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줄
끈
현
라인
행렬
띠
끄나풀
스페셜
"
열
"(으)로 총 1,077건 검색되었습니다.
브라질의 숲에서 펼쳐진 ‘혹성탈출-종의 전쟁’
동아사이언스
l
2017.08.20
두려워하는 인식이 생겼다. 이 때문에 사람들은 원숭이를 때려죽이고, 그들이 먹는
열
매에 독을 타는 등의 행동을 보이고 있다. 비카 마쿠스 브라질 교황청립대 교수는 “원숭이가 사람을 직접 감염시킬 순 없다. 원숭이의 죽음은 감염병이 다시 발발했다는 증거가 되기 때문에 오히려 인간에게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우린 어떻게 습기를 느낄까
2017.07.25
부풀어 오르게 되고 그 변화를 인식해 습도가 높다고 느끼게 된다. 즉 우리 온각센서가
열
을 느끼고 촉각이 습기를 느끼면서 후텁지근하다는 느낌을 받고 이는 체온조절의 실패 위험성을 경고하는 상황이기 때문에 뇌는 불쾌하다고 해석한다는 말이다. ※ 필자소개 강석기. 서울대 화학과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에너지, 당분간은 천연가스에 기대야 할까...
2017.07.11
이산화탄소가 대기로 유출되지 않는다는 말이다. 한편 연소 과정에서 발생한 수증기는
열
교환장치에서 냉각돼 물로 바뀐다(양이 많지 않기 때문에 냉각탑이 필요 없다). 결국 알램 사이클을 채택한 시스템을 쓸 경우 보일러와 냉각탑이 없어도 돼 발전설비의 규모가 대폭 축소되기 때문에 건설에 ... ...
‘나 혼자 산다’ 미코 김사랑의 ‘묵언수행’이 어색한 이유는?
2017.07.05
있다)의 활성도 높아 내면의 소리가 ‘생생하게’ 들리는 것이다. 실제 조현병(정신분
열
증)과 해리성정체감장애인 사람의 4분의 3과 외상후증후군인 사람의 절반, 양극성장애인 사람의 상당수가 환청을 경험한다고 한다. 그러나 정신질환이 없는 사람들 가운데 5~15%도 환청을 들은 적이 있다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네안데르탈인 화석, 알고 보니 호모 사피엔스!
2017.06.20
측정을 했고 그 결과 28만6000년 전이라는 새로운 결과를 얻었다. 이는 7번 층 부싯돌의
열
발광연대측정 결과의 범위 안에 들어가는 값이다. 따라서 대략 30만 년 전이라고 볼 수 있고 따라서 호모 사피엔스의 공식역사가 기존의 20만 년 전에서 10만 년이나 더 길어진 셈이다. 현생인류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운동만 해서는 절대 살 못 뺀다!
2017.06.13
면역계가 쉬면서 염증반응이 줄어든다. 염증반응 과정에서 관련 세포와 물질을 만들고
열
을 내는 등 에너지가 많이 소모되기 때문이다. 또 호르몬 분비가 재조정돼 생식력이 떨어지고 손상된 신체조직을 복구하는 속도도 떨어진다. 즉 기초대사량이 줄어든다는 말이다. 한편 수렵채취인과 함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나무로 지은 아파트에서 사는 시대 올까?
2017.05.30
큰 영감을 줬다. 하루는 친구를 만나 이 얘기를 하면서 네 평까지는 아니더라도
열
평 미만의 집을 지어야겠다고 말했더니 “번거롭게 그러지 말고 컨테이너 주택을 사라”며 팁을 알려줬다. 검색해보니 정말 컨테이너 크기의 다양한 조립식 주택을 싸게는 수백만 원에 살 수 있었다. 아무튼 수 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면역계가 우리 몸을 낯설게 느낄 때 일어나는 일들
2017.05.24
아니면 몸살을 앓고 지나가는 수준이라 별로 걱정할 게 없다고 하지만(이런 증상을 지카
열
이라고 부른다) 소수의 사람들에게서 길랭-바레증후군이라는 신경계질환을 일으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길랭-바레증후군은 면역계가 신경계(뉴런의 축삭을 둘러싸고 있는 수초)를 공격해 염증과 마비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암 정복한다는 신약, 세상에 나오지 못 하는 이유
2017.05.10
번이나 탄 인물이다. 인슐린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
열
을 규명해 1958년 화학상을, DNA염기서
열
분석법을 개발해 1980년 역시 화학상을 받았다. 각각 10년이 넘는 기간 동안 끈질기게 매달린 결과다. 2002년 노벨생리의학상 수상자인 싱가포르 분자세포생물학연구소의 시드니 브레너 박사는 ‘사이언스’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미세먼지 줄이는데 식물이 얼마나 효과가 있을까?
2017.05.02
및 대사질환 발병률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저자들은 블록(도시 구획 단위) 당 나무
열
그루만 더 심어도 의료비를 1만 캐나다달러(약 840만 원) 줄일 수 있다고 주장했다. 역으로 나무가 줄어 사람들의 건강이 나빠졌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1990년에서 2007년 사이 미국의 1296개 카운티에서 총 1억 ... ...
이전
79
80
81
82
83
84
85
86
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