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부
출장소
분관
지사
센터
장소
현장
d라이브러리
"
지점
"(으)로 총 2,069건 검색되었습니다.
물리와 감성이 공존하는 브라운아이드걸스 BASIC
수학동아
l
2015년 12호
웜홀을 지나야 훨씬 빠른 시간에 도착한다. 출발
지점
에서 가까운 블랙홀로 들어가 도착
지점
에 가까운 화이트홀로 나와야 한다는 얘기다. 하지만 화이트홀은 이론일 뿐, 아직까지 실제로는 밝혀지지마음 속 쿼크의 장난노래 제목인 ‘신의 입자’가 가리키는 것은 지난 2012년에 존재가 밝혀진 힉스 ... ...
불심에 담긴 수학을 찾아 황금의 땅 미얀마로
수학동아
l
2015년 12호
사원 밑면 중심으로부터 사원의 높이만큼을 한쪽 변에 수직인 방향으로 이으면 그 끝
지점
이 바로 물웅덩이의 위치가 됩니다. 과연 이 물웅덩이를 처음 만든 사람이 이런 원리를 이용해 위치를 정했는지는 알 수 없었지만 물웅덩이 하나로 모든 이의 머리를 숙이게 만든 지혜로움이 참으로 ... ...
폐허 위에서 품은 희망 네팔 지진 현장을 가다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4월 25일 처음 발생한 규모 7.8의 대지진은 카트만두에서 북서쪽으로 약 81km 떨어진
지점
에서 일어났다. 연구팀은 이 지진을 일으킨 히말라야 단층지대 바로 위에 설치된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과 인공위성에서 측정한 자료를 토대로 지진이 일어난 70초 동안의 기록을 분석했다. 그 결과 단층이 ... ...
뇌의 미시순환계를 보는 장치, 한국인이 개발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동시에 할 수 있다.송 교수는 “산화아연 미세광 전극체를 다발로 묶어 뇌신경의 여러
지점
에 꽂으면 동시다발적으로 일어나는 뇌신경 활동을 측정할 수 있다”고 밝혔다.이 연구결과는 ‘네이처 메소드’ 10월 12일자에 실렸다 ... ...
알고 나면 깜짝 놀랄걸? 아주 사소한 과학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1호
원통의 가운데에서 두 개의 빛이 교차하도록 레이저빔을 설치한 다음, 초파리가 그
지점
을 지나면 그림자가 생기도록 실험 상자를 설계했어요. 초파리는 갑자기 생긴 그림자를 보면 포식자가 공격하는 것으로 착각해요. 그래서 도망치기 위해 빠르게 비행경로를 바꾸지요. 연구팀은 1초에 7500장의 ... ...
세계의 지붕이 흔들!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1호
인공위성을 이용한 지진 예측을 시도하고 있어요. 단층 주변에 GPS를 설치해 각
지점
이 얼마나 움직이는지 위성으로 관찰하는 거예요. 다른 속도와 방향으로 움직이면 지하에 힘이 쌓이면서 지층이 부서질 테니까요. 하지만 아직 뚜렷한 성과가 나오지는 않았어요.한편 일본의 과학자들은 지진을 ... ...
[생활] 요트 과학적 스포츠의 추억
수학동아
l
2015년 11호
선택한다. 이 속도를 ‘유효 속도’라고 한다. 지그재그인 길은 겉보기와 달리 사실 목표
지점
으로 가는 가장 빠른길이다. 요트를 유효 속도가 가장 빠른 길로 정확하게 움직여야 경기에서 이길 수 있다.바다 위에서 요트의 현재 상황에 맞는 유효 속도를 매번 계산하기는 어렵다. 그래서 매 상황에서 ... ...
[Hot Issue] 화성에 WI-FI만 터졌더라면…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때, 데이터가 절대 스마트폰에서 스마트폰으로 바로 날아가지 않는다. 통신망 내 연결
지점
을 의미하는 ‘노드’를 무수히 지난다. 노드는 정보를 인식한 뒤 처리하거나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런 중간전달자들이 있어야 정보가 손실되지 않고 무사히 끝점까지 도착할 수 있다.현재 우주에는 이런 ... ...
[흔들리는 인류기원] Part2. 콜럼버스가 신대륙에서 만난 원주민의 기원은?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못했다면 지금부터는 세계 지도를 펼쳐놓고 이야기해보자. 현생인류가 처음 출발한
지점
은 15만 년 전 아프리카다. 아메리카에서 가장 오래된 인류 유적인 몬테 베르데는 남아메리카 최남단이다. 언제 어떻게 거기까지 갔을까. 클로비스가 최초의 신대륙인으로 꼽힐 때는 신대륙인의 조상이 1만500 ... ...
[Life & Tech] 세상이 궁금한 수원청개구리의 외출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어두워진 뒤, 5명의 연구원이 수조를 나눠 들고 논에 들어갔다. 논둑으로부터 2m 떨어진
지점
에서 뚜껑을 열고 기다리자, 수원청개구리가 시차를 두고 논으로 숨어들었다. 이미 7월 중순과 8월 초에 각각 20마리와 50마리를 방사했기 때문에, 이 논에서만 모두 150마리의 수원청개구리가 자연으로 ... ...
이전
57
58
59
60
61
62
63
64
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