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글로벌호크, 한반도에 뜰까과학동아 l2013년 02호
- 주요 활동 무대다(성층권에서는 산소가 매우 부족한데 이 때문에 생기는 문제는 뒤에 자세히 설명한다). 민간 항공기와 항공 사고가 일어날 가능성도 희박한 사실상의 독무대다.고고도 무인정찰기는 높이 때문에 지상에서 발사하는 요격미사일이 잘 닿지 않는다. 연료가 허락하는 한 민간 항공기나 ... ...
- 물질파로 시간·질량 잰다과학동아 l2013년 02호
- 나이를 덜 먹게 된다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두 세슘 원자가 있을 때 하나만 움직인 뒤 각각의 물질파를 측정하면, 움직인 세슘 원자의 시간이 느리게 가 그만큼 진동수도 줄어든다. 이 진동수의 차이는 측정이 가능하다. 아직은 현존 최고의 원자시계보다 1억 배 정도 정확도가 떨어지지만, 앞으로 ... ...
- [hot science] 외계인이 탐낸 물 우주에는 넘쳐난다!과학동아 l2013년 02호
- 내용을 담고 있다. 그 양은 지구에 있는 물의 수천 배다.연구팀은 앞으로 수백만 년 뒤에 이곳의 가스가 뭉쳐서 행성이 되기 시작할 것으로 내다봤다. 바깥쪽에 있는 차가운 수증기와 먼지는 뭉쳐서 혜성이 된다. 이들 혜성은 장차 행성이 태어났을 때 충돌하면서 물을 제공해줄 수 있다. 지구나 달 ... ...
- 와이파이는 왜 ‘찬밥’ 신세가 됐을까과학동아 l2013년 02호
- IEEE 802.11n 기술이 이용하는 주파수 대역이다(802.11n 표준 주파수 대역 중에 5GHz도 있다. 뒤에 설명한다).그런데 2.4GHz는 일종의 대표 주파수일 뿐 전송 대역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정확히 따지면 2.4GHz를 사용하는 와이파이의 전송 대역은 2.4~2.4835GHz(2400~2483.5MHz)다. 특정 라디오 방송 주파 ...
- 오류를 잡아라! 확률 법정수학동아 l2013년 02호
- 지금까지도 미국 대통령 선거 제도가 합리적인지를 따질 때 중요한 예로 언급된다.앞뒤를 못 가리는 ‘검사의 오류’이제 오늘의 마지막 사건이로군. 흠…. 끔찍한 살인사건이라…. 게다가 피의자는 유명한 스포츠 스타라고?재판장님. 이 사건의 범인은 명백합니다. 사건 현장에서 발견된 ... ...
- [2월] 도전! 과학동아 청소년기자과학동아 l2013년 02호
- 섭취한 음식물을 사용해 간에서 피가 만들어지고 피가 온몸으로 영양분을 전달한 뒤 소모된다고 믿었다. 의문을 품은 하비는 심장의 용적을 측정해 심장이 밀어내는 피의 양을 추정했다. 그 결과, 섭취한 음식물의 양보다 피의 양이 더 많음을 밝혀냈다. 그는 피 순환이론을 생각해냈다. 검증을 위해 ... ...
- 가장 특별한 스페셜올림픽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2호
- 넣고 싶어요. 건강했던 경재는 2살 때 바이러스에 감염된 뒤 지적장애를 겪게 됐어요. 그 뒤로 경재에게 여러 운동을 배우게 했죠. 운동을 하면서 웃음도 많아지고 말도 많이 늘었어요. 플로어하키를 잘하는 이유요? 아마도 예전에 하키선수였던 저를 닮았나 봐요!- 김영숙 최경재 선수 어머니.지난 ... ...
- Let's MATH PARTY!수학동아 l2013년 02호
- 궁금증이 생기면 그것에 답을 구하기 위해 가정과 추측을 하고, 나름대로 답을 구한 뒤 그 답이 맞는지 확인하세요. 그러면 수학적 사고력이 길러지고, 이것은 난제를 해결하는 원동력이 됩니다.얼광아, 사실 파티 문제에서 수학적으로 가장 잘 조직된 것은 한 가지 색으로 그려진 그래프래. 즉 서로 ... ...
- 세상에서 가장 슬픈 향기, 커피로드과학동아 l2013년 02호
- 당시 프랑스의 지배를 받던 남미 북쪽의 마르티니크 섬에 들어갑니다. 그리고 몇 년 뒤 커피 수확에 성공하며 크게 번창하지요.그런데 고립된 이 섬에서 약간의 변종이 만들어집니다. 커피도 작물이니 육종을 했겠죠. 이 종이 바로 티피카예요. 티피카 커피는 자메이카를 거쳐 멕시코와 베네수엘라 ... ...
- 당신의 대통령은 누구입니까과학동아 l2013년 02호
- 못 미치는 아쉬움을 남겼다.이번에는 한국갤럽이 유권자의 간을 제대로 보았지만, 5년 뒤에도 똑같은 결과가 나온다고 장담할 수는 없다. 이번에 틀렸던 한국리서치(YTN)는 지난 대선에서는 오히려 가장 정확했다. 여론조사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모집단에 가장 가까운 표본을 추출하는 것, 그리고 ... ...
이전6146156166176186196206216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