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나중
다음
배후
뒤쪽
후방
꽁무니
d라이브러리
"
뒤
"(으)로 총 9,103건 검색되었습니다.
② 태양계 내 또다른 종족의 자취
과학동아
l
200105
따로 부착돼 있다. 2004년 카시니가 토성에 도착하면 먼저 토성 주변을 74회 선회한
뒤
타이탄을 45회 선회할 예정이다. 카시니는 이 과정에서 최대 50만장의 사진을 전송할 수 있는 카메라가 장착된 호이겐스를 타이탄에 떨어뜨린다. 진입과정에서 호이겐스는 대기의 온도·기압·밀도 등을 탐사하며, ... ...
영원을 갈구하는 현대판 미라의 신비
과학동아
l
200105
2일 어는 현상을 방지하는 DMSO(디메틸설파옥사이드)를 녹여 만든 부동액으로 혈액을 바꾼
뒤
섭씨 영하 1백96℃의 액체질소가 채워진 알루미늄 용기에 넣어졌다. 베드포드 박사는 인류의 암 치료술에 큰 발전이 예상되는 2030년쯤 해동돼 전신에 퍼진 암 세포를 몰아내고 60년이 넘는 긴 겨울잠에서 ... ...
IMT2000 그 환상과 현실
과학동아
l
200105
xxx’ 시리즈를 2002년 1사분기 이후 내놓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럴 경우 해당 칩이 나온
뒤
6개월-1년 정도 지나야 그를 기반으로 한 상품을 기대할 수 있으므로 2003년께나 상용 서비스가 가능하다는 계산이 나온다.서비스는 이미 시작된 셈그러나 여러 문제점과 걸림돌에도 불구하고, IMT2000 서비스는 ... ...
권력자들에게 빼앗긴 서양의 달 이름
과학동아
l
200105
셈입니다. 이 막강한 두 정치 지도자가 껴드는 바람에 7, 8, 9, 10월의 이름이 엉뚱하게
뒤
로 밀려난 것입니다. 언어는 문화의 켜를 안고 있습니다. 그 깊은 뜻을 알고 쓰면 더 좋을 텐데요 ... ...
수원화성(華城) - 2백년 역사의 성벽에 숨은 지혜3가지
과학동아
l
200105
찾을 수 있다. 성벽이 왜 구불구불한지를 탐방 참가자에게 물어본다. 그러면 참가자는
뒤
를 돌아보고 성벽이 구불구불한지를 확인하고 생각을 한다.어떤 사람은 “성벽을 반듯하게 쌓지 못해서가 아니냐”고 대답한다. 하지만 우리 조상들은 성벽을 구불구불하게 만드는 것이 더욱 견고하다는 것을 ... ...
동물도 생각할까!?
과학동아
l
200105
보내 자신의 위치를 알린다. 이어 연속적으로 몇번에 걸쳐 서로 바삐 신호를 주고받은
뒤
수컷이 암컷 곁으로 내려앉아 교미를 한다.그런데 미국 동부에 사는 몇몇 종의 반딧불이 암컷은 다른 종의 수컷이 보내는 신호를 읽을 줄 아는 것은 물론 그 종의 암컷이 보내는 응답 신호를 흉내낼 줄도 안다. ... ...
3차원 입체사진, 애너글리프
과학동아
l
200105
볼 수 있다.이때 두눈의 이미지가 만나는 곳이 어디냐에 따라 사진 속 사물이 앞 또는
뒤
에 있는 것처럼 우리 눈에 보인다(그림2).애너글리프는 NASA의 화성탐사선 패스파인더에 응용됐다. 패스파인더에 실려보낸 사진기는 애너글리프를 얻는 방식으로 두장의 입체사진을 찍는다. 이것이 지구로 ... ...
야심찬 화성 식민지화 프로젝트 - 레드 플래닛
과학동아
l
200105
정반대죠. 따라서 이끼를 뿌려 산소를 만들어내려는 것입니다. 화성을 탐사하고 난
뒤
에는 금성을 탐사하려 합니다. 금성은 약 5백km의 두터운 이산화탄소 구름으로 덮여 있기 때문에 이를 산소층으로 만들어내려면 약 1천4백년 정도가 걸립니다. 달나라에 가서 사는 동안 이끼를 금성 표면에 ... ...
적외선 투시카메라보다 월등한 뱀의 시력
과학동아
l
200104
고정된 눈을 가진 개구리가 그때 바라보는 광경은 아무 사물도 없이 회색의 옅은 안개로
뒤
덮힌 광경이 전부다.미동도 하지 않은 개구리가 보는 세상이 지루하고 단조롭다고 해도 개구리의 눈을 우습게 보면 안된다. 개구리가 보는 세상에서 움직이는 물체는 단 하나도 그들의 시선에서 벗어날 수 ... ...
⑤ 자생식물이용기술 개발사업단장 정혁
과학동아
l
200104
교통사고를 당해 오른팔을 절단하고 말았다. 하지만 이에 굴하지 않고 왼팔로 연습해 8년
뒤
에 또다시 금메달을 획득했던 것이다. 정단장은 ‘나도 할 수 있다’는 생각을 갖고 왼손으로 테니스를 시도했다. 처음엔 불가능할 것처럼 보였지만 이를 극복했다. 정단장은 “노력하면 안되는 게 ... ...
이전
674
675
676
677
678
679
680
681
68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