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나중
다음
배후
뒤쪽
후방
꽁무니
뉴스
"
뒤
"(으)로 총 13,259건 검색되었습니다.
치아에 고주파 쏴… 방사선 피폭량 간단히 측정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08
세계에서 두 번째로 이 기술을 독자 개발했다. 기존 기술은 치아를 뽑거나 일부를 떼어낸
뒤
가루를 내서 측정해야 해 환자의 고통이 심했다. 하지만 연구진이 개발한 기술은 치아를 5분간 기기에 갖다 대기만 하면 정확한 피폭량을 잴 수 있다. 연구팀은 치과에서 얻은 실제 치아에 방사선을 조사해 ... ...
여성 과기인 많아 보였는데... “20% 선 이제야 돌파”
동아사이언스
l
2019.03.07
차지하는 기관은 이공계 대학(5.2%)였고, 민간기업 연구기관(2.6%)와 공공연구기관(2.4%)가
뒤
를 이었다. 여성 과학기술인의 신규채용 비율은 전년보다 0.2%p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정규직 여성의 채용 비율은 전년 22.2%에서 2017년 23.4%로 1.2%p 증가했다. 전체적으로, 여성 과학기술인력의 ... ...
의료용 동위원소 생산시설 기장 연구로 착공 2년 지연…건설허가 언제쯤
동아사이언스
l
2019.03.07
기관인 원안위에 건설 허가를 신청했다. 허가 신청 당시 제출된 서류를 1년간 검토한
뒤
2015년 11월 건설허가 심사에 착수했다. 18개월 가량 소요되는 발전용 원자로 건설허가 심사기간에 준용해 볼 때 기장 연구로는 2017년 5월경 허가를 받아 착공 예정이었지만 착공 시기가 2년 가까이 지연된 셈이다 ... ...
빛 쪼이면 2분 안에 뚝딱, 회전하는 3D 프린터 나왔다
과학동아
l
2019.03.07
합쳐 3D로 재구성한다. 연구팀은 이 과정을 거꾸로 했다. 컴퓨터로 3D 물체를 입력한
뒤
, 서로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물체의 2D 이미지 값을 산출하게 했다. 그리고 2D 이미지를 영사기를 이용해 합성수지인 아크릴레이트 액체가 든 실린더에 비췄다. 실린더가 회전하는 동안 빛에 노출된 ... ...
'차세대염기서열분석' 정확도 높일 오류검증 방법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3.06
방법을 연구했다. 분석과정에서 오류로 읽힌 DNA분자 조각을 레이저로 추출해 복제한
뒤
NGS 분석결과와 별도로 재분석을 실시했다. 그 결과 NGS 결과에서는 DNA 변이로 분석되지만 실제로는 광학적 감지 오류임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이런 식으로 최종적으로 0.003% 변이율의 DNA 변이까지 분석이 ... ...
뼈 속에 혈관 있다?
과학동아
l
2019.03.06
미세혈관이 발견됐다. 해부학 교과서를 다시 써야 할지도 모른다. 마티아스 군제르 독일
뒤
스부르크-에센대 의대 교수팀은 쥐의 다리뼈에서 미세혈관을 발견해 국제학술지 ‘네이처 메타볼리즘’ 1월 21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쥐의 혈액세포를 연구하기 위해 형광물질로 염색해 실험하던 중 ... ...
줄기세포로 HIV 감염 환자 치료 성공…두 번째 사례 나와
동아사이언스
l
2019.03.05
오래 해야 한다. HIV 감염은 잠복기가 길고 에이즈는 만성질환이니 장기간 추적 조사를 한
뒤
에야 '완치'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는 뜻이다. 그래도 기대를 품는 학자들이 많다. 에이네 맥나이트 영국 퀸매리대 의대 교수는 “아직 CCR5 외의 안테나를 쓰는 경우 효과가 적다는 한계가 있긴 하지만, 이런 ... ...
유전자 ‘다이어트’한 합성대장균으로 더 많은 단백질 생산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05
찾게’ 했다. 자연에서 수십만~수백만 년 동안에 이뤄질 진화 과정을 빠르게 겪게 한
뒤
, 성장속도가 정상 대장균과 비슷하게 빠른 미생물을 얻는 데 성공한 것이다. 또 연구팀은 이 대장균의 유전체와 전사체(DNA에서 단백질을 만들기 위해 유전 정보를 담은 RNA의 총체) 등을 함께 해독해 성장 ... ...
'무분별한 음식 먹방' 어린이 건강 망친다…국제학술지 경고
동아사이언스
l
2019.03.04
나오는 먹방 영상으로 모두 팔로워가 수 백만명에 이른다. 연구팀은 영상을 보여준
뒤
어린이들에게 자유롭게 간식을 먹게 했다. 그 결과 건강에 좋지 않은 음식 먹방을 본 A그룹 어린이들은 C그룹에 비해 음식을 26%나 더 많이 먹는 것으로 나타났다. 먹방을 본 실험 그룹은 심지어 건강에 좋지 ... ...
퇴행성 뇌질환 치료하는 신경세포 대량 생산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3.04
이후 이를 다시 플라스틱 배양접시에 옮겨 2주간 배양해 신경세포를 대량 생산했다. 그
뒤
신경세포의 종류를 확인할 수 있는 단백질의 존재 여부와 양을 확인했다. 그 결과 가로세로 1cm 공간에서 15g의 무게를 견딜 수 있는 강도의 젤에서 배양했을 때 대뇌피질의 신경세포를 나타내는 단백질이 1.6배 ... ...
이전
722
723
724
725
726
727
728
729
7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