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나중
다음
배후
뒤쪽
후방
꽁무니
d라이브러리
"
뒤
"(으)로 총 9,103건 검색되었습니다.
자동차 와이퍼 소송, 포드사 참패
과학동아
l
199205
컨스의 팔다리를 묶으려 들었다.그러나 컨스측 변호사가 재판기록을 면밀히 검토한
뒤
자동차회사들의 방어논리에서 결정적인 약점을 찾아냈다. 그것으로 14년에 걸친 대공방은 종지부를 찍었다. 앞으로 패소한 포드사는 1천만달러 이상을 컨스에게 지불해야 하며, 크라이슬러사도 같은 액수의 돈을 ... ...
주사맞기가 두렵다
과학동아
l
199205
것은 가능하다. 앰플의 목에 더 확실하게 흠집을 내거나 흠자리를 에탄을 등으로 잘 닦은
뒤
앰플을 깨뜨리면 유리파편이 덜 생긴다. 또 깨기 직전에 앰플을 70℃ 전후로 가온해 내압을 높이는 것도 효과적이다. 주사약을 앰플에 넣지 않고 아예 처음부터 주사기 속에 넣어둔 프리필드(pre-filled ... ...
준비는 완료, 장기확보가 문제
과학동아
l
199205
대사(代謝)를 위해 다른 기관과 인결돼있는 것은 불문가지의 사실. 만약 혈관을 자른
뒤
이식장기의 것이 제대로 결합되지 못하면 혈액이 흘러들어갈 수가 없다. 특히 현재의 장기이식 중에서는 간이식이 연결부위에 미세혈관이 많고 담도 등 타기관과의 연결도 많아 가장 섬세한 기술을 요한다.수술 ... ...
행성은 한 별자리에 머물지 않는다
과학동아
l
199205
잘못된 SF 영화나 TV극에서 보듯이 별들이 우주선이 진행함에 따라서 가로수가 지나가듯
뒤
로 지나기는 장면은 도저히 기대하기 어려운 일이다. 이는 물론 잘못된 공간 척도 개념에서 비롯되는 것이다. 잘못된 시간 척도 개념에서 비롯된 대표적인 예로서는 수억년 전인 중생대에 번성하였던 ... ...
스티븐 메이슨 「과학의 역사」
과학동아
l
199205
언급하고 있다.'과학의 역사'를 통해 앞으로만 달리기에도 벅찬 현대인들이 가끔씩
뒤
를 돌아보는 것도 오히려 발전의 더 큰 밑거름이 된다는 것을 알게 되기를 희망해 본다. 이 책은 박성래 교수가 번역해 「과학의 역사 Ⅰ」과 「과학의 역사 Ⅱ」(까치글방)로 1981년에 국내에서 출간된 후 198 ... ...
인조광선으로 마음의 병을 치유한다
과학동아
l
199204
동안 여러 파장의 빚을 받게 되는데 치료기간은 3~7일 정도 소요된다.불투명한 유리패널
뒤
에 설치된 여러 종류의 자외선 램프가 SAD의 해결사. 환자는 이 자외선 램프에서 나오는 자외선을 조사받게 되는데 시간이 흐름에 따라 자외선의 양이 달라진다. 환자는 눈을 감은 상태이지만 '유익한' ... ...
원자력에너지의 두기둥, 어떻게 다른가?
과학동아
l
199204
이란 도넛형 자장용기라는 뜻을 줄인 러시아 단어다.1960년대에 소련에서 처음 개발된
뒤
전 세계적으로 널리 연구되고 있는데 오랫동안 핵융합로의 모델로 각광을 받아 왔다. 세계 3대 토카막으로 불리는 미국의 TFTR, 유럽공동체의 JET, 일본의 JT-60 등은 핵융합로 조건에 근접하는 좋은 실험결과들을 ... ...
계절시차 적응 못해 봄되면 온몸이 나른 몸속시계가 수면을 조절한다
과학동아
l
199204
비교 했다. 그 결과 여름에는 얄은 잠이 잠든
뒤
4, 5시간
뒤
에 나타나지만 겨울엔 7, 8시간
뒤
에 나타남을 알게 되었다. 그는 여름에 동이 일찍 트기 때문에 그런 차이를 보인다고 주장했다. 새소리 등 외부의 자극이 여름에 늘어나는데서 원인을 찾은 것이다. 이로써 여름잠과 겨울잠이 다르다는 ... ...
온누리호 돛을 달다
과학동아
l
199204
우리의 해양조사를 위해 참았던 바다의 신이 대서양을
뒤
집기 시작했다. 덕분에 침실이
뒤
죽박죽되고 의자가 날아다니는 대서양에서의 마지막 밤을 추억으로 간직하게 되었다.국내 최초로 도입된 첨단연구장비의 운용을 위해 철저한 사전 준비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 동승한 외국의 전문가들과 ... ...
보름달이 초저녁 동쪽하늘에 뜨는 이유
과학동아
l
199204
하늘 낮게 떠 있다가 곧 진다. 달은 매일 약 50분씩 늦게 뜨게 되므로 초승달보다 며칠
뒤
뜨는 상현달은 초저녁에 남중하고 마침내 보름달에 이르러서는 초저녁 동녘 하늘에 뜨게 된다. 추석날 저녁 온가족이 모여 앉았을 때 보름달이 운치있게 동산 위에 걸려 있는 것은 바로 이 때문이다. 하현달은 ... ...
이전
795
796
797
798
799
800
801
802
80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