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첨단기술과 인지과학의 만남 로보월드 2010과학동아 l2010년 11호
- 물잔을 보고 손으로 집어 드는 단순한 동작의 경우, 물잔을 인식하고 팔을 뻗어 잡은 뒤 부서지지 않을 만큼만 손가락 관절에 힘을 줘서 들어 올려야 한다. 인지과학과 기계공학 지식이 뒷받침되지 않고서는 불가능한 일이다.국내외 로봇 기술의 현주소를 한눈에 볼 수 있는 대형 전시회가 열린다. ... ...
- 똑딱이로 찍은 명품 항공사진과학동아 l2010년 11호
- 출발한 풍선은 30km 상공의 대기권과 성층권 경계 지점까지 올라갔다가 3시간 30분 뒤인 오후 3시 11분 출발 지점에서 150km 떨어진 경북 의성군 생송리에 떨어졌다. 카메라에는 사진이 888장 촬영됐는데 그중에는 지구의 곡선과 기상 상황이 선명하게 찍힌 대기권 사진도 있었다.김 씨는 “외국 사례에서 ... ...
- 2000년 찰스 주커 교수의 쓴맛 수용체 발견과학동아 l2010년 11호
- 박사학위를 받은 1983년 이후 동물의 감각 메커니즘을 규명하는 연구로 관심을 옮겨 그 뒤 30년 가까이 이 분야에 헌신한 생명과학자다. 그는 먼저 초파리를 대상으로 시각에 대한 연구를 했는데, 수용체가 빛 알갱이(광자, photon)를 인식해 이를 신호로 변환하는 메커니즘을 규명했다.1992년에는 관심을 ... ...
- 사실과 허구를 구분하려면?과학동아 l2010년 11호
- 영화 속 주인공이 멋지게 권총탄 10발을 명중시켰다고 할 때, 체중 70kg의 악당은 정말로 뒤로 날아가 쓰러지게 될까? 총탄의 속도 변화가 없고, 총탄의 에너지가 0.01초만에 모두 전달된다고 가정할 때 악당이 움직이게 될 거리는 얼마인가?전문가 클리닉 미디어를 통해 얻는 여러 정보 중에는 ... ...
- 카운트다운, 나로호 6월 9일 2차 발사!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11호
- 시간을 7분 56초 남겨 두고 자동발사 시스템에 오류가 생겨 발사가 중지 됐었어요. 일주일 뒤에 불꽃을 내뿜으며 하늘로 솟아올랐지만, 위성덮개인 페어링이 분리되지 않아 목표 궤도에 오르지 못했지요.이번에 발사될 나로호는 1차 발사에서 분리가 되지 않았던 페어링의 구조를 개선했어요. 또, ... ...
- 채소일까, 사람일까? 숨바꼭질하는 그림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11호
- 고정관념인 봄, 여름, 가을, 겨울의 순서를 깨고 을 첫 번째 그림으로 그려서 겨울 뒤에 봄이 온다는 사실을 알려 주고 있어요. 이것은 겨울이 끝이 아니라 새로운 탄생을 약속하기 때문이랍니다. ❶ 아르침볼도, 사계절 중 , 1573년, 캔버스에 유채, 76 × 64㎝, 프랑스 파리 루브르 박물관❷ ... ...
- 슛~~ 과학으로 즐기는 2010 월드컵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11호
- 차면, 일직선으로 날아가는 공의 뒤쪽에서는 공기가 소용돌이치게 된다. 그러면 공 뒤쪽의 기압이 내려가고, 그 결과 공이 조금씩 흔들린다. 이 소용돌이는 규칙적이지 않고 경기장의 온도와 습도, 바람 등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공을 차는 선수조차도 공이 어떻게 날아 갈지 알기 어렵다. 다만 ... ...
- 제1게임 먼저 두는 사람이 유리한 오목수학동아 l2010년 11호
- 3~4곳의 위치를 선정하고, 그 곳에 돌을 두었을 때 어떤 상황이 일어날지를 먼저 생각한 뒤 가장 유리한 쪽에 돌을 둔다. 이런 사고 과정은 수학의 최적화 이론과 관련이 있다. 어떤 문제 상황에서 정확한 답을 구할 순 없지만, 여러 가지 조건을 비교해 수학적으로 가장 합리적인 선택을 하는 것이다 ... ...
- 제4게임 짝수를 만들어야 이기는 님 게임수학동아 l2010년 11호
- 표를 그리는 아이유 선수. 이때 상대 선수는 두 번째 더미에서 5개의 칩을 가져갑니다.뒤를 이어 아이유 선수가 첫 번째 더미에서 3개를 가져가는군요. 님 게임은 마지막에 남은 칩 하나를 가져가는 사람이 이깁니다. 따라서 상대방이 짝수를 만들 수 없고홀수만 만들면 당연히 지게 됩니다. 1이 ... ...
- 110년째를 맞이한 노벨상수학동아 l2010년 11호
- 칼 앤더슨, 리정다오가 각각 1932년, 1933년, 1936년, 1957년에 31세로 물리학상을 타면서 그 뒤를 잇고 있다. 분야별로 보면 생리의학상은 32세, 평화상은 32세, 화학상은 35세, 문학상은 42세, 경제학상은 51세가 최연소다.그럼 최고령 수상자는 누구일까? 90세에 2007년 경제학상을 수상한 레오니트 ... ...
이전72973073173273373473573673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