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담가"(으)로 총 140건 검색되었습니다.
- 된장vs청국장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08호
- 된장이랑 청국장이 헷갈린다고?헤헤헤, 더욱 헷갈리게 해 주마~. 된장메주를 소금물에 담가 3~4개월간 숙성시키면 까만 국물(간장)과 덩어리가 생겨요. 이 덩어리에 간장을 부어 반죽하면 된장이 된답니다. 메주는 메주콩을 찧어 네모나게 빚은 다음 바람에 말리고 따뜻한 곳에서 오랫동안 ... ...
- [knowledge] 고대 화장품은 현대 화장품과 다르다? 같다!과학동아 l2011년 10호
- 호랑이에게 쑥과 마늘을 준 이유는?“겨울에 얼굴이 거칠고 터지는 데 달걀 세 개를 술에 담가 김새지 않도록 두껍게 봉하여 네 이레 두었다가 얼굴에 바르면 트지 않을 뿐더러 윤지고 옥 같아진다. 얼굴과 손이 터서 피가 나거든 돼지발기름(豚趾脂)에 괴화(槐花)를 섞어 바르면 낫는다."-빙허각 이씨 ... ...
- 자원전쟁에 맞서는 바다 위 저격수과학동아 l2011년 08호
- 폴리염화비닐(PVC)을 버무려 쌀알 크기로 빚었다. 이런 ‘흡착제’를 바닷물에 담가 리튬을 빼냈다. 실험실뿐 아니라 실용화의 전단계 연구도 진행해서, 이미 10여 년 전에 실증실험설비(파일럿플랜트)를 건설했다.하지만 한계가 많았다. 쌀알 크기의 흡착제는 리튬을 흡수하는 부분이 PVC에 가려져 ... ...
- 명작에 1000년의 수명을 더하다과학동아 l2011년 07호
- 중국 후한의 ‘채륜’이다. 서기 105년 경 제조방법을 발견했다. 삼, 닥나무 등을 물에 담가 발효시킨 뒤 잘 찧어서 놓고, 잿물에 삶은 다음 햇볕에 말려 표백한다. 잿물의 주성분은 산화칼륨(K₂O)으로 염기성을 띄고 있다. 한지가 양지보다 서서히 산성화되는 이유다. 반면 1850년 이후 개발된 양지는 ... ...
- 고양이가 혀로 물 마시는 건, “볼 때문이야~"과학동아 l2011년 07호
- 가까이 대고 숨을 내쉬어 물을 입안으로 뿜어낸다. 한편 닭은 먼저 아래 부리를 물에 담가 물을 담은 뒤 머리를 들고 고개를 뒤로 젖혀 물을 마신다. 이들에게야 말로 아래 부리가 국자인 셈이다 ... ...
- Part 2. 죽음의 안식처, 무덤에게 묻는다과학동아 l2011년 06호
- 피부에 시반(시체에 생기는 검은 반점) 하나 찾을 수 없었다. 포르말린 보존용액에 담가둔 탓인지 아래 잇몸 부분만 입술 밖으로 두툼하게 밀려 올라왔을 뿐, 피부의 색감이나 보존 상태는 한 곳도 흠잡을 곳이 없었다. 미라가 아닌, 죽은 지 며칠 된 시신을 보는 듯 했다. 하지만 상태가 너무 ... ...
- [life & tech] 세척사과 정말 먹어도 되나과학동아 l2011년 02호
- 때문이다. 0.9%에 불과한, 농약이 남아 있는 농산물도 크게 염려할 필요는 없다. 수돗물에 담가두었다가 흐르는 물에 씻는 것만으로도 남은 농약을 깨끗이 제거할 수 있다.오히려 농약보다 미생물이 문제다. 대부분의 식품은 조리하는 중에 열로 균을 죽일 수 있지만 채소와 과일은 열에 민감하기 ... ...
- 과학으로 담그면 행복한 겁니다과학동아 l2010년 11호
- 과제3. 실전 김치 담그기 “소금이 중요해”재료 준비가 끝났다면 본격적으로 김치를 담가 보자. 김치 담그는 방법은 재료나 지역, 개인에 따라 조금씩 달라지지만 김장때 만드는 일반김치(국물이 적은 버무림 김치)의 제조방법에는 공통점이 있다. 먼저 주재료(배추)를 소금에 절여 둔다. 부재료 ... ...
- 식물 속 천연색소를 찾아라과학동아 l2010년 10호
- 수성펜을 준비해보자. 종이 끝 1.5~2cm 지점에 수성펜으로 작은 점을 찍고 끝 부분을 물에 담가 놓는다. 그러면 물이 그 종이 분자 사이의 틈을 타고 올라가며 수성펜의 색이 분리되는 현상을 관찰할 수 있다. 흡수된 물이 잉크와 만나면 그 잉크를 녹여서 같이 끌고 올라가는 것이다.왜 색깔 성분마다 ... ...
- 죽음과 맞바꾸는 치명적인 맛 황복과학동아 l2010년 05호
- 모두 잘 닦아낸다. 그래도 안심할 수 없어 흐르는 물에 깨끗이 씻고 다시 몇 시간 물에 담가뒀다가 요리한다. 요리를 할 때도 해독 능력이 크다는 미나리를 꼭 함께 넣는다.복어는 독 때문에 먹기 힘든 물고기이지만, 독 때문에 뛰어난 맛을 보이는 것인지도 모르겠다. 최근에는 독성을 제거한 복어를 ... ...
이전345678910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