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위치"(으)로 총 6,664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용어 따라잡기] 아밀레이스(amylase), 경도(經度, longitude)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5호
- 거예요. 이때 세로 선을 ‘경선’, 가로 선은 ‘위선’이라고 해요. 지구상의 특정 위치를 좌표로 표현하기 위해 경선과 위선을 그어둔 거지요.경도는 본초자오선을 기준으로 경선이 이루는 각도를 뜻해요. 이를 통해 지구상의 두 지점이 동쪽과 서쪽으로 얼마나 떨어있는지는 알 수 있어요. ... ...
- [지구사랑탐사대] 코로나19에도 새는 운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6월 21일, 하루 사이에 서울 마포구에 위치한 문화비축기지와 파주 꾸룩새 연구소에서 지구사랑탐사대 소리모아와 제비 탐사 첫 현장교육이 열렸어요. 코로나19에 대비해 운영진은 대원들과 처음 만나자마자 체온계부터 들이미는 등 안전하게 교육을 진행했죠. 지사탐 대원들과 자연 속 소리꾼들의 ... ...
- [특집] 아이디어2. 생체모방 디자인을 더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날개 두 개를 가지고 있어요. 날개뼈를 원하는 각도로 구부려 날개의 각도와 깃털의 위치를 조절하면 날개에 부딪히는 공기의 저항이 변하며 비행 궤도가 변하지요. 피죤봇은 비둘기의 날개 구조를 모방한 비행기예요. 각 날개엔 비둘기 깃털 20개가 달려 있죠. 또한 피죤봇의 날개엔 각도 조절이 ... ...
- [한 장의 과학] 우리가 엑스선을 볼 수 있다면 우주의 모습은 어땠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6월 17일, 지금까지 인류가 엑스선으로 관찰한 우주 중 가장 자세한 지도가 발표됐어요. 지구와 태양 사이에 있는 우주망원경 이로시타(eROSITA)가 ... 지금은 발견하지 못한 더 어두운 엑스선 천체도 찾아낼 예정이에요. 이를 통해 은하들의 위치와 우주 팽창의 원인을 연구할 계획이랍니다 ... ...
- [과학뉴스] 알록달록 친환경 태양전지 개발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일으켜 다양한 색을 만들어요. 연구팀은 태양전지 막의 두께를 달리하여 빛이 반사되는 위치를 조절했어요. 덕분에 보라, 초록, 파랑, 노랑, 빨강 등 7가지 이상의 다양한 색을 낼 수 있었지요.연구팀이 만든 CIGS 태양전지는 0.003mm로 매우 얇아요. 연구를 이끈 정용덕 책임연구원은 “이 태양전지는 ... ...
- [시사과학] 올해도 불가마 더위 올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전체 온도가 상승하더라도 한쪽이 더워지면 다른 쪽은 차가워져요. 우리나라가 어디에 위치하냐에 따라 받는 영향의 크기가 달라 전 지구 평균예측과 우리나라 날씨가 늘 일치할 수는 없어요. 한 예로, 작년은 2016년에 이어 전 세계 평균 기온이 두 번째로 높은 해였지만, 우리나라 여름은 그 정도로 ... ...
- [탐험대학] 자율주행, 공룡, 게임…?! 어떤 탐험을 좋아할지 몰라 다 준비했어!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6월 6일, 서울 대학로에 위치한 스토리스튜디오 혜화랩에서 2020 탐험대학 온라인 오리엔테이션이 진행됐어요. 코로나19로 인해 10명의 탐험대학 멘토와 50명의 청소년의 첫 만남은 온라인으로 진행됐지요. 온라인이란 걱정이 무색하게 오리엔테이션은 시끌벅적 활기찬 분위기로 진행됐답니다 ... ...
- 코로나19로 예상치 못한 좌충우돌 남극 여행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707홍진호의 호출에 아라온호은 진행 중이던 연구를 멈추고 곧장 출동했어요. 조난 위치까지 최단 시간에 도착하기 위해 위성 자료로 바다 얼음 분포를 파악하며 이동했지요. 그렇게 아라온호는 3일 13시간 만에 도착했고, 조류에 밀려 초기 조난 지역에서 40km가량 떨어진 곳에 표류하던 선박을 ... ...
- 두근두근, 움짤의 진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연구팀은 컴퓨터가 자동으로 인물을 팔과 다리 등 부위별로 쪼갠 다음 골격과 관절의 위치를 찾아내 가상의 3차원 몸 모형을 만들도록 프로그램을 짰어요. 그리고 이 입체 모형에 색깔과 질감을 칠해 자연스러운 움직임을 줬지요. 포토 웨이크업 기술을 응용하면 게임 개발자가 3D 캐릭터를 ... ...
- [한페이지 뉴스] 생명체 존재 가능성? 외계행성 대기도 고려해야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아부다비 우주과학센터 연구원팀은 총 492개 중심별 근처 생명체 거주 가능 지역에 위치한 외계행성의 대기에서 극자외선에 의해 손실되는 대기량을 분석했다. 연구팀은 중심별이 내뿜는 플레어(고에너지 입자의 폭발)와 중심별에서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고에너지 빛에 의해 외계행성의 대기를 ... ...
이전76777879808182838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