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균형
조화
상칭
d라이브러리
"
대칭
"(으)로 총 938건 검색되었습니다.
Ⅱ 21세기 첫 노벨상 수상자들 : 화학 - 거울
대칭
두 물질에서 유용한 쪽만 합성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국내외에서 활발히 진행되는 비
대칭
합성연구의 기반이 바로 샤플리스 교수가 개발한 비
대칭
산화반응으로부터 마련됐다고 할 수 있으니, 그의 업적은 실로 최근 수십년 동안의 유기화학계에서 가장 뛰어난 연구업적 중 하나로 꼽힌다.2001년 노벨화학상 수상자인 놀스, 노요리, 샤플리스 박사 등의 ... ...
왜 물리학자는 암흑 속으로 파고들까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위해 연구중이다.여러 후보 중 현재 가장 각광받고 있는 입자는 윔프. 입자물리학의 초
대칭
성 이론에 의 한 계산에 따르면 암흑물질의 양만큼 존재할 것으로 예측되기 때문이다. 무겁지만 보통의 물질과 반응이 매우 작은 입자로서, 그들 사이의 소멸확률이 적당히 작아서 우주 초기에 생성돼 ... ...
착시 노리는 패션의 허와 실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분위기를 전달하고 수직선보다 더 날씬해보이는 경향이 있어 선호된다. 사선은 대개 비
대칭
적인 디자인을 만들어 인체를 더 가냘프게 보이게 하지만, 이것도 절대적인 것은 아니다. 사선이 지나치게 반복돼 디자인되면, 혼란스러워져 역효과가 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검정색 스타킹 ... ...
물리학자는 왜
대칭
성에 주목할까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B중간자 쌍이 필요하므로 이를 만들어내는 가속기를 B-공장이라고 부른다. B중간자에서 CP
대칭
성 깨짐의 발견은 현재의 이론이 이 현상을 제대로 설명할 수 있느냐는 점은물론 새로운 이론이 발붙일 자리를 찾는면에서 매우 중요하다.이 중요성에 비춰 미국의 스탠포드 가속기 연구소(SLAC)와 일본의 ... ...
맨몸으로 즐기는 인공파도·서핑·미끄럼틀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3분을 주기로 2.4t의 물을 한순간에 맞을 수 있는 놀이시설이 있다.얼굴면과 머리면이 비
대칭
인 해골 머리 모양의 거대한 바가지는 양 옆면을 관통하는 축에 매달려 있다. 그리고 머리 윗부분은 구멍이 뚫려있다. 이 구멍을 통해 아래로부터 끌어올린 물이 해골바가지로 들어간다. 점점 해골바가지에 ... ...
자신을 가두는 반복의 굴레 - 이보다 더 좋을 순 없다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완벽성에 지나치게 집착해서 아주 꾸물거리는 타입도 있다. 머리를 빗을 때 좌우
대칭
을 맞추기 위해 3시간 이상 소모한다거나 (실제로 이런 사람들이 있다!), 베개를 제자리에 놓고 자기 위해 베개 위치를 고치다가 밤새 잠 한숨 못자는 경우가 여기에 해당된다.사랑하는 사람과의 어색한 ... ...
3차원 입체사진, 애너글리프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고정시키기가 어렵다. 우선 서로 마주보는 거울 두장을 구멍이 있는 곳을 중심으로
대칭
이 되도록 맞춘다. 그리고 양면테이프로 거울 두장을 바닥에 붙인다. 나머지 두장을 움직여가면서 거울 두장에 한쌍의 사물이 보이도록 맞춘다. 그런 후 나머지 거울 두장도 양면테이프를 붙여 바닥에 ... ...
PART 2. 쓰레기 소각장 다이옥신 제거하는 나노화학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특정한 방향의 빛을 흡수하는 편광 현상이 나타난다. 이처럼 구와 달리 방향에 따라 다른
대칭
성으로 인해 나타나는 현상을 이용해 미래의 초미세 양자 레이저, 광학기록매체 등으로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반도체뿐만 아니라 자성금속 나노입자 또한 매우 특이한 자기적 성질을 나타낸다. ... ...
나노세계의 요술지팡이 갖고 노는 물리학자 임지순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탄소나노튜브 하나는 거울
대칭
성을 갖고 있어 금속성질을 갖지만 다발로 있을 경우 거울
대칭
성이 깨지면서 반도체가 된다는 이론이 발표되면서 실리콘 반도체보다 집적도가 1만배 이상 되는 새로운 반도체의 출현을 위한 연구는 가속화됐다.그는 2000년 4월 21일자 ‘사이언스’지에 미국의 ... ...
하늘에서 내리는 미스터리 결정체 눈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쓴 ‘6각형의 눈송이에 대해’라는 제목의 짧은 논문이다. 케플러에게도 이런 결정체의
대칭
구조가 매력적인 질문이었나 보다. 하지만 그가 이 문제를 해결한 것은 아니다. 그로부터 3백년쯤 지난 후에야 인간은 답을 얻었다. 바로 X선 결정학의 도움을 얻어서 말이다.눈은 0℃ 이하의 온도에서 ... ...
이전
70
71
72
73
74
75
76
77
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