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나중
다음
배후
뒤쪽
후방
꽁무니
d라이브러리
"
뒤
"(으)로 총 9,103건 검색되었습니다.
천재 김정호의 선물 대동여지도
과학동아
l
199103
다음 책으로 접어 놓은 한국전도(全圖)가 대동여지도다. 목판으로 조선종이에 인쇄 한
뒤
은은하게 채색을 하고 매첩마다 표지를 붙여 크게 한질로 만든 지도책이다.책의 첫머리에 지도유설(地圖類說)이 있다. 간결하지만 이 지도책의 편찬목적과 지도작성의 원리를 서술한 중요한 부분이다. 여기서 ... ...
"이제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없다"
과학동아
l
199103
들어있던 불순물 다이옥신(TCDD)의 유독성이 밝혀진 것처럼 이번에도 장기적인 피해가
뒤
늦게 나타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한국화학연구소의 김용화박사(환경독성)는 "현재로선 머스타드 가스의 동물실험결과 발암성이 확인된 정도다. 그러나 이것을 인간에게 똑같이 적용할 수는 없다"고 ... ...
일본 규슈의 지질과 화산
과학동아
l
199103
했다. 시내 중심부에 조성된 상당히 규모가 큰 공원에서 후쿠오카시를 조망한
뒤
간단히 쇼핑시간을 갖기도 했다. 오후 1시 40분 서울발 항공기를 탑승했는데, 나흘 전과는 달리 일행은 훨씬 친숙한 분위기에서 대화를 이어갔다. 비행기의 창밖으로 멀리 아소산이 보이고 잘 정돈된 도로들이 눈에 ... ...
계산하는 기계를 좇아서
과학동아
l
199103
일을 한다면 그것도 불편한 일이다. 따라서 제법 복잡한 계산을 하려면 손을 깨끗이 씻은
뒤
인적이 드문 지하방이나 뒷간에서 열심히 손자락을 꼼지락거리며 계산을 해야 했다.손으로 하는 계산의 다른 단점은 큰 숫자를 표시하기에 불편하다는 것이다. 손가락 마디 모두를 활용하면 1억까지 셀 수 ... ...
감기와 독감은 「2란성 쌍둥이」
과학동아
l
199103
대한 화학적 예방법으로 많이 연구되고 있다. 하지만 비강내 궤양, 출혈과 같은 부작용이
뒤
따르기 때문에 장기간 투여가 어렵다는 점이 숙제로 남아 있다. 한 연구에 따르면 인터페론 α-2를 비강내에 분무하는 단기간의 화학적 예방법으로 39~41% 정도의 감기 예방률을 보였다고 한다. 이같은 연구를 ... ...
지구 최초의 음식을 밝혀낸다
과학동아
l
199103
풍부한 톨린을 먹이심아 크게 번식하게 될 것이라고 스토커는 전망한다.50억년쯤
뒤
태양이 적색거성으로 팽창해 지구와 수성이 불타버리고 타이탄이 지금의 지구처럼 따뜻해지면, 톨린을 먹은 박테리아들이 진화해 타이탄을 생물로 가득 채워진 위성으로 만들지도 모른다 ... ...
자연속에 묻힌 외곬 인생
과학동아
l
199103
친근한 자, 가까이 있는 자에게만이 본연의 모습을 보여준다'는 것. 농촌에 가서 거름을
뒤
지는 등 엉뚱한 짓을 하면 처음에는 오해하지만, 자세히 설명해주면 호기심을 갖고 도와주는 경우가 대부분이라고 한다. "어릴적 자연교과서에서 자주 등장하는, 시골길에서 쇠똥굴리는 왕쇠똥구리가 거의 ... ...
「가미카제특공대」식 약제개발
과학동아
l
199103
직접 트롬빈을 겨냥한 새로운 약을 개발 했는데, 이 신약의 특징은 자신의 임무를 마친
뒤
곧바로 '자폭'하는 것이다.조지아기술연구소의 한 연구자는 이 신약을 소포속에 든 폭약에 비유하고 있다. 소포를 전달하는 도중에는 숨죽이고 있다가 주소지에 도달해 수령자가 소포를 푸는 순간 '꽝'하고 ... ...
PART Ⅰ 표피세포가 뇌의 출발점
과학동아
l
199103
주름을 펴면 4천㎠(그림 1)에서 보듯이 사람 뇌는 겉에서 보면 많은 주름이 잡혀 있다. 목
뒤
부분에 위치한 더 섬세한 주름이 소뇌이고 그 윗부분 전체가 대뇌이다. 대뇌는 포유류의 진화 과정에서 가장 강조되는 뇌. 뇌 부피가 다른 종과 차이가 나는 것은 대뇌 때문이다. 대뇌의 발달은 사람에게서 ... ...
꿩
과학동아
l
199103
접시모양으로 파헤치고 풀을 깔아 알자리를 만든다. 그런 다음 4~6월에 5~18개의 알을 낳은
뒤
22~25일 동안 알을 품어서 병아리를 깐다. 까투리가 숲에서 알을 품고 있는 형색을 보면 수꿩과 다르게 우중충한 색깔을 띠고 있음을 발견하게 된다. 이는 주위환경에 적응하기 위한 일종의 보호색이다 ... ...
이전
816
817
818
819
820
821
822
823
8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