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나중
다음
배후
뒤쪽
후방
꽁무니
d라이브러리
"
뒤
"(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쭉쭉 늘어나는 팔다리, 그녀의 이유 있는 변신 애니메이션 인크레더블
수학동아
l
2011년 11호
고무관을 상상하면 된다. 그 다음 도형 안쪽에 손가락을집어넣어
뒤
집으면 겉과 속을
뒤
바뀌꿀 수 있다. 이는 우리 몸속의 소화기관과도 비슷한 상황이다. 이제 입과 항문 사이를 연결하고 있는 소화기관에 집중해보자.소화기관은 주머니 모양인 위를 제외하고는 모두 원형관이다. 입에서 출발해 ... ...
PART 2. 노벨상을 부르는 수학의 힘
수학동아
l
2011년 11호
저명한 물리학 저널인‘피지컬 리뷰 레터스’에 논문을 게재할 수 있었다. 그리고 한 달
뒤
물리학자 폴스타인하르트와 도브 르바인이 펜로즈 타일을 3차원 공간으로 확장해 5각형 대칭구조를 설명한 논문을 발표했다. 합금의 결정 패턴이 펜로즈 타일과 유사하다는 이 논문에서 이들은 좁게보면 ... ...
학생이 원하는 대로, 아주대 과학영재교육원
수학동아
l
2011년 11호
시간이었습니다.” - 김희주(산본중 3), 이화여대 물리학과 양인상 교수님을 만나고 난
뒤
.헬렌 켈러가 설리반 선생님을 만나지 못했다면? 한 사람의 인생을 바꿔 놓을수 있는 소중한 만남이 있다. 과학자를 꿈꾸는 학생이 최고의 과학자를 만난다면 그 영향력 역시 엄청날 것이다.아주대 ... ...
PART 2. 숨 막히는 3일간의 대혈전
수학동아
l
2011년 11호
9바퀴째, 잠깐 빗방울이 흩날렸지만 타이어를 갈 만큼의 강수량은 아니었다. 다행히 그
뒤
로 비 소식은 없었다. 16바퀴째, F1 황제 메르세데스 팀의 미하엘 슈마허는 경쟁하던 경주차와 충돌해 차량이 파손되면서 리타이어(차량 이상으로 경기를 포기하는 것)했다. 그의 경기를 보러 온 많은 팬들이 ... ...
PART 3. 빛보다 빠른 중성미자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수는 없다. 지난 100여 년간 상대성이론과 양자역학은 고전물리학을 혁명적으로 대체한
뒤
꿋꿋하게 그 자리를 지키고 있다. 그러나 중력을 고려하면 상대성이론과 양자역학은 양립할 수 없다.상대성이론은 극미시세계에서는 다른 이론으로 대체될 가능성이 여전이 존재한다.우리는 시간과 공간을 ... ...
Part 4. 이그노벨상 - 느닷없이 고추냉이 냄새나면 “불이야~”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사람들은 매운 연기가 도착하기 전에 서둘러 아파트 바깥으로 나간다.불과 몇 년
뒤
에는 경보음보다 더 신속하고 정확하게 비상 상황을 알리는 ‘고추냉이 경보기’가 집집마다 설치될지도 모르겠다. 마코토 이마이, 나오키 우루시하타, 히데키 타네무라 박사 등 일본 과학자들은 고추냉이로부터 ... ...
스티브 잡스는 어떻게 시대의 아이콘이 되었나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훗날 결혼이 자신에게 좋은 영향을 끼쳤고, 로렌과 결혼한 건 행운이었다고 말했다. 결혼
뒤
세상을 보는 눈이 달라졌다는 것이다. 안정적인 가정을 꾸민 스티브 잡스는 인간적인 측면뿐 아니라 기업가로서도 훨씬 부드러운 사람이 됐다. 독불장군이었던 스티브 잡스가 다른 사람의 의견에 귀 ... ...
[hot science] 브레이크 없는 사막화 기후 양극화 부른다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쓸 수 없는 상태로 빠르게 진행될 것이다. 무엇이든 균형을 잃으면 언제나 정점을 찍은
뒤
에야 안정화된다는 사실을 명심하고 사막화가 정점을 찍기 전에 올바른 해결책을 찾아야 한다 ... ...
“한·중·일은 하나의 인류”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대해서도 우려를 표했다.“우스갯소리로 헬리콥터를 타고 지역에 가 시료를 채취한
뒤
도로 헬리콥터를 타고 나가버린다고 합니다. 이렇게 하면 시료는 얻을 수 있을지 몰라도 그 지역의 사람들에 대해서는 모를 수밖에 없어요. 인류학을 연구하는 바람직한 자세는 아니지요.”올해 60세가 된 칸 ... ...
로봇으로 시조새 연구한다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펄럭거려 ‘바닥에서 이륙’했다는 이론이다.연구팀은 로봇이 가파른 경사면을 오른
뒤
뛰어내려 활강하도록 만들었다. 그 결과 날갯짓을 할 때가 날개를 고정했을 때보다 훨씬 멀리 날았다.날갯짓을 하면 달리는 속도도 90% 빨라졌다. 하지만 바닥에서 이륙하기 위해서는 속도가 활강할 때의 4배 ... ...
이전
671
672
673
674
675
676
677
678
6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