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나중
다음
배후
뒤쪽
후방
꽁무니
d라이브러리
"
뒤
"(으)로 총 9,103건 검색되었습니다.
부란과 미르 앞세워 새 활로 찾는 옛소련 우주항공기술
과학동아
l
199305
여자 우주비행사 발렌티나 테레시코바를 태운 보스토크 6호의 발사에 성공한다. 2년
뒤
인 1965년 3월 18일에는 알렉세이 레오노프가 최초의 우주유영에 나서게 된다.1966년 2월 3일에는 루나 9호를 발사시켜 최초로 달 착륙에 성공했는데 이 우주선은 해상도 높은 달 표면 영상을 지구로 보내왔다.1969년은 ... ...
세균 크기 로봇이 몸속에 들어가 치료하는 마이크로 머신 전성시대 온다
과학동아
l
199305
수지(photo resist)가 입혀진 실리콘 단결정 위로 옮겨 자외선이나 전자빔으로 형상화한
뒤
식각용제, 즉 염화물 혼합기체나 초산 등을 이용해 식각(蝕刻)함으로써 완료된다. 이는 약물에 의한 부식을 이용하여 금속에 그림을 그리는 식각 판화를 만드는 과정과 비슷하다. 앞에서 소개한 마이크로급 ... ...
라플레시아
과학동아
l
199305
물론 가지나 줄기도 없으며 아무런 녹색광합성 조직이 전혀 없다. 열대우림 속 낙엽에
뒤
덮인 포도과의 야생 덩굴이나 큰 나무에 뻗어올라가는 덩굴 식물의 낮은 줄기 부분에 달랑 올라 앉아 꽃을 피운다.동물의 발이나 곤충에 의해 전파되는 씨는 어떤 덩굴에 박힐 때 비로소 싹을 틔우는데, 덩굴 ... ...
새기술 새발명
과학동아
l
199305
하기 위해서 가소성 단위체와 형광성 미분자를 섞은 액체에 광섬유의 끝부분을 담근
뒤
레이저를 켜면 탐침의 끝부분은 단위체들을 결합시켜 빛과 색으로 변하는 중합체로 만드는 작용을 일으킨다. 이어 레이저광이 탐침 끝부분에서 형광성을 발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때 형광되는 ... ...
'지워진 데이터' 되살리려면
과학동아
l
199305
/T : (hh : mm : ss) 지정하는 시각 이후에 작성된 파일만을 백업 한다. 날짜지정을 한
뒤
추가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M 이미 백업된 파일을 제외하고 백업이 안된 파일만 자동으로 백업한다. 백업 프로그램은 자신이 백업한 파일에 대해서는 아카이브비트(기록보존비트)를 0으로 돌려 놓는데 이 기록 보존 ... ...
유일한 푸른행성 지구의 생명체 지켜준다
과학동아
l
199305
빠지도록 지구가 형성됐거나, 원시 대기를 구성 하던 기체들이 지구가 형성된
뒤
곧 없어졌기 때문이라고 대부분 믿어지고 있다.오늘날 우리가 갖고 있는 대기는 화산활동과 같은 지구 내부에서부터의 가스방출에서 기인된 것이다. 현재의 대기는 약 78%의 질소와 20%의 산소로 돼 있다. 반면에 ... ...
과학기술연구원 유전공학연구소 이대실 박사
과학동아
l
199305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을 때까지도 그는 화학을 다루고 있었다. 그의 인생의 전기는 그
뒤
MIT로 옮겨 3년 동안 연구원 생활을 하면서부터. DNA 합성에 성공함으로써 유전자 암호 해독에 기여한 공로로 1968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한 바 있는 고빈드 코라나(Gobind Khorana) 석좌교수의 연구실에 ... ...
한국조류보호협회
과학동아
l
199305
텃새로 조선조 말기까지만 해도 북한강 등에 10여마리씩 나타나는 겨울 철새였으나, 그
뒤
모습을 감춰 백두산 천지와 마양저수지 등에만 1백마리 안팎이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이번에 나타난 호사비오리는 수놈 한마리가 암놈 두 마리를 거느리고 냇가에서 정겹게 노닐고 있었다. 이 ... ...
이론과 실제 공기 저항으로 큰 차이
과학동아
l
199305
A보다 더 빨리 떨어져야 한다.그러나 가벼운 돌 B는 A보다 늦게 떨어져야 하므로 A를
뒤
로 당겨, 묶어 놓기 전보다 A는 더 늦게 떨어져야 한다.위 두 해석이 상호 모순이 되기 때문에 무거울수록 빨리 떨어진다는 전제는 잘못된 것이다."(그림1)지구가 당기는 힘은 물체의 질량에 비례하지만 가속도의 ... ...
뱀장어 생태의 수수께끼
과학동아
l
199305
뱀장어의 일생바다로 들어간 뱀장어는 먹이를 먹지 않고 산란장까지 회유하여 산란한
뒤
죽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나, 아직 자연상태에서 성숙한 뱀장어나 알이 한 개체도 채집되지 않아 산란 생태는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다.뱀장어의 치어는 어미와는 달리 몸이 투명하며 그 모양이 ... ...
이전
779
780
781
782
783
784
785
786
7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