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나중
다음
배후
뒤쪽
후방
꽁무니
d라이브러리
"
뒤
"(으)로 총 9,103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는 여전히 출산 중
과학동아
l
200503
실제로 천문학자들은 갤렉스의 전천탐사 관측 자료에 나타난 수많은 은하들을 분석한
뒤
에야 36개의 아기 은하를 발견할 수 있었다.미국 존스홉킨스대의 헥크만 박사를 선두로 한 공동 연구팀은 갤렉스가 2003년 8월부터 2004년 1월 사이에 얻은 전천탐사 관측자료를 분석했다. 이들은 관측된 수많은 ... ...
한계없는 커뮤니케이션에 도전한다
과학동아
l
200503
있다. 신규 서비스가 붐을 타고 각 기업들이 앞다퉈 기술 개발에 매진한다면 몇 년
뒤
“이제 KTX에서도 인터넷을 할 수 있게 됐습니다”라는 뉴스를 볼 수 있을지도 모르겠다.세계 최초는 위험해와이브로라는 신기술이 장밋빛 전망만 있는 것은 아니다. 신규서비스이니만큼 불확실한 요소도 있다. 20 ... ...
파리에 가다, 과학에 취하다
과학동아
l
200503
몰린 곳은 역시 모나리자야. 얼마나 사람이 많이 몰렸으면 한 줄로 들어갔다 그림을 본
뒤
바로 나와야 했다니까.이사벨이라고 하는 박물관 가이드 언니가 그러더라고. 다 빈치가 유명한 것은 빛을 미술에 절묘하게 이용했기 때문이래. 다 빈치의 그림을 보면 사람에 빛을 비추고 그 효과를 절묘하게 ... ...
라부아지에 산소 실험
과학동아
l
200503
공기를 넣고 밀폐했다. 그런 다음 유리병 속에 순수한 수은 4온스(약 124g)를 넣은
뒤
유리병을 12일 동안 물이 끓는 온도에서 보관했다. 12일째 되는 날 불을 끄고 병을 식힌 다음 공기의 양을 쟀다. 공기가 1/6가량 줄어있었다. 라부아지에는 수은의 상당량이 산화됐다는 것도 관찰했다. 산화된 수은의 ... ...
쓰나미 지난 7월 예견 - 정부 외면
과학동아
l
200502
5시간
뒤
에 하와이를 덮친 해일은 159명의 목숨을 앗아갔다.1948년 설립된 경보센터는 그
뒤
지금까지 태평양에서 다섯차례 발생한 대형 쓰나미 모두에 대해 경보를 발동했다. 그러나 15회는 잘못된 경보를 내리기도 했다. 아무튼 태평양에는 해수면 파도 감시기가 설치돼 있지만 이번에 쓰나미가 ... ...
풍력, 제2의 벤처 바람 몰고 온다
과학동아
l
200502
갖고 있다. 또 예정대로라면 한국을 비롯한 개발도상국도 2013년부터 2017년까지 선진국의
뒤
를 따라야 한다.풍차의 나라 독일재생에너지 개발에 가장 발빠르게 대응하면서 ‘재미를 보는’ 곳은 유럽연합이다. 이 중에서도 독일은 풍력에너지로 소위 ‘남는 장사’를 하고 있다. 세계 풍력에너지의 ... ...
효소 이용해 의약품 만든다
과학동아
l
200502
먼저 효소의 3차원 구조를 밝혀 어떻게 생체반응을 촉매하는지를 규명했다. 그
뒤
효소에서 반응에 관여하는 부분의 아미노산을 바꿔가며 촉매활성이 다른 돌연변이체 효소를 얻어냈다. 효소 유전자를 얻어내 염기서열을 조작하면 원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효소를 만들 수 있다.“최근에는 이런 ... ...
3. 진화론 알아야 세상이 보인다
과학동아
l
200502
쉽다.최근 기업체들은 다양한 컨셉의 제품을 한꺼번에 내놓는 전략을 취하고 있다. 그
뒤
소비자의 반응이 좋은 제품을 택해 집중적으로 마케팅을 벌이는 것이다. 출판업계가 대표적인 분야. 2002년 4월 출간돼 100만권 이상 팔린 틱낫산 스님의 저서 ‘화’(명진출판)는 지금까지도 출판계의 신화로 ... ...
한국 드디어 로봇 르네상스 열었다
과학동아
l
200502
연결된 것이다. 유 박사는 이 로봇을 ‘네트워크 기반의 휴머노이드’라고 부른다. 2~3년
뒤
아시모 따라잡겠다NBH-1은 로봇 안에 집어넣을 수 없는 큰 컴퓨터를 이용할 수 있어 훨씬 더 다양한 기능을 갖출 수 있다. 유 박사는 “NBH-1은 실험실에 있는 25명의 연구원 얼굴을 인식하고 필통, 책 등 20여 ... ...
남극 하늘에 풍선 띄워 우주를 보다
과학동아
l
200502
10대 과제’로 선정한 바 있다.우리는 남극 하늘 42km 높이에 지름 180m의 대형 풍선을 띄운
뒤
여기에 달린 검출기를 이용해 우주입자를 찾을 계획이다. 검출기는 모두 5개 종류인데 이 중 ‘실리콘 반도체 우주입자 성분 검출기’가 한국측 이화여대 박일흥·양종만·남신우 교수, 경북대 박환배 교수, ... ...
이전
606
607
608
609
610
611
612
613
6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