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나중
다음
배후
뒤쪽
후방
꽁무니
d라이브러리
"
뒤
"(으)로 총 9,103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스 백신 미국서 개발
과학동아
l
200405
쥐를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모두 효과가 있었다고 설명했다. 쥐에게 DNA 백신을 주입한
뒤
사스 바이러스에 감염시킨 결과 쥐에게서 사스 바이러스가 전혀 검출되지 않거나, 검출되더라도 백신을 맞지 않은 쥐에 비해 바이러스 수가 1백만분의 1 이하였다.네이블 박사는 이 백신에 대한 임상실험이 ... ...
아빠없이 태어난 쥐
과학동아
l
200405
분화시키는 단성생식법을 이용해 줄기세포를 얻는데 성공하고 있다.불임시술
뒤
남은 냉동배아에서 얻은 줄기세포는 환자와 유전자가 달라 면역거부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환자 자신의 체세포를 핵을 제거한 난자와 융합시키는 이른바 배아복제가 시도되고 있는 것도 이런 면역거부반응을 막기 ... ...
01. 타고난 성격, 바꾸려면 부러질수도
과학동아
l
200405
문장이해력이 떨어진다.6번 염색체 _ 6p21.3이 위치에 돌연변이가 생기면 글자의 순서가
뒤
바뀌거나 거꾸로 된 것처럼 보이는 증세가 나타난다.학습·기억2번 염색체 _ CREB학습과 기억 과정에서 뇌의 시냅스가 기능하는데 관여하는 유전자들을 작동시키는 유전자다. 이 유전자에 이상이 생기면 기억 ... ...
사무엘 모스, 유선 통신 시대를 열다
과학동아
l
200405
9년 모스는 초상화 그리던 일을 접고 그림공부를 더 하기 위해 다시 유럽으로 향했다. 3년
뒤
귀국길에 오른 모스는 여객선 살리호의 선상에서 보스턴 대 교수인 잭슨과 알게 됐다. 그와 나눈 대화의 주제는 전자기 원리에 관한 것이었는데, 이때 모스는 전선을 통해 메시지를 전기적으로 전달하는 ... ...
칠레 원주민처럼 시련 이겨낸 꼬마 성운
과학동아
l
200405
있는 1조km 크기의 ‘꼬마’ 성운으로 말머리성운 같은 보통 성운보다 훨씬 작다.B68은
뒤
에 있는 많은 별들의 빛을 가려 검게 보이기 때문에 암흑성운이라 불린다. 그래도 단순한 암흑성운이 아니다. 곧 수축해 별이 되려는 상태에 있는 성운이다. 지금은 시커멓게 아무것도 없는 것처럼 보이지만 ... ...
창의력과 끼로 승부한다
과학동아
l
200405
통해 알려지면서 최근 들어 외국 유학생도 부쩍 늘고 있다. 우리보다 바이오기술 수준이
뒤
떨어져 있는 중국과 인도는 물론 한 단계 앞서있는 프랑스 미국 출신 학생들도 문을 두드리고 있다. 특히 올 하반기 첫 배출되는 졸업생들에 거는 기대는 매우 크다. 2012년 세계선두그룹에 진입하겠다는 KAIST ... ...
02. 지능, 유전의 영향 나이들수록 막강
과학동아
l
200405
관심을 받아왔다. 여기에는 학습과 기억에 영향을 주는 IGF2R 유전자와 글자의 순서를
뒤
바꿔 읽거나 거꾸로 읽는 난독증과 관련된 유전자(6p21.3)가 있다. 또 최근에 발굴된 것으로서 기능이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은 유전자인 CTSD, CHRM2 등이 있다. 한편 치매와 같이 인지 능력의 저하와 관련된 APOE ... ...
태양건축 에너지 완전자립에 도전한다
과학동아
l
200405
처음으로 통합적 설계 원칙을 바탕으로 하는 제로에너지 개념이 적용됐다. 앞으로 10년
뒤
경제성 있는 완전자립형 제로에너지 주택을 개발한다는 계획 아래 현재 70%이상 에너지 자립도를 보이고 있다.1단계 목표로 설정한 에너지 자립능력을 만족시키기 위해 슈퍼단열과 슈퍼윈도, 태양열시스템을 ... ...
1. 반갑다 향고래야
과학동아
l
200405
따지게 될 예정이다. 물론 조사의 신뢰성이 낮다는 평가가 나온다면 추가적인 조사가
뒤
따라야만 한다.고래 보존·관리는 곧 해양생태계 보호지구상 최대 크기로 대표되는 대형고래의 무분별한 남획은 한반도 자연사에 뼈저린 상처를 남겼다. 최근 들어 무분별한 해양 개발로 집을 잃거나 그물에 ... ...
예술로 피어난 과학 식물세밀화
과학동아
l
200405
‘국가표준식물목록’ 을 만들고 있습니다. 40여명의 식물분류학자들이 참여하고 있죠.”
뒤
늦은 감이 있지만 우리나라도 식물세밀화 제작이나 표준식물목록 작성 등 식물학 연구에 기반이 되는 작업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것이다.“많은 사람들이 제비꽃의 작은 꽃잎 속에, 바람에 날리는 민들레의 ... ...
이전
623
624
625
626
627
628
629
630
6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