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iPad, what on earth is it for?과학동아 l2010년 06호
- 보여줬다. 그것은 납작하고 키보드가 없었다. 그 남자는 사람들로 하여금, 5년 뒤에는 이 납작하고 키보드가 없는 컴퓨터가 전국에서 가장 일반적인 컴퓨터가 될 것이라고 믿게끔 설득했다. 심지어 그를 믿은 사람들도 있었다……. 그 기계가 아이패드였고, 그 남자가 올해의 스티브 잡스라고 ... ...
- 무시무시한 공룡 멸종의 순간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06호
- 밝혀졌어요. 연구팀은 전세계에 흩어져 있는 350개의 증거를 모아 멸종 시나리오를 만든 뒤, 그 내용을 3월 5일자 ‘사이언스’에 발표했어요. 이 시나리오에 따르면, 당시 멕시코에 지름이 10㎞인 운석이 초속 20㎞의 속도로 땅에 부딪혔어요. 그 결과 지름 100㎞, 깊이 25~30㎞의 구덩이가 생겨서 지각이 ... ...
- 진짜 별이 되신 우주 박사님!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06호
- NASA) 최고연구원 등으로 활약 하셨어요. 하지만 우리나라의 천문학이 다른 나라에 비해 뒤쳐져 있다는 점을 안타까워해, 1968년 다시 우리나라로 돌아 오셨지요. 이후 학생들을 가르치시는 한편 한국천문학회장을 맡으시는 등, 우리나라 천문학 발전을 위해 노력하셨어요.박사님은 특히 어린이들에게 ... ...
- 개미 세계의 진정한 영웅 납시오~!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06호
- 바로 죽을 때죠. 죽을 때가 되면 우리 개미는 정든 무리를 떠나서 혼자서 멀리 여행한 뒤, 조용히 고독한 죽음을 맞는답니다. 슬프시겠지만, 저도 죽을 때가 되면 그렇게 홀 로 사라질 테니 그리 아세요.아니, 죽기 전에 동료들을 버리고 혼자 여행을 떠난다고요? 그게 왜 개미 사회를 지키는 ... ...
- PART Ⅱ 수학으로 월드컵을 예측한다 : 누가누가 이길까?수학동아 l2010년 06호
- 떠오르는 5각형과 6각형으로 이뤄진 축구공은 1970년 월드컵 공인구부터 사용됐다. 그 뒤 2002년 월드컵 공인구인 ‘피버노바’까지는 구조가 똑같았다. 하지만 엄밀히 말해 정오각형 12개, 정육각형 20개로 이뤄진 축구공은 구가 아니라 다면체다.2006년 월드컵 공인구 ‘팀가이스트’는 다면체 ... ...
- 허풍의 그리스식 웨딩수학동아 l2010년 06호
- 칼을 갈며 허풍과 도형의 뒤를 밟아 온 코사노스트라. 일당의 근거지인 이탈리아에서 허풍과 도형을 처단하려 한다. 그러나 콜레오네 패밀리의 배신으로 코사노스트라의 꿈은 물거품이 된다. 코사노스트라와의 끈질긴 인연의 고리를 끊은 허풍과 도형은 고대 유적이 살아 숨 쉬는 아름다운 나라 ... ...
- 두 선분 사이의 존재, 각의 발견수학동아 l2010년 06호
- 세기도 하고, 별이 똑같은 자리에 올 때까지의 날을 세기도 했다. 이렇게 1년의 날을 정한 뒤 12달로 나누어 달력을 만들면서 천문학과 역법이 발달했다. 나라마다 1년의 길이가 조금씩 달랐는데 페르시아는 1년을 360일로, 이집트는 365일로 달력을 만들었다. 그 당시 정확한 달은 권력을 의미했기 ... ...
- 선거제도 수학으로 파헤치다수학동아 l2010년 06호
- 경우는 매우 드물다.쌍쌍비교법쌍쌍비교법은 후보에 순위를 매겨 두 후보씩 비교한 뒤 그 어떤 후보와 비교해도 우위에 있는 후보를 당선자로 결정하는 방법이다. 일인자와 이기자를 비교해 보자. 이기자보다 일인자가 당선되기를 더 바라는 표수는 총 39표. 반대로 이기자는 61표다. 사람들은 ... ...
- 수학 비중은 더 커지고, 자기주도학습 대비해야…수학동아 l2010년 06호
- 보는 것이다. 충분히 설명할 수 있다면 잘 이해한 것이다. 이렇게 개념을 충분히 이해한 뒤에 문제를 풀어도 늦지 않다.수학에 대한 긍정적인 생각과 태도를 갖자.우리나라 학생들은 세계 어느 나라와 비교해도 굉장히 뛰어난 수학 학습 능력을 자랑한다. 그러나 정작 학생들은 자신이 수학을 ... ...
- 2010 개인게놈 시대 개막 선언과학동아 l2010년 06호
- 김 교수를 제외한 12명은 모두 미국인이다. 이들은 컨퍼런스에서 자신의 게놈을 알게 된 뒤 겪은 경험을 얘기하면서 개인게놈 정보가 미래에 사람들의 삶을 어떻게 바꿀 것인가에 대해 토론했다.제임스 왓슨, 자신의 유전자 결함 담담히 밝혀처치 교수는 “개인게놈 시대가 이렇게 빨리 온 건 한 ... ...
이전75575675775875976076176276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