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으로 보글보글, 요리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13호
- 패류의 수도 줄고 있어요. 수온이 따뜻해지면서 먹이가 줄었기 때문이에요. 100년 뒤의 밥상은?"미래의 밥상에 오를 식재료를 가장 먼저 만나 볼 수 있는 곳은 제주도예요. 가장 먼저 아열대 기후로 변하고 있는 곳이거든요. 국립수산과학원 아열대연구센터는 2010년 6월부터 9월까지 제주 연안 해안인 ... ...
- 러시아 로켓박사 '대충쏴도 나르노프'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13호
- 방귀소리였던 것! 급하게 중단시키느라 연료를 모두 버리게 되었고, 로켓 발사는 며칠 뒤로 미뤄졌다. 썰렁홈즈는 연료로 난장판이 된 발사장을 밤새 청소하게 됐다.“힝~. 방귀 한 번 뀌었을 뿐인데~!” 일러스트 : 김석도움 : 특허청 창의발명교육과, 한국발명진흥회 창의인재육성팀감수 : ... ...
- 태국 남 뚜엄(홍수), 수학을 알았더라면?수학동아 l2011년 12호
- 표현한 것이 수문 곡선이다. 수문곡선 왼쪽의 회색 막대그래프는 강수량이다. 비가 온 뒤 일정한 시간이 지나야 하천의 수위가 높아진다. 이 시간은 강마다 각각 다른데, 이 그래프를 통해 비가 온 것이 언제 강의 높이에 반영되는지를 알 수 있다.그래프 위쪽의 노란색은 비가 와서 높아진 수위다. ... ...
- 성격별 수학 학습법수학동아 l2011년 12호
- 리더로 세우고 학습하면 좋다. 특히 다른 친구들과 같은 문제를 다양한 방법으로 풀이한 뒤 비교하며 암기하는 방법으로 학습하면 효과 만점이다. 성적을 올리려면 자신의 성적의 5% 정도로 목표를 세우고, 친구들과 함께 목표 달성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것이 매우 유리하다.B형 규칙적인 유형 학습형 ... ...
- 발도 튼튼! 몸도 튼튼 ! 신발의 과학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12호
- 앞뒤로 흔드는 팔의 움직임과 함께 어깨를 앞뒤로 살짝 흔들면서 걷는다.➍ 발뒤꿈치부터 발바닥, 발끝 순서로 땅에 닿게 하면서 걷는다.이야~, 우리와 매일 함께 하는 신발이 이렇게 과학적인 것이었구나! 함께 온 ‘새신모’ 회원들의 신발을 확인해 보니 우리도 걸음걸이를 교정해야 할 것 같아 ... ...
- Part 3. 뉴로피드백으로 명상 쉽게 한다과학동아 l2011년 12호
- 연구하면서 깊은 명상상태에서는 알파파와 함께 세타파가 크게 증가함을 발견했다. 그 뒤 뉴로피드백을 이용해 알파파와 세타파를 활성화시키면 쉽게 깊은 명상 상태에 빠질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보통 눈을 감은 상태에서는 알파파가 지배적인 뇌파가 되는데 알파/세타 뉴로피드백 훈련을 ... ...
- 눈 크게 뜨고 보세요! 세상에서 가장 작은 작품과학동아 l2011년 12호
- 입고 긴 머리(수건이라는 주장도 있다)를 늘어뜨린 모나리자는 어둑어둑한 풍경을 뒤로 하고 두 손을 다소곳이 모았다. 원화처럼 깊은 눈매와 굳게 다문 듯 미소 짓는 입술을 갖고 싶었다. 너무 지나친 욕심이었을까. 2008년 봄에 다시 태어난 모나리자는 얼굴을 알아보기 어려울 만큼 작았다 ... ...
- 남극 알프스 미스터리 풀렸다과학동아 l2011년 12호
- 0억 년 전 몇 개의 대륙이 충돌하면서 산맥과 함께 지각 아래로 거대한 뿌리가 생겼다. 그 뒤 지각변동으로 산맥이 침식했다. 약 2억 5000만 년 전부터 약 1억 년 전 사이에는 곤드와나(초대륙)가 남극과 오스트레일리아, 아라비아, 남아메리카, 인도로 쪼개졌다. 이때 대륙 운동이 활발해져 지각이 위로 ... ...
- “난 인간과 세균의 중매쟁이”과학동아 l2011년 12호
- 자전거 타며 가족들과 보낸다고 말했다. 그럼 학생들에게 주문하는 게 뭘까.“남들 뒤를 쫓지 말고 새로운 이론을 만들어냈으면 좋겠어요. 교과서에 나온 걸 바꾸거나 아무도 모르는 개념을 만드는 연구요.”인터뷰 도중 이 교수는 갑자기 “난 지방대 나왔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경북대 ... ...
- [knowledge] 한송이 생명을 피우기 위해 지구는 그렇게 뜨거웠나 보다과학동아 l2011년 12호
- 년의 진화를 통해 무기물에서 유기물을 만들어 내고 스스로 복제하는 생명체를 탄생시킨 뒤 대기에 산소를 만드는 일련의 과정이 마치 배터리나 연료전지를 충전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그렇다면 산업혁명 이후 우리가 화석연료를 쓰는 것은 지구와 생명의 오랜 진화 과정을 통해 충전한 ... ...
이전66666766866967067167267367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