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1993년 빅터 앰브로스 박사의 마이크로RNA 발견과학동아 l2010년 10호
- 수가 늘어나면서 명명법도 만들었는데, 마이크로RNA를 ‘miR-’로 줄여 표시하고 뒤에 일련의 숫자를 붙이는 방식이다(예를 들어 miR-133). 따라서 작은 숫자가 큰 숫자보다 대체로 먼저 발견된 마이크로RNA다.마이크로RNA를 통한 번역 단계에서의 유전자 조절(전사 후 조절)은 진핵생물에서 광범위하게 ... ...
- When Animals Think and Talk과학동아 l2010년 10호
- 살고 있는 연구소가 위치한 미국 아이오와 주에 홍수가 발생한 적이 있다. 홍수가 잦아든 뒤 보노보들은 그들이 보았던 것(홍수)을 지칭하기 위한 단어를 발명한 것이다. 보노보들은 또한 ‘빵’ 카드, ‘치즈’ 카드를 ‘토마토’ 카드와 함께 사용해 그들이 제일 좋아하는 음식을 요구하기도 한다. ... ...
- 한국인이 앓기 쉬운 5가지 마음병과학동아 l2010년 10호
- 겪으면 전문의와 상담하는 게 좋다. 이 질환이 사람에 따라 수십 년이 지난 뒤에도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과거에 받았던 심리적인 충격이 해결되지 않았다가 현재 비슷한 일을 겪어 떠오르거나, 나쁜 기억이 반복적으로 떠오르면서 자극적으로 발달한다.전문가들은 트라우마의 생리적 원인으로 ... ...
- 과학으로 읽는 ‘정의란 무엇인가’과학동아 l2010년 10호
- 사실을 발견해 ‘사이언스’ 6월 11일자에 발표했다. 옥시토신은 여자가 아이를 출산한 뒤 많이 분비되는 호르몬으로 모성을 불러일으킨다고 알려져 있다.콧속에 옥시토신을 뿌린 사람은 대조군으로 맹물을 뿌린 사람에 비해 이기적인 성향이 줄어들고 자기가 속한 집단에 대해 더 협조적이었다. ... ...
- 한국 수학 필즈상에 도전장 내다과학동아 l2010년 10호
- 수학등급도 4급까지 올랐다.한국 수학이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지만 4년 뒤 2014 서울 ICM에서 한국 수학자가 필즈상을 받으리라는 보장은 할 수 없다. 그러나 2014 서울 ICM 조직위원장인 박형주 포스텍 교수는 “세계 수학계의 주요 문제를 국내 연구진이 해결한 경우가 21세기 들어 ... ...
- 공개수배! 숨어 있는 ‘용의자’를 찾아라과학동아 l2010년 10호
- 생겼지만 초파리나 꿀벌, 나비, 모기가 다가서는 순간 옴짝달싹 할 수 없게 몸을 움켜쥔 뒤, 가차 없이 뜯어 먹는다. 난초사마귀는 성장하면서 수차례 허물을 벗는다. 이 과정을 통해 몸 색깔이 주변 꽃잎과 점점 더 많이 닮아간다. ‘쉭쉭~’ 흔들리는 모습이 수상한 풀, 초록뱀네 번째 용의자가 ... ...
- 하얀 이 검은 이, 자연선택의 힘!과학동아 l2010년 10호
- 조류 가운데 같은 과(科)에 속하면서 깃털이 하나는 밝고 하나는 어두운 26쌍을 골랐다.그 뒤 새의 몸에 기생하는 이를 채집해 이 가운데 같은 속(屬)에 속하는 이를 선별해 몸 색깔을 비교했다.그 결과 깃털 이를 비교한 16쌍 가운데 13쌍이 밝은 색의 깃털에는 밝은 이가, 어두운 깃털에는 어두운 이가 ... ...
- 해파리 단백질로 태양광 발전과학동아 l2010년 10호
- 올려놓았다. 여기에 자외선을 쬐어주자 녹색형광단백질은 광자를 흡수한 뒤 전자를 방출했다.녹색형광단백질이 기존에 태양광 발전에서 사용하던 ‘색소증감광전지’와 비슷한 성격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입증한 것이다. 색소증감태양전지는 이산화티타늄과 같은 값비싼 재료를 사용해 ... ...
- 호주 밤하늘엔 숨어 있던 은하수가 뜬다과학동아 l2010년 09호
- 반쪽을 찾은 느낌이랄까. 눈동자 가득 별빛을 담으며 은하수를 따라 거닐었다. 그때 등 뒤로 무언가 아른거렸다. 맙소사! 은하수의 별빛이 그림자를 만들었다. 한바탕 은하수 그림자 찾기 놀이마당이 열렸다. 황도광이나 은하수 그림자는 달빛이나 인공 불빛이 있는 하늘에서는 쉽게 드러나지 ... ...
- LED가 만들 형형색색의 미래과학동아 l2010년 09호
- LED의 고효율화와 대중화를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다.권순용서울대 재료공학부를 졸업한 뒤 동대학원에서 전자재료전공 공학 석박사를 마쳤다.미국 예일대와 UCLA에서 박사 후 과정을 3년간 보내고 현재 울산과학기술대 기계신소재공학부 조교수로 있다 ... ...
이전7377387397407417427437447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