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존"(으)로 총 4,799건 검색되었습니다.
- 반도체 세대교체과학동아 l2021년 07호
- 반도체 개발 소식이 연달아 들려왔다. 한편에선 인공지능(AI) 기술의 성장에 맞춰 기존 반도체의 고정관념을 깬 새로운 AI 반도체를 만들고 있다. 브레이크 없이 달리는 반도체 발전, 어떤 방향으로 흘러가고 있는지 두 가지 포인트로 짚어봤다.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 Intro. 반도체 세대교체Part1 ... ...
- 더 작게 더 빽빽하게│ ‘초고집적 반도체’과학동아 l2021년 07호
- 3D V-Cache)’란 기술을 발표했다. TSV처럼 별도의 반도체를 쌓으면서도, M3D처럼 접점이 많아 기존 두 기술의 장점만 취한 적층 기술로 평가된다. 리사 수 AMD 최고경영자(CEO)는 “다른 적층 기술(TSV)과 비교해 접점이 15배 많으며, 이에 따라 발열, 소자 밀도, 연결 거리 등이 크게 개선돼 전력 소모도 3분의 ... ...
- [NST 모두를 위한 연구] 넘치는 음식물 쓰레기 석탄 대체 연료가 되다과학동아 l2021년 07호
- 발열량은 연료를 태울 때 발생하는 열량으로, 실제 에너지원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기존 화석연료에 준하는 발열량이 나와야 한다.김 선임연구위원이 개발한 음식물 쓰레기 고형연료는 이 기준을 충족했다. 1kg당 6200~6600kcal의 열량이 발생하는 것으로 공식 인증받았다. 화력발전에 사용되는 ... ...
- [이달의 책] 수학의 아름다움을 발칙하게 보여주다 외과학동아 l2021년 07호
- 본질적인 진리에 다가가고 싶은 독자들에게 이 책을 추천합니다. 개인적으로 기존의 수학 교양서들이 실생활 속 수학, 공학수학만을 다루는 경향이 있다고 생각해요. 조금 더 수학의 본질에 집중하고 싶은 친구들에게 새로운 시각을 제공해 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최정담 . KAIST 전산학부 재학 ... ...
- [특집] 다양한 지도를 만드는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7호
- 중세시대에 세계지도가 제작됐다. 12세기, 이슬람 지리학자 알이드리시의 지도 : 기존의 책과 여행가들의 정보를 모아 15년간 만든 세계 지도. 이 지도엔 중국 옆에 ‘Sila(신라)’가 섬나라 중 하나로 나와 있다. [근세의 지도]16세기, 헤르하르뒤스 메르카토르의 북극 지도 : 최초로 만들어진 북극의 ... ...
- [특집] 새로운 화폐, CBDC의 등장수학동아 l2021년 07호
- 민간은행이나 증권사처럼 권한을 나눠 가질 참여자와 블록체인을 형성하게 된다. 기존 퍼블릭 블록체인에서 코인을 얻기 위해 채굴할 필요도 없다. 프라이빗 블록체인은 공개키와 암호키를 활용한 전자서명 방식으로 블록을 생성한다. 오 교수는 “프라이빗 블록체인에 참여자는 보통 20~30곳으로 ... ...
- [IBS×수학동아] 생명의 비밀 파헤치는 수학자-김재경 교수수학동아 l2021년 07호
- p53 단백질의 양을 측정해보고 세포 종류도 바꿔봤는데 매번 같은 결과가 나와서, 기존 논문에 실었던 PER 단백질의 p53 안정화 실험 결과가 잘못된 것은 아닌가 의심까지 하는 상황이었다. 이런 모순된 실험 결과들은 연구자들에겐 골칫거리일 수 있다. 하지만 우리가 가진 지식에 구멍이 있다는 ... ...
- [한페이지 뉴스] 현미경 없이 현미경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과학동아 l2021년 07호
- 약물치료를 받더라도 환자에 따라 반응이 달라지는 이유를 분석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기존에도 마이크로프린팅, 마이크로비즈 등 이와 유사한 실험 기법이 개발됐지만, 이미지 해상도가 20~100µm(마이크로미터·1µm는 100만분의 1m)에 그쳤다. 그에 반해 식스코프는 평균 0.6µm의 높은 해상도를 ... ...
- [한페이지 뉴스] 표적 부위만 골라 열 쬐는 피부 접착 발열 장치과학동아 l2021년 07호
- 남아 있었다. 후지 도시노리 일본 도쿄공업대 교수팀은 이런 기준을 모두 충족하며 기존의 한계를 해결한 신체 이식형 표적 발열 장치를 개발했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펑셔널 머티리얼스’ 6월 9일자에 게재했다. doi: 10.1002/adfm.202102444 이식형 발열 장치의 가장 큰 장애물은 전자 ... ...
- [특집] 바닷속도 지도로 그린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7호
- 지나던 참고래의 노랫소리 기록 6건을 분석해 지층 두께를 알아냈지요.연구팀은 “기존에는 탐사선의 해양 탐사 장비로 인공적인 탄성파를 발생시켜 지질 탐사를 했는데, 인공 탄성파의 소음이 해양 생태계에 나쁜 영향을 준다는 지적이 있었다”고 말했어요. 이어 “참고래 노랫소리는 천연 탄성파 ... ...
이전57585960616263646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