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나중
다음
배후
뒤쪽
후방
꽁무니
d라이브러리
"
뒤
"(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요리왕' 링링의 꿈
수학동아
l
2011년 11호
만두를 만들면 좋겠구나. 밀가루가 아닌 쌀가루를 이용해서 투명한 만두피를 만든
뒤
새우를 한 번 데쳐 분홍빛으로 물든 새우를 속으로 넣는 거지. 일명 새우살이 비치는 새우만두!”“정말 대단해요. 속 재료뿐만이 아니라 만두피까지 신경 쓰다니 역시 대단하세요!”“여기에 간장 소스를 끼얹어 ... ...
학생이 원하는 대로, 아주대 과학영재교육원
수학동아
l
2011년 11호
시간이었습니다.” - 김희주(산본중 3), 이화여대 물리학과 양인상 교수님을 만나고 난
뒤
.헬렌 켈러가 설리반 선생님을 만나지 못했다면? 한 사람의 인생을 바꿔 놓을수 있는 소중한 만남이 있다. 과학자를 꿈꾸는 학생이 최고의 과학자를 만난다면 그 영향력 역시 엄청날 것이다.아주대 ... ...
PART 3. 빛보다 빠른 중성미자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수는 없다. 지난 100여 년간 상대성이론과 양자역학은 고전물리학을 혁명적으로 대체한
뒤
꿋꿋하게 그 자리를 지키고 있다. 그러나 중력을 고려하면 상대성이론과 양자역학은 양립할 수 없다.상대성이론은 극미시세계에서는 다른 이론으로 대체될 가능성이 여전이 존재한다.우리는 시간과 공간을 ... ...
Part 1. 노벨 물리학상 - 우주는 점점 빨리 팽창한다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노벨물리학상은 과학의 한계를 보여준 업적에 주어진 것이다.우주의 가속팽창이 발견된
뒤
10여 년이 지난 지금 관측된 SN1a 초신성의 수는 557개에 육박했고, 관측이 진행될수록 우주의 가속팽창에 대한 반증보다는 그 존재를 확증하는 방향으로 결과가 나오고 있다. 2010년 허블망원경 초신성팀은 이 ... ...
불굴의 탐사선 하야부사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하야부사는 2005년 11월 이토카와에 착륙해 물질을 채취했다. 이토카와는 중력이 매우 낮아 착륙이라기보다는 도킹에 가깝다.]소행성 이토카와의 탐사가 이렇게 큰 관심 ... 2014년 발사할 예정인 하야부사2의 상상도. 2018년 목적지에 도착해 1년 반 동안 탐사한
뒤
2020년에 돌아올 예정이다. ... ...
치아로 호모 에렉투스 이동 경로 밝힌다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140만 년 전까지 살았던 호모 하빌리스 유골을 구해 각각 어금니의 크기를 측정했다. 그
뒤
어금니 사이의 비율을 계산해 Bpg2001.04와 비교했다. 만약 에렉투스가 시대에 따라 각기 다른 경로를 통해 해당 지역에 이동했다면 시대에 따라 비율도 변하리라는 추정이 가능하다.실제로 측정 결과 어금니의 ... ...
발명학교 '다맹그러 스쿨'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뒤
에는 팔뚝 근육이 남다른 간호사가 주사기를 들고 웃고 있었다. 썰렁홈즈는
뒤
도 안 돌아보고 도망치기 시작했다.“사람 살려~, 난 세상에서 주사 맞는 게 가장 싫다구!” ...
리얼스틸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간단한 일을 도와주는 로봇이 상용화될 수 있다고 전망하고 있다. 2020년보다 5년이나
뒤
의 일이다. 권투를 할 수 있을 정도의 로봇이라면 더 오래 기다려야 할 듯하다.끝까지 밝혀지지 않는 아톰의 정체기술적인 면으로는 종종 허점이 보이지만 즐겁게 관람하기에는 충분하다. 전형적인 이야기지만 ... ...
쭉쭉 늘어나는 팔다리, 그녀의 이유 있는 변신 애니메이션 인크레더블
수학동아
l
2011년 11호
고무관을 상상하면 된다. 그 다음 도형 안쪽에 손가락을집어넣어
뒤
집으면 겉과 속을
뒤
바뀌꿀 수 있다. 이는 우리 몸속의 소화기관과도 비슷한 상황이다. 이제 입과 항문 사이를 연결하고 있는 소화기관에 집중해보자.소화기관은 주머니 모양인 위를 제외하고는 모두 원형관이다. 입에서 출발해 ... ...
PART 2. 노벨상을 부르는 수학의 힘
수학동아
l
2011년 11호
저명한 물리학 저널인‘피지컬 리뷰 레터스’에 논문을 게재할 수 있었다. 그리고 한 달
뒤
물리학자 폴스타인하르트와 도브 르바인이 펜로즈 타일을 3차원 공간으로 확장해 5각형 대칭구조를 설명한 논문을 발표했다. 합금의 결정 패턴이 펜로즈 타일과 유사하다는 이 논문에서 이들은 좁게보면 ... ...
이전
671
672
673
674
675
676
677
678
6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