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위치"(으)로 총 6,664건 검색되었습니다.
- 핵융합 에너지 또 다른 융합으로 완성하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실험 중인 일부 핵융합 실험로에는 이미 로봇이 설치돼 있다. 대표적으로 영국에 위치한 현재 전 세계에서 가장 큰 핵융합 실험로인 유럽공동 핵융합연구장치(JET·Joint European Torus)에는 내부 상태를 점검하고 간단한 수리 작업까지 할 수 있는 로봇팔 ‘마스코트(MASCOT)’가 설치됐다. 로봇팔은 블랭킷 ... ...
- 바다거북 알 도둑, 코끼리 밀렵꾼 과학이 끝까지 잡는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이에 남아프리카공화국을 비롯한 보츠나와, 짐바브웨, 케냐 등 아프리카 남쪽에 위치한 국가들은 DNA 기술을 이용해 본격적인 밀렵꾼과의 전쟁을 시작했다. 특히 남아프리카공화국은 코뿔소 사체 발견 시 DNA 샘플 채취를 의무화하고, 살아 있는 코뿔소의 DNA도 채취하고 있다. 이번 연구에 참여한 ... ...
- 욕은 왜 하는 걸까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실어증 환자의 몇몇 사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실어증 환자는 대부분 왼쪽 귀 바로 위에 위치한 좌측 대뇌피질이 손상돼 있다. 그래서 이 영역이 언어 구사 능력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다고 여겨진다. 그런데 일부 실어증 환자들 중 일반적인 언어 구사에 장애를 갖고 있음에도 욕은 유창하게 하는 ... ...
- 코로나19로 예상치 못한 좌충우돌 남극 여행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707홍진호의 호출에 아라온호은 진행 중이던 연구를 멈추고 곧장 출동했어요. 조난 위치까지 최단 시간에 도착하기 위해 위성 자료로 바다 얼음 분포를 파악하며 이동했지요. 그렇게 아라온호는 3일 13시간 만에 도착했고, 조류에 밀려 초기 조난 지역에서 40km가량 떨어진 곳에 표류하던 선박을 ... ...
- 두근두근, 움짤의 진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연구팀은 컴퓨터가 자동으로 인물을 팔과 다리 등 부위별로 쪼갠 다음 골격과 관절의 위치를 찾아내 가상의 3차원 몸 모형을 만들도록 프로그램을 짰어요. 그리고 이 입체 모형에 색깔과 질감을 칠해 자연스러운 움직임을 줬지요. 포토 웨이크업 기술을 응용하면 게임 개발자가 3D 캐릭터를 ... ...
- 천문대장이 내는 이달의 퀴즈 / 이달의 천체사진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1781년 3월 27일에 처음으로 발견했어요. 그리고 프랑스의 천문학자 샤를 메시에가 그 위치를 확인하고 메시에 목록의 최종본에 수록했지요.이 은하는 지름이 17만 광년으로 우리은하보다 커요. 약 1조 개의 별이 있는데, 이는 우리은하보다 두 배 많은 정도예요. 큰 은하답게 중력이 강해 주변에 있는 ... ...
- 서울시 3D 지도 나왔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등이 HD 지도를 제작하고 있다. 공통적으로 MMS(Mobile Mapping System) 장비를 이용한다. MMS는 위치를 추정할 수 있는 GPS와 관성측정장치(IMU), 도로를 모델링하는 라이다(LiDAR)와 각종 카메라를 탑재하고 있다. MMS가 수집한 정보를 분석해 차선, 표지판 등으로 분류하면 HD 지도가 완성된다. 네이버랩스는 이번 ...
- [쇼킹 사이언스] 에베레스트산 높이가 바뀐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보내준 정보를 이용했어요. 위치에 따라 조금씩 달라지는 중력가속도로 정확한 위치를 알아내는 ‘항공 중력 측정법’도 활용했지요. 또, 레이더로 정상에 쌓인 눈의 양도 측정했답니다. 측량팀은 이렇게 모은 자료를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반복 검증을 거쳐 정확한 에베레스트산의 높이를 발표할 ... ...
- [별헤는수학] 우리가 그린 나선이 블랙홀 연구를 돕는다!수학동아 l2020년 12호
- 만들고 위에서 촬영한 것처럼 수정합니다. 지구에서 바라본 우주의 은하들은 이렇게 위치에 따라 촬영 각도가 제각각이기 때문에 원에 가까운 모습으로 변환해야 나선을 확인하고 그리기 편합니다.이 사진에 시민천문학자가 나선팔의 자취를 그리면 그림과 자취를 분리한 뒤 여러 사람이 그린 ... ...
- Q&A로 풀어보는 핵융합과학동아 l2020년 12호
- 강력한 중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중력에 의해 두 개의 원자핵이 물리적으로 가까이 위치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에서도 핵융합 반응이 일어납니다. 이외에도 태양에서는 수소 원자 4개가 결합해 헬륨을 만드는 핵융합 반응이 일어나고, 핵융합로에서는 중수소와 삼중수소가 결합해 헬륨이 ... ...
이전77787980818283848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