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부
출장소
분관
지사
센터
장소
현장
d라이브러리
"
지점
"(으)로 총 2,069건 검색되었습니다.
세상에 없는 장난감을 팝니다!
과학동아
l
2015년 12호
계산했습니다. 동시에 로봇의 ZMP(무게 중심에 작용하는 모든 모멘트의 합이 ‘0’이 되는
지점
)를 제어하는 프로그램을 깔았습니다. 로봇이 스스로 중력과 관성력을 계산해 발바닥을 딛는 위치와 속도 등을 최적화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이죠.다음으로 소개할 것은 우리 가게에서 가장 큰 규모를 ... ...
물리와 감성이 공존하는 브라운아이드걸스 BASIC
수학동아
l
2015년 12호
웜홀을 지나야 훨씬 빠른 시간에 도착한다. 출발
지점
에서 가까운 블랙홀로 들어가 도착
지점
에 가까운 화이트홀로 나와야 한다는 얘기다. 하지만 화이트홀은 이론일 뿐, 아직까지 실제로는 밝혀지지마음 속 쿼크의 장난노래 제목인 ‘신의 입자’가 가리키는 것은 지난 2012년에 존재가 밝혀진 힉스 ... ...
알고 나면 깜짝 놀랄걸? 아주 사소한 과학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1호
원통의 가운데에서 두 개의 빛이 교차하도록 레이저빔을 설치한 다음, 초파리가 그
지점
을 지나면 그림자가 생기도록 실험 상자를 설계했어요. 초파리는 갑자기 생긴 그림자를 보면 포식자가 공격하는 것으로 착각해요. 그래서 도망치기 위해 빠르게 비행경로를 바꾸지요. 연구팀은 1초에 7500장의 ... ...
세계의 지붕이 흔들!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1호
인공위성을 이용한 지진 예측을 시도하고 있어요. 단층 주변에 GPS를 설치해 각
지점
이 얼마나 움직이는지 위성으로 관찰하는 거예요. 다른 속도와 방향으로 움직이면 지하에 힘이 쌓이면서 지층이 부서질 테니까요. 하지만 아직 뚜렷한 성과가 나오지는 않았어요.한편 일본의 과학자들은 지진을 ... ...
폐허 위에서 품은 희망 네팔 지진 현장을 가다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4월 25일 처음 발생한 규모 7.8의 대지진은 카트만두에서 북서쪽으로 약 81km 떨어진
지점
에서 일어났다. 연구팀은 이 지진을 일으킨 히말라야 단층지대 바로 위에 설치된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과 인공위성에서 측정한 자료를 토대로 지진이 일어난 70초 동안의 기록을 분석했다. 그 결과 단층이 ... ...
[생활] 요트 과학적 스포츠의 추억
수학동아
l
2015년 11호
선택한다. 이 속도를 ‘유효 속도’라고 한다. 지그재그인 길은 겉보기와 달리 사실 목표
지점
으로 가는 가장 빠른길이다. 요트를 유효 속도가 가장 빠른 길로 정확하게 움직여야 경기에서 이길 수 있다.바다 위에서 요트의 현재 상황에 맞는 유효 속도를 매번 계산하기는 어렵다. 그래서 매 상황에서 ... ...
뇌의 미시순환계를 보는 장치, 한국인이 개발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동시에 할 수 있다.송 교수는 “산화아연 미세광 전극체를 다발로 묶어 뇌신경의 여러
지점
에 꽂으면 동시다발적으로 일어나는 뇌신경 활동을 측정할 수 있다”고 밝혔다.이 연구결과는 ‘네이처 메소드’ 10월 12일자에 실렸다 ... ...
[Hot Issue] 화성에 WI-FI만 터졌더라면…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때, 데이터가 절대 스마트폰에서 스마트폰으로 바로 날아가지 않는다. 통신망 내 연결
지점
을 의미하는 ‘노드’를 무수히 지난다. 노드는 정보를 인식한 뒤 처리하거나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런 중간전달자들이 있어야 정보가 손실되지 않고 무사히 끝점까지 도착할 수 있다.현재 우주에는 이런 ... ...
Part 2. 물거품은 매듭을 알고 있다
수학동아
l
2015년 10호
멋대로 꼬인 매듭을 움직여서 더 이상 엇갈린
지점
을 줄일 수 없을 때, 엇갈린
지점
의 개수다.지금은 엇갈림수가 16 이하인 모든 매듭이 알려져 있다. 하지만 불변량 값이 같다고 해서 모두 같은 매듭인 건 아니다. 매듭을 거울에 비췄을 때 나타나는 매듭을 생각해 보면 된다. 클로버를 닮은 ... ...
한글을 그리다
수학동아
l
2015년 10호
잡아당긴다고 생각해보자. 팽팽한 직선이었던 고무줄이 여러 곡선이 된다. 원하는
지점
을 어떻게 끌어당기느냐에 따라 고무줄은 다양한 모양과 방향으로 늘어난다. 여기에는 베지에 곡선이라는 수학식이 숨어 있다. 두 점을 잇는 선분을 일정한 비율로 나눈 점인 내분점을 이용하는 식이다. 그리고 ... ...
이전
57
58
59
60
61
62
63
64
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