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나중
다음
배후
뒤쪽
후방
꽁무니
뉴스
"
뒤
"(으)로 총 13,869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 연구자 발표한 '세 부모 자녀' 가이드라인 반박 연구 나와
동아사이언스
l
2019.10.17
위해 미토콘드리아 게놈에 문제가 없는 여성(오른쪽)의 탈핵한 난자에 자신의 핵을 넣은
뒤
수정을 시켜 자궁에 착상시키는 방법이다. 사이언스 제공 한국 연구자가 발표한 ‘세 부모 자녀’를 통해 미토콘드리아 유전병을 치료하는 가이드라인을 반박하는 연구가 발표됐다. 개빈 허드슨 영국 ... ...
공중화장실 문고리 등서 병원균 13종 발견…사용후 2%만 제대로 손씻어
동아사이언스
l
2019.10.16
높은 3단계 손 씻기 방법을 내놓기도 했다. 실험을 통해 손 전체를 꼼꼼히 닦은
뒤
손가락 끝을 손바닥에 긁듯이 문지르거나, 손가락에서 반지를 빼듯이 엄지를 돌리면서 문지르는 것만으로도 WHO의 손 씻기 방법만큼 세척효과가 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렇게 손을 씻는 데에는 단 15초가 걸린다. ... ...
“한국 부실학회 문제 OECD 국가 중 가장 심각. 대처 일회성에 그쳐”
동아사이언스
l
2019.10.16
OECD) 국가 중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지난해 부실학회 문제가 불거진
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교육부가 최근 5년간 부실학회 참석 여부 전수 조사와 함께 참석자 징계조치를 했지만 일회성에 그칠 가능성이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국회입법조사처는 최신 국내외 동향 및 현안에 대해 수시로 ... ...
큐브 퍼즐 푸는 로봇손…오픈AI, '인공지능+로봇' 결합해 개발
연합뉴스
l
2019.10.16
퍼즐의 색깔을 바꿨고 퍼즐의 타일 간 마찰력의 크기에도 변화를 줬다. 그리고 훈련
뒤
이 로봇손은 예상 밖의 상황에도 대처하는 법을 배웠다. 이 프로젝트에 참여한 연구자인 피터 웰린더는 "큐브 퍼즐을 푸는 일은 크게 쓸모 있지는 않다"며 "하지만 이는 우리가 이 기술을 얼마나 멀리 확장할 수 ... ...
[강석기의 과학카페]올가을 태풍 한반도 미래 기후 맛보기
2019.10.15
줄줄이 쓰러진 모습이 떠오른다) 그런 빈도도 잦아질 것이다. 지구온난화 추세를
뒤
엎기는커녕 가속화시키지만 않아도 다행이라는 게 현실임을 받아들인다면 태풍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는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현명한 대응책이라는 생각이 든다. 아래는 IPCC의 특별 보고서에 나오는 한 ... ...
"2027년까지 세계 최초로 전국 주요도로에 완전자율주행차 운행 허용키로"
동아사이언스
l
2019.10.15
특히 과거에는 자율주행차를 개발하기 위해 준완전자율주행(레벨3) 기술을 먼저 개발한
뒤
에 기술을 완전자율주행(레벨4)을 순차적으로 개발한다는 전략을 세웠으나, 이번에 두 기술을 동시에 개발해 상용화를 앞당기겠다는 구상을 내놨다. 정부는 이를 통해 2027년 자율주행 분야에서 세계 ... ...
서로 다른 물질 붙여 전류 방향 바꾼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0.15
전류 방향을 통제할 가능성을 제기했다. UNIST 제공 두 개의 서로 다른 물질을 붙인
뒤
자기장을 걸어줘 한쪽 방향으로만 전류가 잘 흐르도록 만드는 소재를 국내 연구팀이 개발하고 원리까지 밝혔다. 전류를 특정한 방향으로 흐르도록 유도하는 다이오드 등 새로운 자성소자 개발에 응용될 수 있을 ... ...
'외계생명체와 만나면 무슨 일이?' 미래사회 시나리오 공모전
동아사이언스
l
2019.10.15
담아 e메일(futures@gist.ac.kr)로 접수하면 된다. 캡슐음식이나 로켓버스 등 30~50년
뒤
가능해질 기술 변화, 기술전쟁 등 과학기술에 의한 사회문제와 갈등, 기후변화 해결 등 기술로 해결 가능한 문제, 외계생명체와의 만남 등 제시된 주제를 하나 이상 포함하기만 하면 어떤 내용이든 제안할 수 있다. ... ...
멀리 떨어진 사용자들 가상현실 공유하는 플랫폼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0.15
유범재 연구단장은 “사용자는 자신을 대신하는 아바타로 표현돼 네트워크에 접속한
뒤
다른 장소에 있는 사용자들과 소통하고 협업할 수 있다”며 “가상 키보드를 사용해 메시지를 보내거나 가상 공간에 그림을 그리고 가상 물체를 조작하면서 토론할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단은 5세대( ... ...
항체 잡는 '빛 스위치' 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0.15
증식시켜 신속하게 대응하는 방식도 있다. 두 번째 방식에서는 병원체를 물리친
뒤
그 병원체를 가장 잘 식별할 수 있는 일종의 표지를 잘라 세포가 기억하게 된다. 이 표지 물질을 항원이라고 하고, 항원을 잘 식별하기 위한 일종의 탐지 레이더를 ‘항체’라고 한다. 항체는 Y자 모양으로 생긴 ... ...
이전
683
684
685
686
687
688
689
690
6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