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나중
다음
배후
뒤쪽
후방
꽁무니
d라이브러리
"
뒤
"(으)로 총 9,103건 검색되었습니다.
새옷 입은 고속프로세서
과학동아
l
199905
이후에는 최고 600MHz에 이르는 고속제품들이 선보일 것이다. 현재 인텔은 펜티엄III의
뒤
를 이어 최대 800MHz의 속도를 낼 코퍼마인이라는 프로세서를 개발 중이다. 이 제품은 99년 후반에 모습을 드러낼 전망이다. 600MHz의 사이릭스의 M3와 K7 1GHz도 샘플이 출하될 것으로 보여 2000년부터는 600MHz 이상의 ... ...
히틀러와 아인슈타인
과학동아
l
199905
2차대전을 감행한 히틀러의 자신감은 여기서 비롯됐을 것이다.히틀러는 집권 1년
뒤
국민투표에서 90%의 지지를 받고 제3제국 총통에 올랐다. 제3제국이라 함은 독일이 영화를 누렸던 신성로마제국(962-1806)과 독일제국(1871-1918)의 정통성을 이어받자는 뜻. 독일 국민은 게르만 민족의 자존심을 ... ...
⑤ 정자은행과 난자은행
과학동아
l
199905
경우 대표적인 사례는 정자은행을 이용한 방법이다. 정자를 저온에서 냉동시켜 보관한
뒤
원하는 때에 녹여 수정에 사용한다. 현재의 기술로 수년간 정자를 보존할 수 있다.현재 미국과 유럽의 여러 나라에서는 타인의 정자를 사고 파는 매매가 합법화돼 있다. 그런데 1992년 마련된 미국불임학회의 ... ...
은하수 너머의 우주 외부은하
과학동아
l
199905
집중적으로 발견되는 신성에 의문을 품고 이러한 주장을 확대시켰다. 그로부터 5년
뒤
허블은 미국 남부 캘리포니아의 윌슨산에 설치된 1백인치 망원경(당시 세계 최대)을 이용해 안드로메다 성운을 장시간 노출을 주어 사진을 찍었다. 허블은 안드로메다 성운의 가장자리에서 몇 개의 별들을 ... ...
MPEG 영상압축
과학동아
l
199905
처리속도를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동영상에서는 1초에 30장씩 화면을 전송하기 때문에 앞
뒤
장의 화면 중 많은 내용이 같고 공간적으로도 상당한 면적의 색깔이 같은 경우가 많다. 반복되는 정보를 줄이면 상당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사람의 눈으로 미세한 부분이 변화하는 것을 ... ...
② 단 하나의 정자로도 수정 가능
과학동아
l
199905
정자가 난자의 막을 뚫고 들어갈 때 없어져야 하는 두개의 단백질이 난자 속으로 들어간
뒤
에도 그대로 정자에 달려있었다고 밝혔다. 정자와 난자가 비정상적인 상호작용을 일으켜 유전적 결함이 발생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일이다.그러나 새튼 박사는 이 유전적 결함이 ICSI 시술 자체에 의해 ... ...
진실을 재는 하늘의 저울 천칭자리
과학동아
l
199905
술의 신 디오니소스와 결혼했다. 이때 보석으로 장식한 금관을 선물받았다. 그녀가 죽은
뒤
디오니소스가 금관을 하늘로 던지자 금관의 보석이 위로 올라가면서 빛나더니 별자리로 남았다고 전해진다. 동양에서 이 별자리 이름은 관색성(貫索星). 7개 별에 파이(π)별과 로(ρ)별을 더해 9개의 별을 ... ...
플레밍 신화의 진실
과학동아
l
199904
이 덕분에 신문들은 플로리팀에 대해서는 쓸 수가 없었고 대신 플레밍을 페니실린
뒤
에 우뚝 선 ‘유일한’ 천재로 묘사했다. 물론 플레밍은 연설 때마다 동료로서 플로리와 체인의 역할에 대한 칭찬을 빼놓지 않았다. 하지만 자신이 10여년간 자신의 발견에 대해 오리무중 상태였음은 말하지 ... ...
재미있는 여러가지 차원이야기
과학동아
l
199904
나머지 세 개의 삼각형 각각에 대해 같은 작업을 한다. 이런 작업을 반복적으로 하고 난
뒤
얻어지는 도형이 시어핀스키 삼각형이다. 시어핀스키 삼각형의 차원은 r=2, N=3 이므로 D=$\frac{{log}^{3}}{{log}^{2}}$=1.58 차원이 된다. 직관적으로는 면을 갖는 2차원일 것 같지만 말이다.위의 예들 외에도 2차원이 ... ...
마음의 괴로움이 병을 부른다 '심신의학'
과학동아
l
199904
DSM-IV)에 ‘Wha-byung’이라고 독립된 질병으로 기술돼 있다. 하지만 좀더 많은 연구가
뒤
따라야 홧병에 대한 정확한 원인과 처방책을 찾을 수 있다.그렇다면 심신질환을 어떻게 치유해야 할까. 불행하게도 현재로서는 뾰족한 답이 없다. 일단은 환자 스스로 마음을 잘 다스려야 한다. “건전한 정신은 ... ...
이전
700
701
702
703
704
705
706
707
70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