 장소에 흘리면 된다. 인수 공통 전염병이라면 더욱 좋다. 올초 과학계에서 이슈가 된 인공 바이러스가 독성만 더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