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나중
다음
배후
뒤쪽
후방
꽁무니
d라이브러리
"
뒤
"(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쇠고기보다 단백질 풍부한 달팽이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재료로 삼을 수 있을지 알아보기 위해 달팽이 파이와 쇠고기 파이를 구워 사람들에게 준
뒤
‘맛은 어떤지’‘식사대용으로 할 수 있는지’를 물었다. 실험에 참가한 사람들 대부분은 “달팽이 파이가 쇠고기 파이보다 맛은 물론 식감도 더 좋다”고 답했다.우도피아 교수는 “달팽이는 쇠고기보다 ... ...
와인 이제 바르고 입는다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디자인이 다양하지 않았다. 올해 처음으로 편평한 판에 와인을 붓고 말려 천을 만든
뒤
원하는 모양대로 재봉하는 데 성공했다.레드와인으로 붉은 천을, 화이트와인으로 하얀 천을 각각 만들어 예쁜 패턴을 짜거나 다양한 형태의 옷을 지을 수 있다. 이렇게 만든 옷들로 지난 9월 말 전시회를 열었다. ... ...
“북한과의 과학기술 교류, 모험연구 장려 앞장선다”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북한과학원의 려철기 교수를 만나면서 북한의 IT에 처음 관심을 갖게 됐다. 그
뒤
2000년 평양 김책공업종합대와 평양정보센터에서 특강을 했고 7년간 평양정보센터와 공동연구를 추진했다.그가 평양과기대와 인연을 맺게 된 계기는 2001년 연변에서 열린 학술회의에 참석하러 갔다가 연변과학기술대 ... ...
분자로 비휘발성메모리 구현한다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전류 흐름을 교란한다. 연구팀은 PEDOT:PSS라는 전도성고분자를 먼저 단분자막 위에 덮어준
뒤
그 위에 금을 증착시키는 방법을 고안해 이 문제를 해결했다. 그리고 전극 사이의 전압을 올리자 어느 순간 분자 고리에 전자가 포획되기 시작했다.“놀랍게도 이렇게 잡힌 전자는 전원을 끊어도 약 300초 ... ...
존엄사, 의학에게 묻다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되는 주제에 대해 각 분야의 전문가나 명사가 강연한
뒤
학생들의 질의를 받는다. 그
뒤
에는 주제에 대한 토론시간을 갖는다. 이야기마당에는 매회 평균 60명 정도의 학생들이 참석해 사회 이슈에 과학이 어떻게 기여할 수 있을지를 고민한다.선배의 추천으로 이날 강연에 처음 참가했다는 서울대 ... ...
우주에도 거대한 장성(長城)이 있다고요?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통한다는 뜻이다.경희대 우주과학과 김주한 연구교수는 “이는 나선은하와 타원은하가
뒤
섞여 있는 은하단의 상황과 다른 얘기”라며 “은하단에서는 수많은 은하가 융합해 최종 결과물로 거대 타원은하가 생긴다”고 설명했다.은하 무리에서 가장 큰 규모는 우주 장성이다. 1989년 미국의 천문학자 ... ...
다윈을 따라 제2의 닻 올리다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참여하는 만큼 권 박사는 그동안 접었던 연구를 재개할 계획이다. 장보고 호를 버린
뒤
잠시 창고에 보관하고 있던 메탄 측정 장치와 이산화탄소 측정기, 바닷물 수온과 염도를 수집할 수질 측정시스템을 배에 다시 실었다.장보고 주니어 호의 이번 탐험 역시 쉽지 않은 여정이 될 것으로 보인다. ... ...
대변의 솔직한 자기소개서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수분을 흡수하고 콜레스테롤이나 담즙산, 호르몬 등을 이루는 스테로이드를 흡수한
뒤
간으로 보내 재순환시킨다(장간 순환). 결국 나의 정체는 흡수되지 않은 음식물 찌꺼기와 세균 등이 뭉쳐진 덩어리다. 음식물로 들어와 내가 태어나기까지 50여 시간이 걸린다. 하루에 대개 1번씩 태어난다.가장 ... ...
머릿속의 초시계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때만 자유롭게 행동하도록 훈련했다.그레이비엘 박사팀은 원숭이에게 출발 신호를 준
뒤
뇌를 관찰했다. 그 결과 원숭이가 움직일 때 뇌의 전전두엽과 선조체라는 두 영역에서 마치 시계처럼 일정한 주기로 활성화되는 신경 다발을 발견했다. 이 두 영역은 모두 학습과 움직임, 사고 조절에 관여하는 ... ...
연꽃잎에 이슬 맺히지 않는 진짜 이유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있다. 첸 박사는 “발전소에서 열을 전달하는 파이프 표면을 연꽃잎과 같은 원리로 만든
뒤
적절한 진동을 주면 파이프의 방수성과 열전달 효율을 동시에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이번 연구결과는 물리학 분야 학술지‘피지컬 리뷰 레터스’ 10월 26일자에 발표됐다 ... ...
이전
789
790
791
792
793
794
795
796
7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