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나중
다음
배후
뒤쪽
후방
꽁무니
d라이브러리
"
뒤
"(으)로 총 9,103건 검색되었습니다.
1. 생명체는 정보의 집합체다
과학동아
l
200212
사실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셀레라는 DNA를 수천만개의 조각으로 무작위로 나눈
뒤
염기서열을 읽어 조합하는 샷건이라는 새로운 방법을 사용했다. 이를 위해서 독자적인 알고리듬을 개발해 슈퍼컴퓨터에 적용시켰다. 바이오인포매틱스의 효과적인 사용으로 시간을 대폭 줄인 것이다. ... ...
로켓에 꿈을 실은 과학계의 김남일 채연석
과학동아
l
200212
박사는 앞으로 이공계를 선택할 청소년에게 자신의 분야를 강력히 추천한다. “10년
뒤
를 바라보고 공부해야 하는 청소년에게 로켓을 비롯한 국내 항공우주 분야는 유망하다”고 채 박사는 강조한다.2005년이면 전남 외나로도에 우주발사체를 발사할 수 있는 우주센터가 건설될 예정이다. 계획대로만 ... ...
법의학이 밝히는 진실
과학동아
l
200211
엔진에서 압축기(팬)만을 통해
뒤
쪽으로 배출되는 공기유량과 연소기 및 터빈을 통해
뒤
쪽으로 배출되는 공기유량의 비율폐색혈관(閉塞血管)의 혈행재건(血行再建) 수술의 한 방법 즉 동맥이나 정맥에 심한 협착(狹窄)이나 폐색성 병변(病變)이 있을 때 그 부위의 중추측과 말초측(末梢側)에 ... ...
2002 화학상 - 생체분자 분석하는 획기적 방법 개발
과학동아
l
200211
흡착 기술(desorption technology)이다. 단백질같은 거대 분자를 가스 상태의 이온으로 만든
뒤
, 이를 진공챔버(상자)에서 가속시킨다. 그러면 단백질이 이온화된 정도와 질량에 따라 맞은편에 도달하는 비행시간이 달라진다. 가장 빨리 도착하는 것이 가장 가볍고 이온화가 많이 된 것이다.펜 교수와 ... ...
고대인의 필기노트, 죽간과 목간
과학동아
l
200211
함께 했다. 그러나 기원전 2세기경 종이가 만들어지면서 영광을
뒤
로 한 채 차츰 역사의
뒤
안길로 밀려났다. 그렇다고 금세 종이에 떠밀려 없어져 버린것은 아니다. 종이를 만드는데는 엄청난 비용과 시간,노력이 요구됐으므로 손쉽게 간단히 만들 수 있는 죽간과 목간은 그후로 한동안 인기를 누릴 ... ...
소똥을 사랑한 복제동물의 아버지 황우석
과학동아
l
200211
서두르고 있다고 말했다.장기이식용 돼지 꼭 개발할 것복제돼지 출산을 발표한
뒤
서울의대에서 공동 연구 요청이 왔단다. 그곳에서 죽음을 눈앞에 둔 환자들의 실태를 들으니 쉬고 있을 틈이 없다며 안타까워했다. 황 교수 스스로 죽을 뻔한 병(병명을 밝히지 않았다)에 걸렸다가 기적적으로 살아난 ... ...
플라스틱으로 만드는 옷과 꽃
과학동아
l
200211
살고 있었어요. 그러던 어느날 인자한 어머니 왕비가 세상을 떠났습니다. 임금님은 얼맘
뒤
새왕비를 맞아 들였습니다. 아 왕비는 아이들을 귀찮아하며 궁궐 밖으로 쫓아냈습니다. 그리고 공주를 어두컴컴한 숲 속으로 내쫓았습니다. 오빠들을 잃어버린 공주는 바닷가로 나갔습니다. 그때 백조 떼가 ... ...
북한 핵개발 의혹 6문 6답
과학동아
l
200211
등지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원심분리법은 금속 우라늄에 고열을 가해 기체로 만든
뒤
원통 속에 넣고 회전날개를 분당 5만-7만회 정도로 고속 회전시켜 우라늄235와 우라늄238을 분리해낸다. 입자가 무거울수록 원통의 바깥쪽에 모이는 원심력을 이용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 방법을 35단계 거치면 ... ...
수능 실력 진단해줄 도우미 수학 모델
과학동아
l
200211
결합이란 복잡하고 커다란 모형을 각각 세부 모형으로 쪼개 세부 모형을 디자인 한
뒤
다시 합치는 방법이다. 이 전략을 쓰면 아무리 크고 복잡한 모형이라도 계산할 수 있음은 물론 이전에 비해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예를 들어 수능 도우미라는 커다란 모형은 언어영역과 사회과학, 과학, 외국어 ... ...
1. 급물살 타는 한국인 게놈 연구
과학동아
l
200211
이어 과학에서도 중국이 우리를 앞지를지 모른다는 우려도 제기됐다. 그로부터 1년
뒤
중국은 이때의 축적된 경험과 지식을 바탕으로 세계 최초로 벼의 게놈 지도를 독자적으로 발표하게 됐다. 우려가 현실로 나타난 것이다. 3만여종 한국인 유전자 발굴그러나 늦었다고 생각할 때가 가장 빠른 법. ... ...
이전
648
649
650
651
652
653
654
655
6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