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나중
다음
배후
뒤쪽
후방
꽁무니
d라이브러리
"
뒤
"(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70억 인포그래픽으로 보는 인구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들어서도 계속 진행 중이다.그런데 문득 궁금해진다. 굴업도는 육지에서 덕적도로 온
뒤
다시 배를 갈아타며 3시간이나 걸려 와야 하는 인구 20명의 작은 섬이다. 무엇이 이 작은 섬에까지 개발의 발길을 들인 것일까.70억 인구가 차지하는 땅지난 2011년 10월 말, 지구는 70억 인구 시대를 맞이했다. 7 ... ...
Part2. 2085 화성일보 '화성을 만드는 사람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노인들은 화성의 낮은 중력이 더 편안하다고 생각한다. 요즘에는 지구에서 은퇴한
뒤
노후를 화성에서 보내기 위해 이주를 신청하는 경우도 늘고 있다.지금 화성에서 태어나는 아이들이 주역이 된 미래를 상상해 보자. 그들은 딱히 지구를 그리워하지도 않은 채 화성을 영원한 고향으로 여기며 살 ... ...
겨울의 DMZ에서 독수리를 만나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번식하고 추운 겨울을 나기 위해 이곳을 찾죠.”창공을 나는 독수리. 그 자유로움을
뒤
로 하고 다시 버스에 올랐다. 이동 중에도 고라니, 고니 같은 야생동물을 많이 볼 수 있었다. 이곳 장단반도 끝자락에서 동해안까지 총 248km에 이르는 거리에 남북한의 군사분계선이 설치돼 있다. 이 분계선을 ... ...
Part 2. 시간 1000명에서 70억으로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갑작스럽고 일시적인 인구 증가 현상(베이비붐)도 따라온다. 미국의 경우 2차 세계대전
뒤
인 1946년부터 1964년까지 7700만 명의 인구가 늘었다. 또, 제국주의가 끝나는 등 세계적인 정체, 경제 체제 변화가 일어나 제3세계 국가의 인구 폭증이 일어났다. 이에 따라 도시화가 심해지며 슬럼 등 현대도시의 ... ...
Part1. 2049 인류 최초 화성 기지 '웰즈'의 기록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화성에서 금속을 제련할 수 있다면 더 자유롭게 지을 수 있을 것이다.기지 부근을 돌아본
뒤
조금 더 멀리 걸어나갔다. 물이나 광물을 찾기 위해 주로 탐사를 떠나는 지역이 어디 있는지도 알려줬다. 다들 단단히 결심을 하고 왔겠지만, 황량한 사막을 눈앞에 두자 막막한 표정이었다. 나는 함께 ... ...
Special 화성탐사선 큐리오시티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탐사선 중 가장 크며, 가장 발전된 탐사 장비를 갖췄다. 최초로 바위와 토양을 채취한
뒤
분석 장비 안에 넣고 실험할 수 있는 장치도 있다. 동력은 플루토늄-238이 방사성 붕괴할 때 나오는 열로 만든 전기를 이용한다. 화성의 1년(지구의 687일) 이상 돌아다니며 임무를 수행하기에 충분하다 ... ...
신과 인간이 함께 사는 땅 티베트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끊임 없이 수행을 한다.]삶이 종교이고 종교가 삶이다티베트인은 한 해 농사를 마무리한
뒤
티베트의 중심 라싸로 머나먼 고행의 길을 떠난다. 가만히 있어도 숨이 턱턱 막히는 그곳에서 그들은 삼보를 걷고 코가 바닥에 닿을 정도로 엎드려 절을 하고 다시 일어나 삼보를 걷는 오체투지를 행하며 ... ...
산더미 같은 데이터에서 보물 캔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KISTI) 정보기술연구실장은 “많은 양의 자료에서 패턴을 찾아내 먼저 가설을 세운
뒤
실험으로 검증하는 최근 연구 패러다임에 유용하게 활용될 것”이라고 말했다 ... ...
황당맨의 취재수첩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실제와 비슷한 식물 생장을 관찰할 수 있도록 자료를 먼저 모았다. 다양한 환경을 만든
뒤
각 조건당 30개 이상의 속성배추를 키웠다. 속성배추는 품종개량한 배추로 자라는 속도가 빨라 연구나 교육에 활용한다. 이 자료를 바탕으로 프로그램에 쓸 함수를 만들었다. 프로그램 속 식물의 모습은 ... ...
“지금 안 막으면 사방이 가시박 천지가 됩니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강 교수는 문득 이러다 언제 죽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었다. 건강이 어느 정도 회복된
뒤
그는 본격적으로 사진과 씨앗을 정리하기 시작했다. 그러자 그 자신도 놀랄 정도로 우리 식물에 대한 엄청난 정보가 모습을 드러내기 시작했다.“몇몇 출판사를 찾아가 책을 내자고 제안했어요. 다들 ... ...
이전
659
660
661
662
663
664
665
666
6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