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나중
다음
배후
뒤쪽
후방
꽁무니
d라이브러리
"
뒤
"(으)로 총 9,103건 검색되었습니다.
소저너 탐사일지
과학동아
l
199708
빌에게 접근하기 위해선 70도 가량 회전하고, 바위와 분광계가 충분히 닿을 수 있도록
뒤
로 움직이는 동작이 필요하다. 바위에 닿으려면 대략 36cm 정도 움직여야 한다.이날 패스파인더는 고분해능으로 찍은 패스파인더 착륙선 주위의 3백60도 파노라마 사진을 보내왔다. 이를 토대로 NASA 과학자들은 ... ...
1. 전복껍질에서 탄생한 철갑탱크
과학동아
l
199708
전기를 발생하는 전기 뱀장어는 일단 낮은 볼트의 전기장을 이용해 대상물을 감지한
뒤
강력한 전기를 방출함으로써 먹이를 죽이거나 겁준다. 그 강도는 0.1볼트짜리 건 전기를 수천개 직렬로 연결한 것과 맞먹는 정도. 먹이를 발견하면 모든 전지가 일시에 작동하며, 이때 거의 5백 볼트에 달하는 ... ...
인터넷 다마곳치, 휴대폰 다마비치 등 속속 등장
과학동아
l
199708
사람이 많은 것도 이 때문이다.한편 우리나라의 게임전문업체인 디지타워는 다마곳치의
뒤
를 이어 인기가수를 직접 매니저 하는 게임으로 제 2의 다마곳치 열풍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이 회사가 일본 반다이사에 공급한 휴대용게임기 ‘포켓비스킷’은 일본 전역에 발매된지 하루만에 30만개가 동이 ... ...
땀
과학동아
l
199708
-7% 손실돼 근육 경련을 일으킨다는 보고가 있다.땀이 증발한
뒤
피부 표면에 남은 염분은
뒤
이어 나온 땀의 염분농도를 높인다. 그 결과 땀의 증발은 점점 억제된다. 따라서 효과적인 증발을 위해 땀을 닦아내거나 떨구어내는 것이 좋다.땀에 포함된 이온의 함량은 개인에 따라 차이가 있다. 체력이 ... ...
4. 바퀴벌레의 지혜터득한 로보로치
과학동아
l
199708
나방의 촉수 뉴런에 전극을 달아 신호를 증폭시켰다. 그리고 다음에는 페로몬을 제거한
뒤
전극을 통해 근육에 전기적 신호를 보내보았다. 그러자 나방은 이 인공 자극에도 페로몬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반응하며 같은 방향으로 돌았다.그러나 실망스럽게도 근육이 아닌 왼쪽 안테나에만 전기적 ... ...
인터넷도 맞춤 시대 푸시 열풍
과학동아
l
199708
바탕 화면에 배경 그림으로 나타나게 하고 이 사이트만을 집중 살펴보는 기능이다.
뒤
에 설명할 마이크로소프트의 ‘액티브 데스크 톱’과 비슷한 기능으로 사이트가 계속해서 새 정보로 갱신되므로 마치 TV를 보듯 볼 수 있는 것이 큰 장점이다.마지막으로 오프라인은 온라인 연결 상태 때 받아 둔 ... ...
집파리·모기·바퀴벌레의 사생활
과학동아
l
199708
주머니에 12-50개의 알이 들어있다. 암컷은 며칠 동안 이 주머니를 달고 다니다가 장농
뒤
나 옷이 쌓여있는 사이처럼 은밀한 곳에 붙여놓거나 떨어뜨린다. 이로부터 태어난 바퀴애벌레는 성충과 비슷한 모습을 갖춘다. 집에서 흔히 보는 독일바퀴의 경우 알 단계(20여일)를 거쳐 애벌레가 6회 정도 ... ...
② 수익체증의 법칙
과학동아
l
199707
쟁탈전을 벌였다. 이중 가장 먼저 등장한 CP/M은 시장에서 안정적인 위치를 확보했다. 또
뒤
를 이어 나온 매킨토시는 간편한 사용법을 무기로 급속한 확장세를 보였다. 반면 도스를 사용하는 IBM 호환 PC는 그다지 성능이 좋은 편은 아니었다. 오히려 도스는 컴퓨터 전문가 사이에서 ‘한심한 ... ...
① 사이비 과학과 음모론이 어울린 컬트 픽션
과학동아
l
199707
가능성을 안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근대과학의 대표적 산물인 사진기술이 탄생한
뒤
유령이나 영혼을 찍었다는 주장이 적지 않았음은, 이같은 우려가 단지 공상 차원에 머물지 않음을 보여주는 사례다.세계 회의론자 회의에서 학자들이 크리스 카터를 공격했던 것처럼 텔레비전에 진짜 과학을 ... ...
② 과학으로 풀어본 X파일의 실체 : 치유의 손
과학동아
l
199707
그날 무대에서의 열광으로 인해 아주 주저앉아버리고 말았다는 것이 밝혀졌다. 그는 2주
뒤
사망했다.그렇다면 이 환자가 약간의 고통을 느끼면서도 부목을 벗어던질 수 있었던 것은 어떻게 설명해야 할까. 학자들은 이에 대해 인체가 분비하는 생체의 마약성분인 엔도르핀의 영향으로 해석하고 ... ...
이전
720
721
722
723
724
725
726
727
7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