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33화. 어푸어푸 행성의 영물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7호
- 헤엄치는 게 어려워 자연스럽게 뒤로 처졌습니다. 그런데 구릿빛 지느러미가 슬쩍 뒤로 빠지며 딱지에게 오더니 작은 목소리로 속삭였습니다.“저 어두운 빛이란 녀석을 잘 살펴보십시오. 저희는 저 녀석이 문어 님을 빼돌렸다고 의심하고 있습니다. 순진해 보이지만 음흉한 녀석입니다.”딱지는 그 ... ...
- [특집] 건물 15층 높이에서 시속 100km로 다이빙! 롤러코스터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6호
- 올리는 것인지 물었습니다. 전통적인 롤러코스터는 열차를 체인이나 케이블 등에 연결한 뒤 전동기로 높은 곳까지 끌어올립니다. 열차의 위치에너지를 증가시키는 거죠. 이후 열차가 선로를 따라 내려오면 열차의 위치에너지가 운동에너지로 바뀌면서 속도가 점점 빨라집니다.그런데 이번에 탄 ... ...
- [특집] 현실에서 한 번, 가상 세계에서 두 번 즐긴다! 메타버스 테마파크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6호
- 물총을 충전해 밤밤맨을 향해 발사합니다. 다른 사람들과 힘을 합쳐 밤밤맨을 무찌른 뒤에는 에버랜드의 대표 롤러코스터인 티익스프레스를 타러 갔어요. 지루한 줄서기는 생략할 수 있죠. 그리곤 빠른 속도로 하강하는 열차에서 펄쩍 뛰어내렸습니다.거침없는 행동에 놀라셨나요? 실제가 아닌 ... ...
- [기획] 모낭충 300만 년 전부터 인류와 동거동락♥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6호
- 등장한 것으로 추정됐어요. 이는 현생인류가 아프리카에서 처음 등장해 아시아로 이동한 뒤 전 세계로 퍼졌다는 아프리카 기원설과 일치해요. 연구에 참여한 미국 캘리포니아 과학 아카데미의 미셸 트라우트웨인 연구원은 “모낭충은 현생인류의 여행에 함께했을 가능성이 높다”며, “모낭충은 ... ...
- 플라스틱 다이어트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6호
- 캠페인 김연서 기자 나의 첫 따·분·행플라스틱병에 담긴 주스를 다 마시고 난 뒤 비닐을 벗겨 분리배출했어요. 따분행을 처음 실천해서 무척 뿌듯했어요 ... ...
- [출동! 슈퍼 M] “포크의 갈퀴는 왜 4개인가요?”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6호
- 채 되지 않았지요. 서양의 다른 식사 도구인 나이프(칼)나 스푼(숟가락)과 비교하면 한참 뒤부터 사용하게 됐어요. 과거에는 포크가 식사 도구로 꼭 필요하지는 않다고 여겼어요. 구운 고기를 자르려면 나이프가 필요하고, 국물 음식을 먹으려면 스푼이 필요했지요. 국물이 아닌 음식은 대부분 ... ...
- [도전! 섭섭박사 메이커] 다가가면 뚜껑이 저절로 열린다! 초음파 센서 휴지통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6호
- 소리가 울리는데, 후방 감지 센서 덕분이에요. 후방 감지 센서는 초음파를 이용해 자동차 뒤에 있는 장애물을 감지해서 자동차와 장애물 사이의 거리를 알려주지요. 그래서 거리가 가까워지면 경고음이 더 빠르게 울린답니다. 지난해 11월 우리나라 자동차 부품 제조 기업인 현대모비스는 12개의 ... ...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유령의 정체를 알아냈다!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6호
- 뭔가에 걸려 풀썩 쓰러졌습니다. 바로 고딱지였습니다. 딱지가 들어가지 않고 맨 뒤에 남아있다가 도망치는 용의자의 발을 걸었던 겁니다. 용의자는 넘어지면서 안전모가 벗겨지자 괴성을 지르기 시작했습니다. “으악! 흡혈귀다! 헉! 치킨 귀신에 달걀 귀신까지! 으앙, 고양이 귀신도! 저리 가! ... ...
- [화보] 나뭇잎에 동화를 담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6호
- 따라 오리기 동물의 눈처럼 그림에서 가장 작은 부분부터 오려냅니다(➌). 그런 뒤 점차 스케치의 윤곽을 오려내죠(➍). 칼을 세로로 세워 칼 끝으로 미세하게 오리고, 작은 부분은 점을 찍으며 떼어내는 거예요(➎). 간단한 작업은 2시간 정도 걸리지만 세밀한 작업은 8시간까지도 걸린답니다 ... ...
- [우주 기네스] 지구로부터 가장 멀리 간우주탐사선은?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6호
- 보이저 1호는 하루에 1,470,000km씩 태양계의 바깥을 향해 날고 있지요. 1979년 목성을 지난 뒤 1980년에 토성을 지났어요. 2012년에는 태양계를 완전히 벗어났지요. 지금은 태양으로부터 무려 23,500,000,000km 나 떨어진 먼 우주를 날고 있어요. 인류가 보낸 탐사선 중가장 먼 곳까지 도달한 거예요.두 탐사선은 ... ...
이전71727374757677787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