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변종
d라이브러리
"
돌연변이
"(으)로 총 756건 검색되었습니다.
영화 '#살아있다' '반도' 속 좀비 바이러스 분석
과학동아
l
2020년 08호
있기란 확률적으로 거의 불가능하다”고 설명헀다. 모든 바이러스는 최소 수년 이상
돌연변이
가 축적될 때 변종 또는 신종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기존에 없던 생물에 대한 감염능력을 획득할 수 있다. 하지만 현실에서는 영화 속 좀비 바이러스처럼 한꺼번에 모든 종을 감염시키는 ... ...
전염병의 세계적 대유행, 끝이 아닌 이유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8호
구할 수 있었죠.문제는 세균도 진화한다는 거예요. 항생제를 계속 쓰다 보면 일부 세균이
돌연변이
등으로 항생제를 이겨내는 ‘내성’을 갖게 돼요. 그중 모든 항생제를 이겨내는 세균을 ‘슈퍼버그’라 부르지요. 슈퍼버그는 강한 생존력을 바탕으로 수를 빠르게 늘릴 수 있어요. 항생제를 ... ...
Chapter 01. 대유행┃ 최근 50년간 인간을 괴롭힌 바이러스 7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바이러스에 대응할 백신과 바이러스를 물리칠 치료제도 개발됐다. 하지만 바이러스도
돌연변이
라는 전략을 앞세워 바뀐 환경에 적응하며 여전히 사라지지 않고 위세를 과시하고 있다. 그중에서도 만만한 상대로 여겼던 코로나바이러스는 21세기에만 무려 세 번이나 모습을 바꿔 인류를 위협하고 ... ...
좋은 바이러스도 있을까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삽입된 유전자가 자손에게도 전달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아데노바이러스보다
돌연변이
가 발생할 확률이 높아 암이 발생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레트로바이러스는 1980년대 최초의 바이러스 벡터로 개발됐고, 1990년 인체를 대상으로 한 첫 번째 임상시험에 활용되면서 유전자 치료의 실현을 ... ...
Chapter 06. 백신┃인간 지킬 유일한 방패, 백신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냈다.그럼에도 백신 개발을 멈출 수 없는 이유는 분명하다. 바이러스는 끊임없이
돌연변이
를 일으키며 인류를 무섭게 위협해 왔고, 그 위협은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다. 2019년 중국 우한에서 발생해 전 세계에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을 일으킨 사스코로나바이러스-2(SARS-CoV-2)는 높은 ... ...
생백신&사백신_인플루엔자 백신 Influenza vaccine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변형을 일으키는 유전자 조작법을 주로 쓴다.유전자를 조작한 바이러스는 이론적으로
돌연변이
를 일으켜 다시 병원성을 회복할 가능성이 있다. 때문에 생백신에 사용되는 바이러스는 배양횟수를 제한해 안전성을 확보한다.사백신은 바이러스에 포르말린 같은 화학물질을 처리하거나, 배양 환경의 ... ...
1981년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 20세기 흑사병’에서 만성질환으로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바이러스의 RNA를 DNA로 역전사한 후 숙주의 DNA에 들어가 증식한다. 이 과정에서 수많은
돌연변이
를 만들어낸다. 무엇보다 HIV는 우리 몸을 지키는 병사인 면역세포를 숙주로 삼아 파괴해 독종 바이러스로 취급된다. 특히 CD4를 수용체로 가진 면역세포인 T림프구를 감염시키거나 파괴한다. 정상인의 ... ...
바이러스는 생물일까 무생물일까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바이러스는 DNA뿐만 아니라 RNA로도 저장하고 있다. 또 RNA 바이러스는 세균보다
돌연변이
가 발생할 확률이 높다. 이는 곧 감염병이 발생했을 때 세균성 질병보다 바이러스성 질병에 대한 백신이나 치료제를 개발하는 게 더 어렵다는 것을 뜻한다. 더불어 평균적으로 세균은 0.5μm(마이크로미터· ... ...
STEP ① 숙주세포 탐색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이들 바이러스는 면역반응을 스스로 조절할 수 있는 완벽한 숙주의 몸속에서 끊임없이
돌연변이
를 일으키며 언제든 인간에게 옮겨갈 준비를 하고 있을지 모른다 ... ...
2011년 선천 면역과 후천 면역의 시작을 알아내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활용해 톨 유사 수용체의
돌연변이
표현형을 찾고, 이 중에서 질병 완화에 효과가 있는
돌연변이
유전자만 선별해 이 유전자가 만드는 단백질로 여러 질병에 대항할 신약을 만들기 위해 계속 연구했다. 2018년 8월 보이틀러는 선천 면역반응 단계에서 TNF 생성을 조절할 수 있는 10만 개의 화합물 합성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