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살충제 잘못 쓰면 사람도 쓰러진다과학동아 l2013년 07호
- 아세틸콜린의 분해를 막는다. 아세틸콜린은 신경세포 사이에서 신경정보를 전달한 뒤, 효소에 의해 분해돼야 한다. 이때, 유기인계 살충제가 아세틸콜린 분해를 방해하면 분해되지 않은 아세틸콜린이 부교감신경을 계속 흥분시켜 피부 자극, 두통, 소화불량 증상이 나타난다.미국 캘리포니아주에서 ... ...
- 코끼리로봇 코 구부리며 하는 말이...과학동아 l2013년 07호
- 참이었다. “육각형으로 움직여라”는 명령을 받은 탱크봇은 정확한 거리를 움직인 뒤, 절도 있는 동작으로 몸을 틀었다. 아이들은 바닥에 엎드려 로봇 주변으로 이리저리 손과 발을 대보며 센서를 찾기도 했다.6월 19일, ‘레고 마인드스톰 에듀케이션 EV3’가 국내에 처음 공개된 서울 삼성동 코엑스 ... ...
- 투명한 뇌, 우울증 신경을 찾다과학동아 l2013년 07호
- 뇌과학 연구소는 해상도가 매우 높은 7.0T MRI를 이용해 뇌를 2mm 간격으로 촬영한 뒤 고유의 방법으로 데이터를 분석해 뇌지도를 만들었다.뇌지도를 만들 때 일반적으로는 DTI(물 분자의 확산성 강조 사진)를 촬영해서 3단계에 걸쳐 컴퓨터 소프트웨어로 처리한다.뇌과학연구소는 처리 과정에서 ... ...
- [섭섭박사가 간다!] 힘을 분산시켜 튼튼! 현수교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7호
- 큰일 날 뻔 했지 뭐야!내가 만든 현수교에 문제가 생길 줄이야….섭섭박사님~! 저희를 뒤로 하고 그렇게 휙 가버리시다니….이렇게 달리기를 잘하시는지 몰랐어요! 그런데 현수교가 뭐예요?흠흠…. 현수교는 다리 종류 중에 하나야.다리는 그 생김새에 따라 구분하거든.우와~, 다리도 여러 종류가 ... ...
- 두 얼굴의 글자를 해독하라!수학동아 l2013년 07호
- 것과 오른쪽부터 읽은 것이 서로 같은 것을 ‘팰린드롬’이라고 한다. 이탈리아어로 ‘뒤로 되돌아가기’란 뜻의 ‘palin drom’에서 유래된 말이다. 앰비그램이 모양에 초점을 둔 글자퍼즐이라면, 팰린드롬은 읽혀지는 소리에 초점을 뒀다고 볼 수 있다.간단한 단어로는 영어의 ‘level’, ‘refer’와 ... ...
- [통계이야기] 국가의 나침반, 지표와 지수수학동아 l2013년 07호
- 사려면 얼마인지를 계산해 구합니다. 즉 비교 시점의 물가를 기준 시점의 물가로 나눈 뒤 100을 곱한 값이죠. 예를 들어 어느 특정시점의 물가지수가 120이라면, 이는 기준시점보다 물가수준이 20% 높은 것을 의미해요.소비자 물가지수 외에도 물가와 관련된 지수로는 이마트 지수, 엥겔계수 등이 ... ...
- [시사] 야구 하는 고릴라가 나타났다! 미스터 고수학동아 l2013년 07호
- 바탕으로 좋은 선수들을 싸게 영입해 20연승이라는 대기록을 만든다.성충수의 행동 뒤에도 야구 기록을 철저히 통계적으로 분석하는 세이버매트릭스의 방법이 있었을 것이다. 고릴라를 한국의 야구단에 입단시켜야겠다는 판단 역시, 쳤다 하면 홈런인 링링의 야구 기록을 분석한 결과였을 것이다. ... ...
- 중세 시신에서 찾은 천 년 ‘세균 족보’과학동아 l2013년 07호
- 사용하는 염기서열은 게놈 20벌 분량이므로, 연구팀의 자료는 훨씬 신뢰도가 높았다. 그 뒤 이렇게 해독한 게놈을 오늘날 지역별로 곳곳에 퍼져 있는 후손 11종의 게놈과 비교했다.그 결과 마이코박테리아는 지난 1000년 동안 거의 변화가 없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또 유전자의 변이를 바탕으로 종 ... ...
- [life & Tech] 42° 고개를 들면 무지개가 보인다과학동아 l2013년 07호
- 판지 안에 쏙 들어오는 곳까지 다가가야 유리무지개가 보인다. 판지를 세워두고 뒤로 갔더니 유리무지개는 커졌고 판지에 다가갈수록 작아졌다. 더 가까이 다가가니 두 개의 원형 무지개가 서로 겹친 모양을 볼 수 있었다. 두 눈이 각각의 제1무지개를 본 것이다. 한쪽 눈을 감으면 한 무지개가 ... ...
- [hot science] 건강 근육, 몸짱 근육과학동아 l2013년 07호
- , 미끈한 팔(女)을 위한 ‘이두근, 삼두근’이두근은 팔의 앞쪽에 있는 근육, 삼두근은 팔 뒤쪽의 근육을 지칭한다. 긴 근육과 짧은 근육이 합쳐 있다고 해서 이두근이며 팔을 굽힐 때 사용한다. 보통 이두근을 ‘알통’이라고 부른다. 삼두근은 세 개의 근육이 모인 것이며 팔을 펴주는 기능을 한다 ... ...
이전59859960060160260360460560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