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나중
다음
배후
뒤쪽
후방
꽁무니
d라이브러리
"
뒤
"(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으로 본 우리 배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반턱이어붙임)식이라 부르는 턱붙이 겹이음이다. 즉 아랫판의 바깥쪽을 반턱으로 파낸
뒤
윗판을 그 위에 얹는 식이다.저판 하나는 두께가 18~20cm, 너비가 30~35cm이며, 저판 폭은 선체 중앙면에서 1.65m이지만 만곡종통재까지 포함하면 2.3m가 된다. 또 5번째 외판 끝에서 배 폭은 3.5m, 깊이는 1.7m 정도며, ... ...
새 학기엔 닌텐도DS로 공부하자 ~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구성했다. 이미지 연상기법이란 학습자가 그림만 보고도 단어의 뜻을 쉽게 유추한
뒤
이미지와 함께 단어의 뜻을 암기하는 방식이다.‘터치 맨투맨-기초영어’는 지난 20년 동안 수험생의 꾸준한 사랑을 받아온 ‘맨투맨 기초영어’의 내용을 기반으로 제작됐다. 맨투맨에서 다루는 주요 문법 2 ... ...
치매와 언어장애의 원인 밝힌다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이름은 연구단이 붙인 ‘세모’(SEMO)였다. 2006년 초 연구단이 ‘뉴런’에 논문을 투고한
뒤
‘뉴런’ 측에서는 통상적으로 논문의 일부 내용을 보강하는 과정을 연구단에 요청했다. 연구단이 논문을 보강하는 동안 미국 국립보건원(NIH)의 경쟁 연구팀이 ‘저널오브뉴로사이언스’에 같은 단백질을 ... ...
휴대전화에서 차세대 수소저장물질 찾는다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찾아라!1950년대 수소를 이용해 발전을 할 수 있다는 가능성이 처음 제시된
뒤
, 과학자들은 수소를 안전하게 저장하고 쉽게 뽑아 쓸 수 있는 용기를 개발하는 일에 매달려 왔다. 공업용으로 사용되는 수소는 기체 상태의 수소를 고압으로 압축해 탱크에 저장한다. 하지만 수소를 더 많이 저장할수록 ... ...
당신을 ‘LCD의 아버지’로 임명합니다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소주대 의대에서는 2006년 ‘네이처 머티리얼스’에 게재된 이 교수의 논문을 본
뒤
소주대로 초청해 공동연구를 제안하기도 했다.물론 그는 여전히 세계 디스플레이 학계에서도 거목으로 꼽힌다. 지난 8월 그는 ‘네이처 포토닉스’가 주관하는 ‘광제어 액정성 복합신소재 국제 워크숍’에서 ... ...
과학고 입시 예상문제 완전분석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 겉보리(껍질을 벗기지 않은 보리)의 싹을 틔운다. ⓑ 뿌리와 싹이 적당한 크기로 자란
뒤
에 말려서 빻으면 엿기름가루가 된다. 1) 단 맛이 없는 밥이 단 맛이 있는 식혜로 변했다. 밥과 식혜의 주성분을 각각 확인하는 실험 방법과 예상되는 결과를 설명하라. 2) 엿기름 속에는 밥을 식혜로 ... ...
[화학]화학반응을 결정하는 요인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플루토늄-239는 와 같이 우라늄-238에 중성자를 흡수시켜 우라늄-239를 만든
뒤
전자를 생성하는 β붕괴를 통해 얻어진다.(나) 포도당(C6H12O6)의 연소반응은 다음과 같다.포도당 18g을 산소로 채워진 강철 용기에 넣고 열용량 200kJ/℃ 열량계에 잠긴 상태에서 점화코일로 점화해 완전 연소시켰다. ... ...
[수학]아르키메데스의 구분구적법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삼각형 넓이의 비율은 밑변의 길이 비율과 같습니다. 삼각형을 적당히 분해한
뒤
밑변 길이의 비율을 이용하면 넓이 비율을 쉽게 구할 수 있습니다. 논제 3은 무한등비수열의 합을 아르키메데스가 사용한 방법을 이용해 구하는 문제입니다. 답을 구하는 일은 별로 어렵지 않지만 문제의 조건을 ... ...
윷놀이로 떠나는 수학여행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이광연 교수는 성균관대 수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그
뒤
미국 와이오밍주립대에서 박사후연구원을, 아이오와대에서 방문교수를 지냈다. 현재 한서대 수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웃기는 수학이지 뭐야’ ‘신화 속 수학이야기’ 같은 책을 펴냈다 ... ...
천연섬유의 변신은 무죄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실크 단백질이 입안의 상피조직이 떨어지는 일을 막아준다는 사실을 실험으로 알아낸
뒤
‘실크치약’을 만들었다.최근엔 실크로 인공뼈를 만드는 연구도 시작했다. 여 박사는 “실크 위에 뼈나 피부 세포를 배양하면 세포들이 실크에 잘 달라붙어 생장한다”며 “실크가 세포 지지대 구실을 ... ...
이전
826
827
828
829
830
831
832
833
834
다음
공지사항