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균형
조화
상칭
d라이브러리
"
대칭
"(으)로 총 938건 검색되었습니다.
적외선우주 관측하는 새로운 망원경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대칭
상에서 전이점에 접근하면 질서 파라미터의 요동이 커져 전이점에서 발산하고 낮은
대칭
상에서 전이점에 접근하면 질서파라미터의 자발값이 연속적으로 작아져 전이점에서 0이 된다 분자식은 같으나 구조식이 다르기 때문에 생기는 이성현상 지각을 구성하는 암석 · 지층의 존재상태 · ... ...
컬럼비아호 잔해 2만개 조각맞추기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것 좌우상, 거울상체라고도 한다회천축의 위치 및 수는 완전상과 같지만 거울면과
대칭
중심이 없는 결정족이다결정면의 위치에 따라 좌결정과 우결정이 생긴다이들은 물체와 거울에 비치는 상과의 관계와 같아서 서로 겹쳐 맞출 수 없다고온 플라즈마를 가두기 위한 자기장 배위의 하나로서 자기 ... ...
차세대 정밀유도폭탄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일반 모뎀이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과 다르게 새로운 주파수 대역을 설정했기 때문이다 비
대칭
이란 용어는 수신 속도(E1:초당 2048MB 전송)와 송신 속도(6백40kbps)가 크게 다르기 때문에 사용됐다 일반 사용자가 PC통신이나 인터넷을 즐기기에는 적합하지만 송신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양방향 통신에는 ... ...
미국이 준비한 첫 인터넷 전쟁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부여한다전자기력과 약력을 통합하는 비가환(순서를 바꾸면 결과가 달라지는) 게이지
대칭
성약력이나 전자기력은 그 힘을 표현하는 결합상수가 충분히 작아서 이 값을 중심으로 급수전개(섭동론)가 가능하지만 강력의 경우 그 결합상수가 아주 커서 섭동론을 적용할 수 없다특정한 게이지 군에서 ... ...
5 분자생물학 만능시대 극복하는 통합생물학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하게끔 보존돼 있다는 것이다.사람 눈 유전자로 발생시킨 거미 눈개체의 좌우가
대칭
인
대칭
동물의 호메오 유전자인 ‘혹스 유전자’(hox genes)는 우리를 또한번 놀라게 한다. 초파리의 혹스 유전자를 생쥐의 배아에 이식하면 어떻게 될까? 항상 그런 것은 아니지만 초파리의 어떤 혹스 유전자는 ... ...
컬럼비아호 참사와 관련된 내열타일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점도가 낮다 예를 들어 물은 비교적 낮은 점도를 갖고, 식용유 등과 같이 커다란 비
대칭
분자로 이루어진 유체는 높은 점도를 갖는다세계 최대 컴퓨터 통신망이면서 상호작용의 커뮤니케이션과 정보의 디지털화를 극명하게 보여주는 뉴미디어 세계 각 지역들의 크고 작은 네트워크들이 공동의 ... ...
3. 난분해성 폐수 걸러내는 나노막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분리막층을 통과해 투과도뿐 아니라 기계적 강도가 높아진다. 이런 분리막의 구조는 ‘비
대칭
다공성’ 구조라고 하는데, 단순한 고분자 가공기술로 제조가 불가능하다.나노소재기술은 이같은 구조를 갖는 분리막 제조의 기술적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다. 분리막 표면에 나노크기의 기공을 ... ...
미국의 이라크 전에 대한 각국의 지지도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동물계(Animalia)다생물 분류체계에서 문에 해당하는 한종류 바다에 사는 동물로 몸은 방사
대칭
을 이루며 석회질로 된 껍데기를 가진다 오늘날의 성게, 해삼, 불가사리, 해백합 등이 속한다생물 분류체계에서 문에 해당한다 바다의 바위나 다른 동물에 고착해 살거나, 진흙 속에서 산다 현생종은 약 ... ...
장거리 여행객 위협하는 이코노미클래스 신드롬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방법으로 모습을 바꾸면서 나타나는 현상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행렬이론을 통해
대칭
성을 설명한다전화번호나 e메일 주소처럼 다른 사람에게 공개하지만 메시지는 보안이 유지된 상태로 특정한 사람에게 전달되게 하는 방법 주로 역함수를 구하기 어려운 함수를 사용한다 컴퓨터 통신 상에서 ... ...
키스할 때나 누드일 때나 조각상은 우파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논문 제목이 고약하게도 ‘고대 남성 조각상과 실제 남성에게서 보이는 음낭의 비
대칭
성’이었습니다. 과연 어느 쪽으로 기울었을까요.1960년 창이라는 과학자는 시신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오른쪽 음낭이 왼쪽보다 위에 있고 크기나 부피도 더 크다는 사실을 밝혀낸 바 있습니다.반면 1764년 ... ...
이전
67
68
69
70
71
72
73
74
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