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호모"(으)로 총 191건 검색되었습니다.
- 우리 할머니는 아티스트과학동아 l201210
- 것은 사실이었습니다. 노년층의 비율은 오스트랄로피테쿠스(약 400만 년 전 등장)보다 호모 에렉투스(200만 년 전)에서 더 커졌습니다. 네안데르탈인(약 60만 년 전 등장)에서는 더 높아졌고요.하지만 노년기가 등장한 시기는 달랐습니다. 네안데르탈인까지는 모두 노년층보다는 청년의 비율이 더 ... ...
- 초기 인류, 혼자가 아니었을까과학동아 l201209
- 인류의 직접적인 조상인 초기 호모 속(속은 종의 상위 개념)은 약 200만 년 전후에 처음 등장했다. 그런데 당시 하나의 종이 아니라 여러 종이 존재했다는 ... 것은 아니다”고 소개했다. 팀 화이트 UC버클리 고인류학과 교수는 “우리는 아직 호모 하빌리스도 제대로 모른다”고 비판했다 ... ...
- 2. 말은 엉덩이 힘으로 달린다과학동아 l201208
- 있다. 전 세계에서 모인 남녀가 26개 종목에 걸쳐 기량을 겨루는데 이 가운데 한 종목에는 호모 사피엔스 이외의 동물이 선수로 참여한다. 바로 승마에 출전하는 말이다. 마장마술, 종합마술, 장애물 각각 개인과 단체전 모두 6개 메달이 걸려있다. 물론 말이 뛰기는 하지만 아무래도 기수, 즉 사람의 ... ...
- 최초의 화가는 4만 800년 전?과학동아 l201207
- 작품보다 약 4000년 앞선 4만 800년 전 조상이 후보가 됐다. 최초의 예술 작품은 현생인류(호모 사피엔스)가 아닌 네안데르탈인이 만들었을 가능성도 제기됐지만 전문가들의 의견은 분분하다.앨리스테어 파이크 영국 브리스톨대 인류학과 교수팀은 스페인북서부 해안에 위치한 엘 카스티요 동굴 등 1 ... ...
- 아이 러브 ♥ 고기과학동아 l201207
- 효율적인 형태의 아포지방단백질 유전자는 150만 년 전에 등장했습니다. 이 때는 바로 호모 에렉투스가 큰 두뇌와 몸집을 하고 아슐리안 돌도끼(석기의 양쪽 면을 가공해 다듬은 발전된 석기)를 만들어내는 시점입니다. 인류는 큰 두뇌와 큰 몸집을 가지고 사냥을 제대로 하면서 본격적으로 고기를 ... ...
- '머리 큰 아기' 엄마는 괴로워과학동아 l201205
- 35월이 되면 많이 부르는 노래 ‘어머니의 마음’은 이렇게 시작합니다.“나실 제 괴로움 다 잊으시고….” 아기를 낳는 일은 여자의 일생에 ... 이것이 진정한 인간을 나타내는 특징이라고 볼 수 있지 않을까요. 만약 그렇다면, 호모 에렉투스는 진정한 최초의 인간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 ...
- 빙하시대가 주선한 고대 인류 만남의 장소, ‘레퓨지아’과학동아 l201204
- 일어난 진화적 변화로 인간이 범지구적인 종이 될 수 있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인간(호모 사피엔스)과 달리 네안테르탈인과 데니소바인은 멸종했다 ... ...
- 공간을 지배하는 자, 자기장과학동아 l201204
- 전동기는 일반 전동기와는 달리 닫힌 회로를 통과하는 자기장의 세기가 변하지 않는다. 호모폴라 전동기는 자기력으로 회전운동을 만들 수 있는 첫 번째 기구였으며, 1821년에 패러데이가 영국왕립학회에서 처음 만들어 보였다 ... ...
- 최종경선! 최초의 인류는 누구?과학동아 l201204
- 생물의 종 이름은 대개 그 종에서 가장 특징적인 부분을 나타냅니다. 인간의 종명, ‘호모 사피엔스’는 ‘알고 있는 인간’ 다시 말해 ‘지적인 인간’이라는 뜻입니다.오랜 동안 학자들은 인류의 조상이라면 다른 건 몰라도 두뇌 하나는 컸을 것으로 추측했습니다. 나머지 특징들은 그 뒤에 ... ...
- 냄새 맡는 능력이 인류를 살렸다!어린이과학동아 l201201
- 영역과 직접 연결돼있어요. 하르바티 교수는 “후각은 기억과 직결돼 있다”며, “호모 사피엔스의 뛰어난 후각이 집단을 결속시키고 사회적으로 진화시켜 살아남고, 그렇지 못한 네안데르탈인은 멸종했을 것”이라고 말했답니다. 연구팀은 인류가 사회적으로 진화하는데 후각이 중요한 역할을 ... ...
이전23456789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