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줄
끈
현
라인
행렬
띠
끄나풀
스페셜
"
열
"(으)로 총 1,077건 검색되었습니다.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4) 생명과학에 보는 재미를 더해 준 로저 첸
2016.12.29
그 결과 세포 내에서 여러 단백질이 상호작용하는 장면을 ‘눈으로’ 볼 수 있는 시대가
열
렸다. 단백질 각각에 다른 색을 내는 형광단백질을 연결하면 되었다. 이 업적으로 첸은 시모무라, 찰피와 함께 노벨화학상을 받았다. 최근 첸은 신경세포에 형광을 입혀 수술 중에 실수로 신경이 손상되지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3) 11년 만에 지구에서 천연두를 추방한 의사 도널드 헨더슨
2016.12.28
파견된 812명과 함께 현장을 동분서주했다. 당시 제네바에 있던 본부에서 직원이
열
명이 넘게 보인 적이 없었다고 한다. 이들의 헌신적인 노력으로 백신접종률이 올라가면서 마침내 천연두가 퇴치되기에 이르렀다. 천연두 박멸은 WHO 역사에서도 가장 성공적인 프로그램으로 그 뒤 비슷한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1) 컴퓨터를 활용한 아동 교육의 선구자 ‘시모어 페퍼트’
2016.12.26
환경에 놓인 아이들이 컴퓨터를 접할 수 있게 힘을 쏟기도 했다. 2006년 베트남에서
열
린 수학교육 관련 국제학술대회에 참석했다가 교통사고를 당해 뇌에 큰 부상을 입었고 후유증으로 언어장애가 생겨 오래 재활치료를 했는데 그가 개척한 교육방법론이 적용된 프로그램이었다고 한다. ※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4)생역학의 개척자, 맥네일 알렉산더
2016.12.16
태어난 맥네일 알렉산더는 생물 교사의 영향으로 일찌감치 생물학에 눈을 떴다.
열
여섯 살 때 방의 옷장 위에 둥지를 튼 새를 관찰해 이듬해 ‘산란기 울새의 행동’이라는 제목의 논문을 학술지 ‘영국의 조류’에 발표했다. 케임브리지대에서 자연과학을 공부한 알렉산더는 물고기의 부레의 ... ...
[사이언스 지식IN] ③독감 걸리면 죽을 수도 있나요?
동아사이언스
l
2016.12.16
- (주)동아사이언스(이미지 소스:GIB) 제공 서서히
열
이 잡히더니, 새 세상이
열
렸습니다. 혹시 이 독감이 지금 유행하고 있는 조류독감과는 상관없겠지요? 저는 닭은 아니니까요. 조류독감과 독감은 먼 친척입니다. 조류독감(AI)역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로 인해 생깁니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 ...
세계 최고 출력 4PW(페타와트) 레이저 개발에 일조하다
IBS
l
2016.10.31
피드백을 주고받는 것이 연구단에서는 가능하다. 유 연구위원은 “물리학의 새 지평을
열
연구의 시작과 끝을 한 연구단에서 모두 수행하는 것은 연구단의 국제적인 경쟁력 측면에서도 매우 긍정적인 점이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앞으로의 초강력 레이저 개발을 주도하고 싶다는 유제윤 ... ...
[표지로 읽는 과학] ‘유전자 조작’모기 풀어 모기 잡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6.10.16
공동 연구팀의 연구성과를 다뤘다. 전 세계 142개 집단에서 300명 이상의 전체 유전자 서
열
을 분석했다. 지금까지 분석이 이뤄지지 않았던 소수 민족 등의 유전자를 포함된 것이 특징이다. 덴마크 코펜하겐대 에스케 빌러슬레프 교수가 이끈 국제 공동연구팀은 성과도 눈에 들어온다. 이들은 83명의 ... ...
바이오부탄올 100년 만에 빛 보나
2016.10.10
영국정계에 든든한 지원군을 두게 됐고 결국 시온주의 운동이 1948년 이스라엘 건국으로
열
매를 맺었다. 이 과정에서 바이츠만은 1920~31, 1935~46년 시온주의기구 의장을 지냈고 1949년 초대 대통령으로 추대됐다. 우리가 흔히 영어식 발음으로 이스라엘 와이즈만연구소라고 부르는 바이츠만과학연구소는 ... ...
기초과학부터 신산업 창출까지 현대과학의 '팔방미인' 가속기
IBS
l
2016.10.04
한국은 중이온가속기 라온과 포항 4세대 방사광가속기를 갖추며 세계 가속기 경쟁 대
열
에 본격 합류하게 됐다. 이로서 한국 기초과학의 새로운 도약을 위한 든든한 발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1조 4,000억 원이 투입되는 라온은 오는 2021년부터 본격 가동된다. 라온이 국내 기초과학의 획기적 발전과 ... ...
지속가능한 건강식단 가능할까?
2016.09.26
있다. 1961년과 2009년을 비교하면 하루 섭취
열
량이 1000칼로리 이상 늘었고 육류소비량도
열
배가 됐다. 대사질환의 주범은 탄수화물이 아니라 과잉의 칼로리임을 잘 보여주는 데이터다. 아무튼 오늘날 서구식단을 지향하는 경향은 지구촌 공통의 현상으로 소득증가에 따라 식단이 수렴된다. 이런 ... ...
이전
81
82
83
84
85
86
87
88
8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