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변종
d라이브러리
"
돌연변이
"(으)로 총 756건 검색되었습니다.
[백신 개발 비하인드] 속도 높이는 코로나19 백신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코로나바이러스가 사스 코로나바이러스-2라는 이름으로 다시 찾아왔다. 벌써 세 번째
돌연변이
의 등장이지만 백신 개발 연구는 원점부터 진행되는 상황이다. 앞으로 코로나바이러스가 어떤 모습으로, 얼마나 자주 찾아올지 아직은 알 수 없다. 하지만 ‘역사는 반복된다’는 말처럼, 백신 개발의 ... ...
바이러스는 어떻게 생겨났을까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발전하면서 과학자들은 바이러스의 과거를 일부 추적할 수 있게 됐다. 물론 바이러스가
돌연변이
를 일으켰을 확률이 높은 만큼 현존하는 바이러스로 과거의 퍼즐을 정확히 끼워 맞추는 건 여전히 쉽지 않지만 말이다. 바이러스의 기원에 대해 가장 먼저 제기된 가설은 생물의 최소 단위인 세포에서 ... ...
Chapter 06. 백신┃인간 지킬 유일한 방패, 백신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냈다.그럼에도 백신 개발을 멈출 수 없는 이유는 분명하다. 바이러스는 끊임없이
돌연변이
를 일으키며 인류를 무섭게 위협해 왔고, 그 위협은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다. 2019년 중국 우한에서 발생해 전 세계에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을 일으킨 사스코로나바이러스-2(SARS-CoV-2)는 높은 ... ...
단백질 백신_B형 간염 백신 Hepatitis B vaccine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전체를 주입하기 때문에 부작용에 대한 걱정을 완전히 지울 수는 없다. 바이러스가
돌연변이
를 통해 병원성을 회복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반면 단백질은 그 자체로 항원의 역할을 하면서도 다른 숙주로 감염되거나 증식하지 않는다. 유일한 예외는 광우병의 원인으로 지목되는 프리온(prion) ... ...
Chapter 07. 치료제┃인간 지킬 유일한 방패, 백신항바이러스제 개발의 꿈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이유다.바이러스와 인류의 전쟁에서 최종 승자는 누가 될까. 지금까지의 싸움에선
돌연변이
라는 강력한 무기를 장착한 바이러스가 대부분 승리를 거뒀다. 하지만 비관할 필요는 없다. 인류도 1962년 최초로 항바이러스제를 개발한 이후 항바이러스제 후보물질을 재빠르게 찾아낼 방법을 확보하는 등 ... ...
1981년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 20세기 흑사병’에서 만성질환으로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바이러스의 RNA를 DNA로 역전사한 후 숙주의 DNA에 들어가 증식한다. 이 과정에서 수많은
돌연변이
를 만들어낸다. 무엇보다 HIV는 우리 몸을 지키는 병사인 면역세포를 숙주로 삼아 파괴해 독종 바이러스로 취급된다. 특히 CD4를 수용체로 가진 면역세포인 T림프구를 감염시키거나 파괴한다. 정상인의 ... ...
2009년 A형 인플루엔자바이러스┃주기적으로 유행하는 A형 인플루엔자바이러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신종으로 모습을 바꾸고, 주기적으로 유행을 일으킨다. 항원소변이는 유전체에
돌연변이
가 생기는 것으로, 매년 독감백신을 새로 맞는 이유다. WHO는 매년 세계 각국이 계절성 인플루엔자 백신을 개발할 수 있도록 유행 가능성이 높은 인플루엔자바이러스 동향을 연구한다. 2020~2021년 북반구 ... ...
바이러스는 생물일까 무생물일까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바이러스는 DNA뿐만 아니라 RNA로도 저장하고 있다. 또 RNA 바이러스는 세균보다
돌연변이
가 발생할 확률이 높다. 이는 곧 감염병이 발생했을 때 세균성 질병보다 바이러스성 질병에 대한 백신이나 치료제를 개발하는 게 더 어렵다는 것을 뜻한다. 더불어 평균적으로 세균은 0.5μm(마이크로미터· ... ...
STEP ① 숙주세포 탐색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이들 바이러스는 면역반응을 스스로 조절할 수 있는 완벽한 숙주의 몸속에서 끊임없이
돌연변이
를 일으키며 언제든 인간에게 옮겨갈 준비를 하고 있을지 모른다 ... ...
2011년 선천 면역과 후천 면역의 시작을 알아내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활용해 톨 유사 수용체의
돌연변이
표현형을 찾고, 이 중에서 질병 완화에 효과가 있는
돌연변이
유전자만 선별해 이 유전자가 만드는 단백질로 여러 질병에 대항할 신약을 만들기 위해 계속 연구했다. 2018년 8월 보이틀러는 선천 면역반응 단계에서 TNF 생성을 조절할 수 있는 10만 개의 화합물 합성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