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위치"(으)로 총 6,664건 검색되었습니다.
- [한페이지 뉴스] 생명체 존재 가능성? 외계행성 대기도 고려해야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아부다비 우주과학센터 연구원팀은 총 492개 중심별 근처 생명체 거주 가능 지역에 위치한 외계행성의 대기에서 극자외선에 의해 손실되는 대기량을 분석했다. 연구팀은 중심별이 내뿜는 플레어(고에너지 입자의 폭발)와 중심별에서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고에너지 빛에 의해 외계행성의 대기를 ... ...
- 크리스마스 트리가 한국산? 멸종위기 구상나무를 구하라!과학동아 l2020년 12호
- 관심을 두는 이는 없었다. 구상나무 개량종 90품종 이상 개발돼 서울 동대문구에 위치한 홍릉숲에 가면 크리스마스 엽서에서 튀어나온 듯한 나무를 볼 수 있다. 자연스러운 원뿔 모양에, 솔잎 길이의 절반 정도 되는 짧고 두툼한 잎이 줄기를 빈틈없이 덮고 있는 나무. 심지어 잎 뒷면은 은빛이 ... ...
- Q&A로 풀어보는 핵융합과학동아 l2020년 12호
- 강력한 중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중력에 의해 두 개의 원자핵이 물리적으로 가까이 위치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에서도 핵융합 반응이 일어납니다. 이외에도 태양에서는 수소 원자 4개가 결합해 헬륨을 만드는 핵융합 반응이 일어나고, 핵융합로에서는 중수소와 삼중수소가 결합해 헬륨이 ... ...
- 바다거북 알 도둑, 코끼리 밀렵꾼 과학이 끝까지 잡는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이에 남아프리카공화국을 비롯한 보츠나와, 짐바브웨, 케냐 등 아프리카 남쪽에 위치한 국가들은 DNA 기술을 이용해 본격적인 밀렵꾼과의 전쟁을 시작했다. 특히 남아프리카공화국은 코뿔소 사체 발견 시 DNA 샘플 채취를 의무화하고, 살아 있는 코뿔소의 DNA도 채취하고 있다. 이번 연구에 참여한 ... ...
- 서울시 3D 지도 나왔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등이 HD 지도를 제작하고 있다. 공통적으로 MMS(Mobile Mapping System) 장비를 이용한다. MMS는 위치를 추정할 수 있는 GPS와 관성측정장치(IMU), 도로를 모델링하는 라이다(LiDAR)와 각종 카메라를 탑재하고 있다. MMS가 수집한 정보를 분석해 차선, 표지판 등으로 분류하면 HD 지도가 완성된다. 네이버랩스는 이번 ...
- [융복합파트너@DGIST] 스테레오 카메라로 자율주행차 가성비 높인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색깔이나 교통표지판의 내용을 인식하는 카메라 센서와, 도로의 형태나 보행자의 위치 등 복합적인 환경을 3차원으로 파악하는 시각인지 센서 기술 등이 있다.시각인지 센서로는 레이저를 이용해 거리를 측정하는 라이다(LiDAR)가 대표적이다. 라이다는 특정 레이저 신호를 보낸 뒤 반사되는 신호의 ... ...
- [쇼킹 사이언스] 에베레스트산 높이가 바뀐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보내준 정보를 이용했어요. 위치에 따라 조금씩 달라지는 중력가속도로 정확한 위치를 알아내는 ‘항공 중력 측정법’도 활용했지요. 또, 레이더로 정상에 쌓인 눈의 양도 측정했답니다. 측량팀은 이렇게 모은 자료를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반복 검증을 거쳐 정확한 에베레스트산의 높이를 발표할 ... ...
- 튀어다니고, 기어다니고! 튀는 탐사선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1호
- 여러 대가 소행성에 착륙하면 알아서 천체 표면을 통통 튀어 다닐 거예요. 이때, 로봇의 위치에 따라 중력이 달라지며 로봇이 튀어 오르는 궤도도 달라져요. 중력이 약한 곳에서는 로봇이 멀리까지 튀어 오르고, 강한 곳에서는 조금만 튀어 오르겠지요. 소행성을 도는 탐사선이 이 로봇들의 궤도를 ... ...
- [과학뉴스] 밝혀진 X자 은하의 비밀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1호
- m의 거대한 전파 안테나 64개가 함께 우주를 관측해요. 천체에서 온 전파를 분석해 천체의 위치, 크기 등을 알아내지요. 미어캣 전파망원경이 관측한 영상을 합치면 지름 8km 전파망원경으로 관측한 것처럼 높은 해상도의 결과를 얻을 수 있답니다 ... ...
- [한페이지 뉴스] 새가 ‘박치’가 아닌 이유, 뇌에서 찾았다과학동아 l2020년 11호
- 관찰했다. 특히 조류의 뇌에서 인지 및 감각 능력을 담당하는 니도팔리움(nidopallium)에 위치한 HVC(High Vocal Center) 영역에 주목했다. HVC는 노래를 듣고 만들어내는 데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 연구팀은 금화조 5마리의 뇌에 여러 뉴런의 활성도를 동시에 기록할 수 있는 바이오칩을 심고, 금화조가 노래를 ... ...
이전78798081828384858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