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점"(으)로 총 2,069건 검색되었습니다.
- 오감만족 수학 놀이터 군포수학체험관에 가다수학동아 l2015년 10호
- 새로 결정하는데,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굴러갈 확률은 각각 50%다. 나무판자가 끝나는 지점까지 굴러온 구슬은 나란히 서 있는 상자 중 하나에 쏙쏙 들어간다.이 실험은 확률분포의 일종인 ‘이항분포’에 관한 실험이다. 구슬을 여러 차례 쏟아 붓다 보면 상자마다 구슬이 들어갈 확률이 다르다는 ... ...
- PART3. 외계행성 탐사 전성시대과학동아 l2015년 09호
- 궤도를 도는 것이다(90쪽 그림 참조). NASA 연구진은 2009년, 지구로부터 136광년 떨어진 지점에서 쌍성계 30 Ari A와 단일 항성으로 보이는 30 Ari B를 찾았다. 이들은 공통의 중력 중심을 도는 항성계였다. 그런데 6년 뒤 30 Ari B 주변에서 새로운 별과 행성을 발견했다. 기존에 있던 쌍성에 얽힌 새로운 쌍성을 ... ...
- 닥터 그랜마와 함께하는 한자 과학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9호
- 되는 시각을 ‘표준시’로 정해 놓고 사용한다. 우리나라 표준시는 울릉도 동쪽 350km 지점을 지나는 동경 135°를 기준으로 하고 있다.原子時 원자시(근원 원, 아들 자, 때 시)‘원자’는 본래 물질이 고유한 성질을 갖는 가장 작은 단위로, 물질의 근원이 된다고 해서 ‘근원 원(原)’자를 사용한다. ... ...
- 당구공에서 인공심장까지! 플라스틱의 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9호
- 태평양을 지나는 바닷물의 절반은 이곳으로 모이는데, 쓰레기들도 바닷물을 따라 이 지점으로 모이게 되는 것이지요.놀랍게도 이런 크기의 쓰레기 섬이 인도양과 대서양 등 전세계 바다에 4개나 더 있어요. 게다가 쓰레기 섬의 크기는 점점 커지고 있지요. 우리가 쓰고 버리는 플라스틱의 양이 ... ...
- 숫자 세 개가 만나는 곳에 보물이 있다!수학동아 l2015년 09호
- 너비는 보통 수심의 3배 정도다. 만약 수심이 약 30m인 지점에서 음파를 쏜다면 배가 있는 지점에서 좌우로 45m, 즉 90m 너비에 해당하는 지역의 수심을 동시에 알 수 있다.측량선이 이동하는 항로는 멀티빔이 측량한 영역이 약 30% 겹치도록 계획한다. 측량오차가 큰 바깥 부분에서 더욱 정확한 수심 값을 ... ...
- 수학으로 밝혀낸 걸음걸이의 비밀수학동아 l2015년 09호
- 쪽 발이 닿을 때까지가 걸음걸이의 한 주기다. 다리 길이와 발끝에서 무게중심(다리 중간지점)까지의 길이, 관성모멘트를 고려해 구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걸음걸이 주기는 다리 길이의 제곱근에 비례한다. 즉, 다리가 짧은 뱁새는 다리가 긴 황새보다 걸음걸이 주기가 짧아서 종종걸음으로 빠르게 ... ...
- PART2. 탐사선, 위대한 여정의 시작과학동아 l2015년 09호
- 2004년 태양권덮개(94AU 지점, 1AU는 지구와 태양 사이의 거리)에 도달했으며, 2006년 8월 100AU 지점에 도달했다. 2015년 현재 지구에서 약 132AU(약 197억km) 거리를 비행하고 있다. 현재는 성간 공간 탐사임무를 하고있다. 보이저 2호 역시 1977년 발사돼 목성과 토성, 천왕성과 해왕성을 차례로 통과 ...
- Part 2. 현대수학은 ‘편미방’을 모른다?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자격 미달의 틀린 방정식일 가능성입니다. 둘째는 난류 자체가 충격파처럼 불연속적인 지점이 나타나는 물리현상일 가능성이죠. 난류를 보는 패러다임 자체가 달라진다는 얘기입니다.”현재 나비어-스톡스 방정식은 특이점을 포함하는 불완전한 해만 알려져 있다. 난류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특성을 ... ...
- PART1. 태양계 행성 여행자를 위한 안내서과학동아 l2015년 09호
- 당시 분출된 용암이 2km 높이로 쌓여있다. 재밌는 것은 행성에서 충돌구와 정확히 반대편 지점에는 언덕 형태의 튀어나온 지형이 있다는 사실. 마치 받은 충격이 반대편으로 표출된 것처럼 말이다. 일부 과학자들은 이 충돌이 수성의 궤도를 찌그러뜨릴 정도로 컸다고 보고 있다. 실제로 대부분의 ... ...
- Part 3. 적분은 미분의 반대가 아니다과학동아 l2015년 09호
- 구간을 작게 쪼개면, 각각의 구간들은 직사각형이 된다. 이 때 곡선과 만나는 어느 지점을 사각형의 높이로 삼을지에 따라 크기가 달라진다. 예컨대, 각 구간에서 최댓값만을 더한 ‘최댓값 리만 합’과, 최솟값만을 더한 ‘최솟값 리만 합’은 같지 않다(오른쪽 그림 참조). 그러나 무한대로 쪼개면 ... ...
이전5960616263646566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