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나중
다음
배후
뒤쪽
후방
꽁무니
d라이브러리
"
뒤
"(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남미의 뿌리, 안데스 산맥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그래서 잉카의 후예들은 열대지역의 농작물을 가져다가 제일 따뜻한 맨 아래층에 심은
뒤
차츰 위에 있는 밭으로 옮겨 심는 방식으로 선선한 고지대 기후에 적응시켰다. 이렇게 해서 성공한 대표적인 농작물이 옥수수다. 이처럼 잉카인들이 안데스 산맥 위에서 화려한 문명을 꽃피울 수 있었던 데는 ... ...
Intro. 화학-지구촌 구할 녹색 해결사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지난 20세기는 화학의 세기였다. 화학자가 합성한 아스피린은 20세기 들어 널리 시판된
뒤
지금 이 순간에도 수많은 사람들의 고통을 덜어주고 있다. 이어 개발된 페니실린을 비롯한 여러 항생제는 셀 수 없는 생명을 구해주었다. 비료와 농약의 발명은 농업혁명을 이룩해 인류의 굶주림 해결에 ... ...
Part 1. 방사능 논란, ‘저선량 방사선’이 문제다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검출됐다. 거리가 206km 떨어진 도쿄에는 6일
뒤
인 3월 21일 방사성 물질이 검출됐고, 이틀
뒤
에는 수돗물에서도 200Bq의 방사능이 측정됐다. 우리나라에는 3월 23일부터 차례로 강원도에 크세논이, 28일 서울 등에서 요오드가, 29일 대전에서 세슘이 검출됐다. 하지만 방사능은 모두 1Bq(크세논) 또는 1mBq ... ...
Part 3. 원전과 오토바이, 뭐가 더 위험할까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그 양에 따라 돌이킬 수 없는 생태계 파괴를 유발할 수 있다. 체르노빌의 경우 사고
뒤
30년이 훌쩍 지났지만 아직도 반경 30km 안에는 사람이 사는 것은 물론이고 외지인의 통행도 엄격하게 통제하고 있다. 200명 가량의 일부 극소수의 노인만이 고향 마을을 떠나기 싫어 20km가량 떨어진 곳에서 살고 ... ...
황당맨의 취재수첩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의대의 남도현 교수팀과 공동으로 분자수송체에 항암제인 파클리탁셀을 결합한
뒤
뇌종양에 걸린 쥐에게 먹였다. 그 결과 종양의 크기가 상당히 줄어들었다. 정 교수는 “분자수송체와 결합할 수 있다면 어떤 약물도 뇌로 보낼 수 있다”며 “치명적인 뇌질환도 약물로 치료할 수 있는 가능성이 ... ...
“나를 키운 건 8살짜리 궁금증”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아주 상식적인 개념이 왜 생겼는지 사람들이 잘 모른다는 것을 알게 됐다. 그는 상식을
뒤
집는 작업을 시작했고 잇따라 우수한 성과를 내놓았다. 그는 2010년 케임브리지대 한스 라우싱 석좌교수로 부임했는데 과학사·과학철학과 소속 10명의 교수 중 선임 자리이다.“과학사나 과학철학이 일반 ... ...
우리 땅 독도 과학으로 지킨다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줄어들고 있다. 심 책임연구원은 “연안과 독도에서 각각 측정한 파고와 파향을 비교한
뒤
시뮬레이션 모델로 모래가 어떻게 유실되는지 파악할 것”이라고 말했다. 과학기지에서 실시간 관측한 너울성 파도는 약 5시간 만에 동해안에 도달한다. 너울성 파도의 특성과 만들어지는 과정도 조사해 ... ...
글로벌 벤처 내 손으로 만든다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보니 온통 MIT는 모든 행사의 책임을 지지 않는다는 내용이었습니다. 계약서에 사인한
뒤
모든 책임을 저와 동아리가 져야 했습니다.”MIT의 경험과 네트워크를 얻으려는 입장이다 보니 이런 불리한 조건을 감수할 수 밖에 없었다.“자금을 모으는 것도 쉽지 않았어요. 처음 여러 단체에 제안서를 ... ...
역사를 다시 쓴 여행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1961년 4월 12일 소련의 유리 가가린은 처음으로 우주를 비행했다. 그는 108분 동안 지구의 궤도를 도는 데 성공했다. 소련에 돌아온
뒤
유리 가가린은 영웅이 됐고 냉전시기 소련의 선전 군사로 활동했다. ...
황사보다 위험한 에어로졸 감시한다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라이다 역시 고도에 따른 에어로졸의 분포를 관측하는 데 쓰인다. 라이다는 레이저를 쏜
뒤
물체에 부딪혀 돌아오는 반사파를 측정하는 장비다. 대기 중으로 쏜 레이저는 에어로졸 입자의 상대적 크기에 따라 산란의 형태가 변한다. 레이저가 산란 혹은 소멸되는 정도를 고도별로 측정하면 ... ...
이전
700
701
702
703
704
705
706
707
70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