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나중
다음
배후
뒤쪽
후방
꽁무니
d라이브러리
"
뒤
"(으)로 총 9,103건 검색되었습니다.
1. 단군성전은 실재하는가
과학동아
l
200101
방사성이 아니어서 유기체가 죽어도 양이 일정하다. 즉 14C 대 12C의 비율은 유기체가 죽은
뒤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달라진한다.14C의 반감기(방사성 원소가 반으로 붕괴하는데 걸리는 시간)는 5천7백30년이므로, 이 비율을 측정하면 유기체의 사망 연대를 측정할 수 있다. 이 측정법의 장점은 살아있던 ... ...
하늘이 내린 영웅의 상징 삼태성
과학동아
l
200101
별이 붙어있는데 이것이 아들이 들고 쫓아간 망치다. 물론 세번째 별이 아들을 말리려고
뒤
따라간 김부자다.장수감을 내려주는 삼태성북두칠성은 서양별자리에서는 큰곰자리에 속하는데, 큰 곰의 꼬리부분을 이룬다. 국자가 아니라 큰 곰의 꼬리인 것이다. 그런데 어두운 시골의 밤하늘에 가서 이 ... ...
2. 지구 위협하는 블랙리스트 300
과학동아
l
200101
명명위원회(SBNC)에 상정, 최종 결정된다. 이때 특별한 경우가 아니라면 적어도 두달
뒤
에는 명명 여부가 확정된다. 그러나 제안된 이름 자체, 또는 명명 이유에 대해서 위원회가 수긍하지 못할 경우 더 길어질 수 있다. 주의할 점은 설사 ‘제안됐을 뿐’이라고 밝히더라도 확정되지 않은 이름을 미리 ... ...
12억원 상금 걸린 지뢰찾기 게임
과학동아
l
200101
열어야 하는데 지뢰가 든 사각형을 선택하면 바로 게임 끝. 그렇지 않은 경우 사각형
뒤
에는 숫자가 나타난다. 이 숫자는 인접한 8개의 사각형에 숨어있는 지뢰의 수를 의미한다.이제 이 숫자정보를 이용해 다음 사각형을 연다. 물론 이때도 지뢰가 터지거나 인접한 지뢰의 수를 알려주는 숫자가 ... ...
궁정화가 벨라스케스의 시녀들
과학동아
l
200101
카를 5세가 티치아노에게 금목걸이를 걸어주거나, 합스부르크 황제 막시밀리아누스가
뒤
러의 그림 시중을 든 일은 모두 회화 예술의 제왕에 대한 응당한 대우로서 화가들의 공방에서 귀에 더께가 앉도록 전해지는 이야기였다. 벨라스케스는 예술가의 수고를 잊지 않고 친히 작업실을 방문한 국왕의 ... ...
2001년을 여는 장엄한 개기월식
과학동아
l
200101
달이 붉게 보이는 것이다.겨울 새벽이라 추워서 이불 속에서 나오지 못할 사람들은 6개월
뒤
인 7월 5일 밤에 부분월식을 기대해도 좋다. 하지만 이번 개기월식만은 못할 것이다.북두칠성 근처에서 펼쳐지는 별똥별쇼새해 벽두부터 별똥별을 보며 소원을 빌고 싶다면 1월 4일 새벽 북두칠성 근처 ... ...
쇼핑의 과학
과학동아
l
200101
다 녹화를 해야 한다. 또한 손님으로 가장한 연구원들을 매장에 풀어놓고 진짜 손님
뒤
를 몰래 따라다니며 손님이 행하는 일거수 일투족을 세밀히 기록해야 한다. 그래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토요일 오전 11시 7분. 하늘색 티셔츠와 청바지를 입은 중년의 대머리 남성이 할인매장 ... ...
한낮에 흑점 관측하는 요령
과학동아
l
200101
25일이 걸린다. 따라서 태양 표면에서 함께 자전하는 흑점은 태양
뒤
로 사라진
뒤
약 2주일 가량 지나면 반대편에서 되돌아 나오는 것을 볼 수 있다.흑점은 생겨났다 없어지기도 하는데 수명이 짧은 것은 수일, 긴 것은 몇개월 동안 남아 있다. 1843년 독일의 ‘슈바베’는 흑점의 수가 11년을 주기로 ... ...
2. 멋진 신세계 앞당긴 신기술 삼총사
과학동아
l
200101
얼마 전까지만 해도 먼 미래의 일로 여겨지던 이 ‘멋진 신세계’가 갑자기 불과 2-3년
뒤
의 현실로 바짝 다가오게 된 비결은 무엇일까. 시사주간지 ‘아시아위크’는 포스트PC 시대를 가능케 한 배경으로 다음 3가지 신기술을 들었다.데이터 저장의 신개념 플래시메모리애플컴퓨터는 신제품 ... ...
가상식물 창조하는 2010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0012
기능을 분석해오던 지금까지의 연구방법을 획기적으로 전환시킬 것이다.그러나 10년
뒤
에 모든 생물학적 의문이 풀리게 되지는 않을 것이다.유전자 기능의 분석이 끝나고 생물학의 넓은 영역을 생각하면 아직 걸음마 단계이기 때문이다 ... ...
이전
679
680
681
682
683
684
685
686
6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