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줄
끈
현
라인
행렬
띠
끄나풀
스페셜
"
열
"(으)로 총 1,077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호흡은 어떻게 감정을 조절할까
2018.04.24
숨을 쉬면 꽤 빠른 호흡 같지만 생쥐의 호흡 속도는 2~12헤르츠로 사람의 0.1~0.3헤르츠보다
열
배는 빠르다. 대사율이 높기 때문이다. 호흡이 4헤르츠를 유지하자 후각망울의 신경활동도 4헤르츠의 주기를 보였고 놀랍게도 변연계와 변연계 앞 전전두엽의 뇌파 활동도 4헤르츠로 바뀌며 호흡리듬과 ... ...
[표지로 읽는 과학] ‘찌릿’
열
쇼크로 탄생한 나노 합금
동아사이언스
l
2018.03.31
성장, 유착 등을 막아 안정적인 합금이 되도록 한다. 연구팀은 이런 합금 제조 방식을
열
탄소 충격(Carbothermal Shock, CTS)이라고 명명했다. 논문을 통해 연구팀은 “CTS 방법이 나노 크기의 금속 연구를 위한 우수한 플랫폼이 될 것”이라고 말한다 ... ...
“나에게 시간은 늘 귀중하다” 스티븐 호킹 박사 발언 되짚어 보니
동아사이언스
l
2018.03.14
‘천재 과학자’라는 수식어가 따라 붙는다. 일반상대론적 특이점 증명과 블랙홀이
열
복사를 방출한다는 내용의 ‘호킹 복사’ 등이 주요 업적으로 꼽힌다. 그는 병으로 몸이 불편한 와중에도 저술, 강연, 인터뷰 등 다양한 과학 대중화 활동을 해 왔다. 스티븐 호킹 박사의 최근 발언을 되짚어 ... ...
[속보] 영국의 세계적인 물리학자 스티븐 호킹 별세
동아사이언스
l
2018.03.14
함께 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론에 입각한 ‘특이점’을 수학적으로 증명하고, 블랙홀이
열
복사를 방출한다는 일명 ‘호킹 복사’를 이론적으로 입증한 것이 대표적이다. 호킹 박사는 영국 옥스퍼드대를 졸업하고 1965년 케임브리지대 대학원에 진학해 우주론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1979년부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구글은 왜 벌거숭이두더지쥐에 주목했나
2018.02.06
영생을 할 수도 있다는 말이다. 그렇다면 지금까지 왜 이 동물의 수명이 생쥐의
열
배인 ‘30년 이상’으로 알려진 걸까. 논문에 따르면 답은 간단하다. 벌거숭이두더지쥐를 본격적으로 연구하기 시작한 게 1980년이고 따라서 초창기 연구하던 개체들이 아직 살아있기 때문에 수명을 ‘30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설탕보다 낫다더니... 트레할로스의 씁쓸한 이면
2018.01.30
유일한 먹이인 배지에서도 증식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연구자들은 지금까지 염기서
열
이 알려진 클로스트리디움 게놈 1010개의 데이터를 분석해 이런 특성을 설명할 수 있는 단서를 찾기로 했다. 트레할로스 오페론 민감해져 그 결과 RT027 유형에 속하는 균주들은 모두 treR이라는 유전자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카페라테의 유체역학
2018.01.02
연속적인 농도차를 보이는 중간지대가 생긴다. 이 상태에서 유리잔에 가까운 액체는
열
을 빼앗기며 온도가 낮아져 밀도가 높아진다. 그 결과 중력의 작용으로 아래로 내려가고 안쪽 액체가 바깥쪽으로 수평 이동해 빈자리를 채운다. 아래로 내려가는 액체는 어느 순간 아래쪽 밀도가 큰 액체의 ... ...
[사이언스 지식IN] 연초형 일반 담배 VS 궐련형 전자담배, 건강은요?
동아사이언스
l
2017.11.15
전자 담배 비교법: 연초 담배 한 개를 피우는 데 약 10회의 흡입이 이뤄지므로 전자담배를
열
번 들이쉬는 것과 연초담배 한개비의 성분양를 비교했음. 전자담배가 연초 담배보다 유해성이 덜하다고는 어떤 전문가도 단언하지 못합니다. 연초 담배의 유해성은 오랜 연구결과와 사례로 축적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노세보 효과의 뇌과학
2017.10.17
몰래 아토피 크림을 바른 곳엔
열
을 가한다. 평가 결과 비싼 아토피 크림을 바른 그룹이
열
로 인한 통증을 더 심하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노세보 효과가 두드러졌다. 연구자들은 기능자기공명영상(fMRI)으로 뇌의 활동을 분석해 비싼 크림을 바른 쪽이 노세보 효과가 큰 이유를 알아봤다. 그 ... ...
식물의 ‘잎 크기’ 결정하는 요인은?
동아사이언스
l
2017.09.03
물의 양이 적어도 생존할 수 있단 의미다. 물과 함께 발산하는
열
도 적기 때문에
열
손실도 줄일 수 있다. 이처럼 서식지의 온도, 습도 등의 조건은 식물의 잎 크기를 결정하는 주요 요인으로 꼽힌다. 하지만 이런 전통적 분류법으로 설명할 수 없는 식물들도 나타나며, 새로운 분류법의 필요성이 ... ...
이전
78
79
80
81
82
83
84
85
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