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부
출장소
분관
지사
센터
장소
현장
d라이브러리
"
지점
"(으)로 총 2,069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물 분자, 그래핀 위에선 ‘서핑’
과학동아
l
2015년 12호
확산한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일반적으로 물 분자는 물질 표면의 한
지점
에서 다른
지점
으로 불규칙하게 ‘점프하듯(hopping)’ 이동한다. 그런데 그래핀 표면에서는 ‘서핑’하듯 일련의 흐름으로 움직인다는 것이 시뮬레이션 결과 밝혀졌다. 그래핀의 물결무늬 굴곡이 ‘파도’ 역할을 하기 ... ...
[Knowledge] 오지 연구원이 된 동물들
과학동아
l
2015년 12호
없었다. 기자 인생 6년 만에 처음 경험한 취재 실패였다. 2012년 2월 경남 고성독수리 포획
지점
에서 촬영한 사진.한국환경생태연구소는 멸종위기종인 독수리의 생태 파악을 위한 위치추적도 진행하고 있다. 스마트폰으로 우리 철새 이동경로 확인한다비록 철새를 직접 포획해서 위치추적기를 ... ...
알고 나면 깜짝 놀랄걸? 아주 사소한 과학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1호
원통의 가운데에서 두 개의 빛이 교차하도록 레이저빔을 설치한 다음, 초파리가 그
지점
을 지나면 그림자가 생기도록 실험 상자를 설계했어요. 초파리는 갑자기 생긴 그림자를 보면 포식자가 공격하는 것으로 착각해요. 그래서 도망치기 위해 빠르게 비행경로를 바꾸지요. 연구팀은 1초에 7500장의 ... ...
세계의 지붕이 흔들!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1호
인공위성을 이용한 지진 예측을 시도하고 있어요. 단층 주변에 GPS를 설치해 각
지점
이 얼마나 움직이는지 위성으로 관찰하는 거예요. 다른 속도와 방향으로 움직이면 지하에 힘이 쌓이면서 지층이 부서질 테니까요. 하지만 아직 뚜렷한 성과가 나오지는 않았어요.한편 일본의 과학자들은 지진을 ... ...
폐허 위에서 품은 희망 네팔 지진 현장을 가다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4월 25일 처음 발생한 규모 7.8의 대지진은 카트만두에서 북서쪽으로 약 81km 떨어진
지점
에서 일어났다. 연구팀은 이 지진을 일으킨 히말라야 단층지대 바로 위에 설치된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과 인공위성에서 측정한 자료를 토대로 지진이 일어난 70초 동안의 기록을 분석했다. 그 결과 단층이 ... ...
뇌의 미시순환계를 보는 장치, 한국인이 개발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동시에 할 수 있다.송 교수는 “산화아연 미세광 전극체를 다발로 묶어 뇌신경의 여러
지점
에 꽂으면 동시다발적으로 일어나는 뇌신경 활동을 측정할 수 있다”고 밝혔다.이 연구결과는 ‘네이처 메소드’ 10월 12일자에 실렸다 ... ...
[생활] 요트 과학적 스포츠의 추억
수학동아
l
2015년 11호
선택한다. 이 속도를 ‘유효 속도’라고 한다. 지그재그인 길은 겉보기와 달리 사실 목표
지점
으로 가는 가장 빠른길이다. 요트를 유효 속도가 가장 빠른 길로 정확하게 움직여야 경기에서 이길 수 있다.바다 위에서 요트의 현재 상황에 맞는 유효 속도를 매번 계산하기는 어렵다. 그래서 매 상황에서 ... ...
백투더퓨처 2015
수학동아
l
2015년 10호
모양까지 쌓을 수 있는지 예측하는 수학 모형을 개발했다. 이 모형을 이용하면 원하는
지점
마다 인쇄 시간을 정할 수 있어서 인쇄를 하는 동안에도 모양이나 조건을 다양하게 바꿀 수 있다. 첫 번째 재료를 쌓고 두 번째 재료를 쌓기 전에 굳히거나 가열할 수 있는 셈이다.몸속까지 젊게 만드는 ... ...
한글을 그리다
수학동아
l
2015년 10호
잡아당긴다고 생각해보자. 팽팽한 직선이었던 고무줄이 여러 곡선이 된다. 원하는
지점
을 어떻게 끌어당기느냐에 따라 고무줄은 다양한 모양과 방향으로 늘어난다. 여기에는 베지에 곡선이라는 수학식이 숨어 있다. 두 점을 잇는 선분을 일정한 비율로 나눈 점인 내분점을 이용하는 식이다. 그리고 ... ...
Part 1. 뫼비우스의 띠가 남긴 숙제
수학동아
l
2015년 10호
비율이 달라지면 띠의 곳곳에 에너지가 쌓인 정도도 달라진다. 띠의 모양은 띠의 각
지점
의 에너지 분포에 따른 결과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화장실로 간 수학자Part 1. 뫼비우스의 띠가 남긴 숙제Part 2. 물거품은 매듭을 알고 있다Part 3. 벽과 바닥에 숨은 ... ...
이전
57
58
59
60
61
62
63
64
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