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점"(으)로 총 2,069건 검색되었습니다.
-
- Part 3. 적분은 미분의 반대가 아니다과학동아 l2015년 09호
- 구간을 작게 쪼개면, 각각의 구간들은 직사각형이 된다. 이 때 곡선과 만나는 어느 지점을 사각형의 높이로 삼을지에 따라 크기가 달라진다. 예컨대, 각 구간에서 최댓값만을 더한 ‘최댓값 리만 합’과, 최솟값만을 더한 ‘최솟값 리만 합’은 같지 않다(오른쪽 그림 참조). 그러나 무한대로 쪼개면 ... ...
-
- [Life & Tech] 눈의 여왕은 과연 몇 ℃일까과학동아 l2015년 09호
- “기준~!” 맨 앞에 있는 사람이 이렇게 외치며 손을 들면 그 뒤로 다른 사람들이 차례차례 줄을 선다. 마찬가지로 온도를 재려면 기준이 ... 이번에 볼츠만 상수를 기준으로 삼게 되면서 질량이나 시간 등 다른 단위와 연결되는 지점이 생겼어요. 마침내 온도도 단위의 제국에 들어온 겁니다 ... ...
-
- 아인슈타인도 깜짝 놀란 뇌 연구소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지점에서 전기 신호를 내는 뇌세포.*격자세포 : 일정한 간격과 각도로 떨어져 있는 지점에서 반복적으로 전기 신호를 내는 뇌세포. 쥐의 뇌를 투명하게 만들다!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학교 화학공학과 정광훈 교수는 쥐의 뇌를 투명하게 만드는 기술을 개발했어요. 연구팀은 4℃에서 뇌에 투명한 ... ...
-
- 태양계 끝 명왕성과의 만남과학동아 l2015년 08호
- 14일 홈페이지를 통해 이 사진을 공개하면서 “명왕성 표면에는 가장 멀리 떨어진 두 지점의 거리가 약 1600km인 거대한 ‘하트’ 지형이 있다”고 소개했다(밝게 빛나는 부분). 확대된 부분은 명왕성 적도 부근의 상세 사진이다. 얼음으로 뒤덮인 표면 위에 만들어진 지 오래되지 않은 것으로 보이는 ... ...
-
- 이지스함 레이더를 야구에 가져오다, 스탯캐스트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수비에서도 다이빙 캐치를 하며 극적인 장면을 연출하는 수비수보다 공이 떨어지는 지점을 가장 효율적으로 예측해 안정적으로 공을 처리하는 선수를 기용할 수 있다. 가장 발이 빠른 주자를 선택해 대주자로 내보내 승부를 뒤집을 수도 있다. 지금껏 야구 해설자들이 감으로 이야기하던 ... ...
-
- 우주 탐사, 제2의 지구를 찾아서수학동아 l2015년 08호
- 것으로, 케플러의 행성운동법칙을 따르는 두 천체 주변에서 중력이 0이 되는 안정적인 지점이다. 뉴호라이즌스 호의 궤도그림에서 화살표의 길이는 속력의 크기이고, 화살표의 방향은 우주선의 진행 방향이다. 목성을 통과한 뒤 뉴호라이즌스 호의 속도는 목성의 중력 영향으로 가속도가 생겨 ... ...
-
- [지식] 열대과일의 비밀, 파인애플은 알고 있다수학동아 l2015년 08호
- 어디에 놓였는지 확인해 봅니다. 놀랍게도 점 B의 위치는 가로선을 5:8로 황금분할 하는 지점이에요. 이때 긴 나선과 짧은 나선은 높이를 8등분하는 점마다 만날 수 있어요. 이런 방식으로 긴 나선 8개가 오른쪽 위를 향하는 경우와 왼쪽 위를 향하는 경우를 그려 보았어요. 그 결과 두 배열은 정확하게 ... ...
-
- Part 1. 탐식의 시작 : 처음 밝혀진 조선시대 미슐랭 가이드과학동아 l2015년 08호
- 복국을 먹고 싶어하는 분위기가 형성되곤 했다. 마침 복어는 바닷물과 민물이 만나는 지점에서 잘 잡히기 때문에 한강의 특산품이었다. 복국을 먹은 조선 시대 사람들은 복국을 맛있게 끓이는 집, 복국의 맛 등을 서신으로 주고받았다. 오늘날 SNS를 통해 먹은 음식 사진을 공유하는 것과 매우 ... ...
-
- 물의 지배자 모사사우루스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아래턱과 위턱에 1열씩 솟아있는 인간과 달리, 모사사우루스는 목구멍이 시작하는 지점 바로 앞에 갈고리 같은 이빨이 2열로 발달해 있다. 이런 구조는 모사사우루스가 삼키고 있는 먹잇감이 몸을 빼 도망치지 못하게끔 막아줬다. 뒤로 접히는 턱관절은 모사사우루스가 먹이를 식도로 밀어 넣을 수 ... ...
-
- 작은 세계와 큰 세계를 잇는 다리, 볼츠만 상수 KB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존재하는지조차 확신하지 못했다. 시대를 앞서간 아보가드로의 통찰력이 돋보이는 지점이다.시간이 한참 지나 원자와 분자가 실재한다는 사실이 확인된 1909년 프랑스의 물리학자 장 바티스타 페린은 1몰을 이루는 분자 혹은 원자의 개수를 아보가드로수(NA)로 부르자고 제안했다. 현재 국제표준 ... ...
이전60616263646566676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