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나중
다음
배후
뒤쪽
후방
꽁무니
d라이브러리
"
뒤
"(으)로 총 9,103건 검색되었습니다.
생물 - 동물들의 본능행동
과학동아
l
199312
가운데 놓인 실험 접시 주위를 행진한다. 그들은 냄새와 촉각만을 의지하면서 서로의
뒤
를 따라가므로 한 번 쳇바퀴 행진이 시작되면 죽을 때까지 계속적으로 행진을 하게 된다."본능이라는 이미 부설되어 있는 길은 절대로 벗어날 수 없는 것이다. 그 길로부터 조금이라도 벗어나면 그들은 전혀 ... ...
(3) 공룡의 진화도 플룸이 지배했다
과학동아
l
199312
브론토사우루스 등이 이에 포함된다. 뇌룡은 전기 쥐라기에 모습을 드러낸
뒤
그때까지 같은 생태적 지위를 점하고 있던 원시적 대형초식공룡들 대신 전세계로 퍼져나갔다.그들은 쥐라기 식생의 특징인 거대한 침엽수를 먹을 수 있도록 몸을 거대화하고 목을 길게 늘여 넓은 범위의 잎을 딸 수 있는 ... ...
20년 넘도록 과부로 지내는 황새
과학동아
l
199312
한쪽 다리를 들고 서 있기를 즐기며 목은 S자형으로 구부린다. 발정기를 맞이하면 머리를
뒤
로 젖히고 위아래 부리를 서로 부딪치며 구애를 한다. 산란기는 3-4월이며 하얀 알을 접시형 둥우리에 낳는다. 먹이는 주로 물고기와 양서류인 올챙이, 개구리를 잡아먹는데, 곤충류도 잡아먹는다.황새는 ... ...
윈도우와의 메모리 속도 전쟁
과학동아
l
199312
방법은 SPEEDISK C:(또는 D:) 혹은 DEFRAG C:(또는 D:)과 같이 하면된다.이렇게 단편화를 제거한
뒤
에 윈도우를 설치한다면 하드디스크상에서 연속된 공간이 확보되기 때문에 부족한 메모리만큼을 가상 메모리로 사용할 수 있는 교체파일 작성이 용이하다. 교체파일에도 영구교체파일과 임시 교체파일이 ... ...
전차 戰車
과학동아
l
199311
M-1 에이브람스와 레오파르트 Ⅱ가 등장한 지도 벌써 10여년이 됐다. 선진 각국은
뒤
를 이을 차세대 전차 (사진9)를 검토하고 있는데, 그 검토방향은 다음과 같다.● 포탑의 축소 또는 폐지포탄 피격률의 감소와 중량감소로 인한 기동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기동성 향상엔진과 현가 장치의 발달로 ... ...
성운·성단·은하 관측의 첫걸음
과학동아
l
199311
개펄성운에서는 작은 구형의 암흑성운이 나타나며 오리온성운은 산광성운과 암흑성운이
뒤
섞여 있는 실례이기도 하다.별들의 모임, 성단밤하늘에는 많은 별들이 있지만 별은 우주공간에 흩어져서 떠 있는 것만은 아니다. 특히 어느 한정된 구역에 많은 별이 떼를 이루고 있는 곳도 있다. 이와같이 ... ...
사용하긴 쉬워도 이해하긴 어려운 멀티태스킹
과학동아
l
199311
프로그램에서 다른 프로그램으로 스위칭했을 때 기존에 운용되던 프로그램은 완전히 막
뒤
로 물러가는데 비해 램상주 프로그램에서는 램상주 프로그램이 메모리에 상주하고 있다가 단축키에 의해 호출되면 현재의 프로그램에 나타나 협동직업을 벌이거나 기존의 화면 위에 겹쳐져 나타나 작동하는 ... ...
'꿈의 로켓' DC-X 시험발사 성공
과학동아
l
199311
1단계 우주로켓의 구상은 과거부터 있었다. 1951년부터 몇번인가 제안됐다가 취소된
뒤
1968년에는 이번 DC-X와 거의 같은 비행방식을 취한 '페가수스'의 개념설계가 시작됐다. 뉴욕에서 런던까지 겨우 27분에 날아가는 페가서스는 최종단계에서 공중에 머물다가 발사대에 착륙하는 점까지 DC-X와 거의 ... ...
생물- 확률 3억분의 1이 펼치는 우연의 드라마
과학동아
l
199311
침입을 막는다.수정된 난자는 30시간
뒤
에 두 개로 분열하고 40시간
뒤
에는 4개, 50시간
뒤
에는 8개로 점차 분열이 빨리 진행된다. 수정된 3일 후에는 마치 뽕나무 열매처럼 되는데, 이 때를 상실배라 부른다. 수정란은 이와같이 난할을 계속하면서 난관에서 자궁으로 천천히 이동하여 수정 후 5-6일이면 ... ...
(2) '블랙홀은 검지 않다'-은하 밝기 맞먹는 거대한 에너지 방출
과학동아
l
199311
을 블랙홀을 가지고 있는 쌍성으로 보고 있는 것이다. 70년대 중반 주로 연구된 백조 X-1의
뒤
를 이어 80년대 들어서도 많은 블랙홀 후보들이 활발하게 관측되었다.대마젤란 은하(LMC, Large Magellanic Cloud)에서는 1987년 미국 시사주간지 '타임'의 머리기사를 장식했던 유명한 초신성이 발견되었다. ... ...
이전
771
772
773
774
775
776
777
778
7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