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나중
다음
배후
뒤쪽
후방
꽁무니
d라이브러리
"
뒤
"(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사랑의 매'가 효과 없는 이유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수학 공부를 하기 시작했다면, 더 나아가 수학에서 가치를 찾을 수 있어야 상이 없어진
뒤
에도 계속 수학 공부를 한다.이처럼 학생이 스스로 가치를 인식할 수 있을 때 교육 효과는 더욱 높아진다. 그래서 권위적이고 수직적인질서가 깨진 오늘날의 현실에 맞는 교육적 가치를 찾아야 한다는 ... ...
[지식의 길을 묻다] IT의 미래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먼저 생각해야 한다”면서 “애플의 아이팟이나 기존의 제품보다 기술적으로는 훨씬
뒤
쳐진 아이팟 셔플 같은 제품이 시장에서 인기를 끌었던 이유가 IT제품의 미래에 대해 중요하게 생각할 거리를 제공한다”고 강조했다.우리는 미래의 IT에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네그로폰테 MIT 교수는 “모두가 ... ...
이대호 홈런, 류현진 삼진의 비밀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이는 밸런스를 유지하기 위한 행동이다. 다리를 들 때 반작용으로 인해 무게중심이
뒤
로 치우치기 쉽다. 이를 막기 위해 무게중심을 중심으로 대각선 방향에 있는 팔꿈치를 몸의 중심으로끌어당기기 때문에 배트가 서 자연스럽게 밸런스를 맞출 수 있다. 다리를 내딛을 때도 비슷하다. 이대호 선수는 ... ...
태양 쓰나미가 몰려온다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기준 3일 오후 5시 40분), 초속 400km가 넘는 속도로 날아온 플라스마 기체가 지구 자기장을
뒤
흔들었다. 태양에서 날아온 플라스마 입자들과 지구 자기장이 서로 상호작용을 일으켜 일명 ‘자기장폭풍’이라 불리는 자기장 왜곡현상이 일어났다. 이런 현상은 12시간이나 지속됐다. 극지방에서나 볼 수 ... ...
한국 수학 필즈상에 도전장 내다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수학등급도 4급까지 올랐다.한국 수학이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지만 4년
뒤
2014 서울 ICM에서 한국 수학자가 필즈상을 받으리라는 보장은 할 수 없다. 그러나 2014 서울 ICM 조직위원장인 박형주 포스텍 교수는 “세계 수학계의 주요 문제를 국내 연구진이 해결한 경우가 21세기 들어 ... ...
1993년 빅터 앰브로스 박사의 마이크로RNA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수가 늘어나면서 명명법도 만들었는데, 마이크로RNA를 ‘miR-’로 줄여 표시하고
뒤
에 일련의 숫자를 붙이는 방식이다(예를 들어 miR-133). 따라서 작은 숫자가 큰 숫자보다 대체로 먼저 발견된 마이크로RNA다.마이크로RNA를 통한 번역 단계에서의 유전자 조절(전사 후 조절)은 진핵생물에서 광범위하게 ... ...
긍정의 힘으로 만든 나노 고분자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묻어나왔다.장 교수팀의 성과는 고분자에서는 나노입자를 만들 수 없다는 기존의 학설을
뒤
집는 결과여서 더욱 의미가 깊다. 사실 장 교수가 실험을 하는 동안 같은 방법으로 실험한 결과를 먼저 발표한 곳이 있었다. 그 연구팀은 폴리피놀이라는 전도성 물질로 지름 80nm 크기의 나노입자를 만드는 ... ...
식물 속 천연색소를 찾아라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단풍이 더 예쁘게 물드는데 그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날씨가 화창하면 떨켜층이 생긴
뒤
에도 광합성이 활발하게 일어날 수 있다. 당분이 많이 생기며, 당분이 많으면 많을수록 안토시아닌이 많이 생성된다.단풍이 온도와 관계 있다면 우리나라는 어디서부터 단풍이 들까. 보통 우리나라의 단풍은 ... ...
긴급출동! 어린이 안전을 지켜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9호
하러 출동라지 않는다는 것, 환자를 수송해야 하는 위급한 상황일떄는 119를 부른
뒤
1339에 전화해 도움을 받자.*1X3=3, 3X3=9 이렇게 외워 보세요 와~, 이번 어린이날은 우리가 허당이의 위험했던 순간들을 무사히 지켜 줄 수 있어서 보람 있었네요. ‘어린이과학동아’ 친구들도 미처 깨닫지 못했던 ... ...
LED가 만들 형형색색의 미래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LED의 고효율화와 대중화를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다.권순용서울대 재료공학부를 졸업한
뒤
동대학원에서 전자재료전공 공학 석박사를 마쳤다.미국 예일대와 UCLA에서 박사 후 과정을 3년간 보내고 현재 울산과학기술대 기계신소재공학부 조교수로 있다 ... ...
이전
737
738
739
740
741
742
743
744
7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